• 제목/요약/키워드: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Inventory

  • KIM, Eunjung;PARK, HwaChoon;LEE, Sangso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9권1호
    • /
    • pp.1-33
    • /
    • 2018
  •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 self-reported measurement instrument - the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Inventory (ESCCI)-to better understand members' empathetic sense to schools as their community in the context of secondary schools in South Korea. Based on a synthesis of the literature on the school community, empathy, and competencies, and a series of preliminary analyses with a panel of expert judges and pilot tests, initial ESCCI items were developed. In total, 435 students and 134 teachers from secondary schools in South Korea provided usable data as measured by the ESCCI. The results of EFA and CFA suggested a five-factor model: culture of respect ( α = .94), empathetic community identity ( α = .93), communication structure (α = .91), emotion immersion (α = .91), and caring process (α =.89) with χ2 (980, n = 285) = 3080.169; p-value < .0001, RMSEA = 0.068; 90% CI [.059, .064], p-value < .0001; CFI = .88; SRMR = 0.04; and TLI = .88, leaving 46 items out of initially developed 76 items. The ESCCI model develop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used to assess schools' competency as an empathetic community and design programs to promote empathetic school cultures in secondary schools in South Korea.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고등학생의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 공동체의식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igh School Student s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e Wellbeing)

  • 김은정;이상수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18권15호
    • /
    • pp.917-936
    • /
    • 2018
  • 본 연구의 목표는 고등학생의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 공동체의식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 전남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608명의 자료를 2018년 1월 3일부터 2월 28일까지 수집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공감적 학교 공동체 역량, 공동체의식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규명되었 다. 변인 간의 직·간접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공동체의 기초역량은 공동체의 공감역 량에, 공동체의 공감역량은 공동체의식에, 공동체의 공감역량과 공동체 의식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동체의 기초역량은 공동체 의식과 삶의 만족도에, 공동체의 공감역량은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과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실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