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self-concept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1초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감정노동,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의 매개 및 조절효과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i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 양야기;유혜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8-167
    • /
    • 2012
  • Purpose: To determine the mediating as well as moderating effect on both the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erspective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OTC)'. Metho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86 OTCs nationwid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MOS 20.0,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or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o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higher emotional labor was related to higher burnout. When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mediated, emotional labor had a greater effect on burnout however, a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detected.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emotional labor (A)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B), adding relation of both variables ($A{\times}B$) increased the explained variance to 56.3% ($p$<.05). It was confirmed that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a moderating effect o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hen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mediated emotional labor of an OTC decreased, and burnout decreased when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high. Also, by controlling professional self-concept, emotional labor and burnout decreased. Therefore, it's necessary to map out the environment and develop strategies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burnout in organ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예비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부성숙;김반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49-66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who were in th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rivat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hungcheong, Kyonggi, Seoul, in Korea.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 juniors had the best self-concept of the others, and the freshmen were ahead of the others in self-efficacy. The university students had a better self-concept than the college students.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Third, all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elf-concept.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utilization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better self-concept and a better self-efficacy when they were better at emotional intelligence.

유아의 자아개념과 관련된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주인공에 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Leading Characters in Picture Books Relating to Self-Concept in Children)

  • 박니시;김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2호
    • /
    • pp.59-6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ding characters in picture books on self concept in children. For this study, we selected a total of 55 picture books, all of which were best sellers in four internet book stores. The method used for the study was based on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leading characters was male more often than female, and the majority of picture books were creative story books and translation books. Second, subordinate parts related to the self-concept were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social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was positively express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 and family characters in story books. Cognitive self-concept was the least. Third, when the frequency of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in picture books was analyzed, the social self-concept was found to be positively expressed in the subordinate parts of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family. The social self-concept was negatively expressed, however, in the subordinate parts of relationship between non-significant others, and the emotional self-concept was also negatively expressed in the subordinate parts of the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In summary. instances of cognitive self-concept and positive expression were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than negative ones.

정서표현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ir Smart Phone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Concept)

  • 박순아;박근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55-26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표현, 스마트폰중독, 자아개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5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21일까지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서표현과 자아개념은 정적상관관계이었고(r=.286, p<.01), 스마트폰중독과는 부적 상관관계 이었다(r=-.261, p<.01). 자아개념과 스마트폰중독은 부적 상관관계(r=-.247, p<.01)가 있었다.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정서표현을 잘할수록 자아개념은 높아졌고(${\beta}=.286$, p<.001),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스마트폰중독은 감소하였다(${\beta}=-.269$, p<.05). 자아개념은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되었다(Z=3.447, p<.001). 이에 대한 설명력은 8.4%이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중재 개발 시 정서표현과 자아개념을 함께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사의 대인관계문제, 감정노동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Problems, Emotional Labor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Clinical Nurses)

  • 염은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56-36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대인관계문제, 감정노동,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와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충청도 소재 1개 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2일부터 8월 3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인관계문제 평균점수는 2.57점으로 사람들에게 향함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감정노동은 3.50점으로 감정노동 빈도가 가장 높았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평균점수는 2.54점으로 의사소통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인관계문제는 감정노동(r=.39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문직 자아개념은 대인관계문제(r=-.452, p<.001)와 감정노동(r=-.37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인관계문제(${\beta}=-0.377$, p<.001)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수였으며, 연령(40세 이상)(${\beta}=0.435$ p<.001), 연령(30세 이상 40세 미만)(${\beta}=0.278$ p<.001), 학력(${\beta}=0.157$ p=.012), 감정노동(${\beta}=-0.153$ p=.025)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전체 변수는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해 약 4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24.38, p<.001). 그러므로 대인관계문제 및 감정노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이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사의 감정노동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Nurses' Emotional Labor)

  • 안은경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15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cept of nurses' emotional labor. Method: Rodgers's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was used. Result: Nurses' emotional labor can be defined by two attributes: emotional distortion and self-regulation process. Antecedents of nurses' emotional labor include interactional, organizational and personal factors. The consequences of nurses' emotional labor are emotional dissonance and internalization of organizational display rules. Conclusion: Appropriate instrument to operationalize the concept need to be developed.

천연아로마가 중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The Study of the Effects of Natural Aroma Essential Oil on Self-concept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영선;차영숙;이금비;최용선;이한춘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730-736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romatherapist with analysis of the effect of natural aroma essential oil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Methods. In total, 20 students were recruited to answer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pre and post.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questions about general self-concept, class self-concept, achievement self-concept, abilit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family self-concept, emotional self-concept, physical self-concept. The natural aroma essential oil program was operational in a 90-minute once a week for ten weeks. Results. As a result, the score of emotional self-concept(t=-2.60, p<.05) is higher than pre the experiment post experi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to get a basic data of natural aroma should be applied to improve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자아개념이 휴대폰 충동구매와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Concept on Impulsive Cellular Phone Purchase and Emotional Response)

  • 손준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73-1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아개념이 충동구매와 구매 후 감정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자아개념의 사회의존성-독립성에 따라 2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충동구매와 구매 후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충동구매는 계획성 정도에 따라 충동구매 집단과 비충동구매 집단으로 나누어 구매 후 감정을 비교하였다. 또한 심사숙고성-즉흥성 정도를 이용하여 자아개념과 구매 후 감정과의 관계를 재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충동구매집단은 죄책감, 후회, 행복감에서 비충동구매 집단보다 높았고 자긍심에서는 비충동구매 집단이 높았다. 자아개념은 충동구매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으며, 죄책감, 후회, 행복감에서 충동구매의 구매 후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자긍심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사회적으로 독립적인 자아개념을 가진 소비자들이 충동구매 후에 높은 부정적 감정(죄책감, 후회)과 함께 긍정적 감정(행복감)을 갖지만, 충동구매자체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구매전략으로 보지 않고 있음을(낮은 자긍심)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Retention intention in Nurses)

  • 김남희;박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57-166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B광역시 소재 종합병원 3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5월 7일부터 5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감성지능 정도는 4.82점(7점만점),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는 2.61점(4점만점), 재직의도 정도는 5.47점(8점만점)이었다.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감성지능, 전문직 자아개념과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문직자아개념(β=.456, p<.001), 연령(β=-.228, p<.001), 휴가(β=.197, p=.002)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들에 의한 재직의도 설명력은 총 35.9%(F=32.60,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및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roblem Solving Skills for Nursing Students)

  • 이외선;노윤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349-358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및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 3,4학년에 재학 중인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2월 20일부터 2017년 3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18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은 5점 만점에 3.59점, 비판적 사고성향은 3.47점, 전문직 자아개념은 3.45점, 문제해결 능력은 3.45점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능력은 감성지능(r=.68, p<.001), 비판적사고 성향(r=.77, p<.001), 전문직 자아개념(r=.66, p<.001)과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65.1%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