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difficulties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4초

어린 시절 부-자녀관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대상적 자기손상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hild, adolescent period's father-child relationship on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married women : The mediating role of impaired objective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 이문희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7-120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how a parent-child relationship affects an impaired objective sel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consequently, interpersonal problems. Methods: To carry out this study, a total of 467 married women were surveyed on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impaired objective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The resulting data was interpr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alysis. Results: Firs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hows negative correlations with an impaired objective sel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dition, an impaired objective sel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Second, an impaired objective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mediat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ntrapersonal problems consecutively. Conclusions: This indicates that efforts to mitigate an impaired objective self and to intervene in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can help address intrapersonal difficulties. Finally, this paper examines how this study affects the ongoing discussion on this matter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아동기 부·모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성인기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 촉진적 관계의 조절 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Facilitative Relationship in the Relation between Father and Mother's Emotional Abuse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 박원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55-26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 시절 정서적 학대 경험이 성인기 정서조절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인기 정서적 지지와 촉진적 관계가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정서적 학대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 개입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남녀 336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 정서조절곤란, 정서적 지지, 촉진적 관계척도를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했다.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서적 학대, 정서적 지지, 이들 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으며, 정서적 학대와 촉진적 관계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는 정서조절곤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아버지의 정서적 학대와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 및 촉진적 관계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했고,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의 정서적 학대경험은 성인기 정서적 지지나 촉진적 관계를 통해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경험을 그렇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 영향력의 차이, 성인기 관계 경험의 중요성, 그리고 이러한 결과들의 임상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노인의 감정조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motional Regula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 윤은경;조윤득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429-144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감정조절 어려움이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감정조절 어려움을 예방 또는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조사는 65세 이상의 노인대학과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345명을 대상으로 방문 조사하였다. 감정조절 어려움에 대한 측정도구는 Gratz와 Roemer(2004)가 개발한 것을 본 연구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감정조절 어려움은 5가지 요인으로 재분류하여 내적 감정반응 처리곤란, 표출된 감정의 통제곤란, 명확한 감정인식의 곤란, 감정대처의 어려움, 감정수용의 어려움으로 명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수입유무, 경제적 상태, 과거 3개월 이내 입원력과 질환유무 등에서 개인특성에 따라 감정조절의 어려움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삶의 질은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거주형태, 교육정도, 수입유무, 경제적 상태, 과거 입원력, 질환유무 등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감정조절의 어려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삶의 질 전체로 분석한 결과, 개인특성에서는 남성노인이, 수입이 있으면서, 질환이 적은 경우에 삶의 질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감정반응에 대해 처리가 곤란하거나 감정통제가 잘 안되고, 감정처리능력이 부족할 때 노인의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감정조절의 어려움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련성은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개인특성에 따른 감정조절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접근방법과 노인의 감정조절 어려움을 다차원적으로 분류하여 경감 및 보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과대학생의 진로결정 어려움과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분석 (Analysis of Career Decision Difficulties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Engineering)

  • 이아라;김원호;이주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20-3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engineering on career decision difficulties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Data is consisted of 430 college students. We tested the research question by employing the PSM and the multi-regression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engineering have difficulties in the information about self, the lack of information, and the outside control on career decision more than others. We suggested that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of understanding themselves such as interesting, aptitude, and occupational value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majoring in the engineering.

The Long-Term Effects of Familial Difficulties Experienced in Childhood: Predictors of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during the Early Adolescent Period and Late Life Periods

  • Sohn Byoungdu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6권1호
    • /
    • pp.103-115
    • /
    • 2005
  • This study utilized data (a sample of 18,553 people born in 1958 in England, Scotland, and Wales) from the National Child Development Study of 1968 and 1991 to explore the influence of familial difficulties on the internalizing behavioral patterns during the early adolescent period and late life outcomes periods. In this paper, in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include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to adults', 'hostility to children', and 'withdrawal'. Late outcomes were analyzed in two different variables and one marital management domain: 'unemployment', 'seen doctors about emotional problems', 'divorce or separation; never lived as a couple; arguments end in violent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 that young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familial difficulties also have in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giving them emotional and behavioral instability. The findings also show that familial difficulties during childhood positively contribute to late life outcomes such as unemployment, emotional problems, and marital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need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familial difficulties, counselors and educators must guide parents.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남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on Depression in Adolescent Boys and Girls)

  • 이영화;지연경;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49-168
    • /
    • 2012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materna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EE)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on adolescent depression (depressed affect, positive affect, somatic symptoms and activity inhibition, interpersonal difficulties). Data were taken from 233 middle school students (128 boys, 105 girls) and their mothers. Regression analyses showed vary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Boys with high maternal AEE had lower positive affect, and higher depressive affect, somatic symptoms and activity inhibition,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whereas girls' moods were not influenced by maternal AEE. In addition, boys with problems in mother-dolescent communication exhibited lower positive affect, higher depressed affect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but open communication was not related to any depressive symptoms. The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ype did not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girls either. Both boys and girls both had less open communication and more problem communication with mothers experiencing high AEE. Problem communication with mothe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EE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in boys only. Examination of materna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rovides a deeper context for our understanding of negativ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especially in mother-adolescent boy dyads.

젊은 성인(20-30대)의 ADHD 경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The Influence of Yong Adult ADHD Tendency on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 한여울;정은정;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98-408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 30대 성인 남녀 34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이후 AMOS와 Mplus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과 매개 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ADHD 경향은 정서조절곤란과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이중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정서조절곤란이라는 것을 확인했으며, 정서조절곤란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회적 지지를 증진 시켜 회피적인 대체활동인 스마트폰 중독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Fear of Compassion and the Difficulties of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 강민정;조현주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1호
    • /
    • pp.71-97
    • /
    • 2021
  • 본 연구는 애착외상과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 소재 대학의 대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아동기외상, 자비불안,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애착외상이 높은 집단(상위 25%)과 낮은 집단(하위 25%)으로 분류하여 주요 변인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애착외상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 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외상이 높은 집단은 애착외상이 낮은 집단에 비해 타인으로부터 받는 자비두려움, 자기자비두려움,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이 각각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애착외상이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이 완전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착외상이 자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정서조절곤란으로 이어져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상담 개입 장면에서 갖는 의의를 논의하고 한계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perceived by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 descriptive study

  • In-Sook Lee;Jeong-Hee Jeo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129-141
    • /
    • 2024
  •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 variables, including the level of parenting knowledge,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ir children's emotions and behavior, among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ho faced the challenging task of adapting to Korean society while raising their children. Method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between September and November 2023. Results: The participants had very limited parenting knowledge, and 82.3% of them scored 21 or higher on the depression scale used in community epidemiological studies. Higher levels of parenting knowledge and lower levels of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acculturative stress. Moreover, higher levels of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more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in children. Maternal depression, age, and employment status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influenc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preschool-aged children. Conclus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parent education and mental health support programs for North Korean refugee families in order to improve parents' parenting skills and emotional well-being.

말기 암 환자 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Difficulties in Families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 김신정;강경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0-281
    • /
    • 2005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aring experience of families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 This was designed to be an inductive and descriptive study. Forty-seven families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collected data were examin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 The main categories of difficulties found in this study were 'suffering of patient', 'emotional suffering of family', 'bereavement of patient', 'difficulties in coping', 'problems in treatment', 'incurable situation', 'family problems',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economic problems', 'spiritual problems', 'problems in the future', 'informing patients of their condition', 'preparing death', 'emotional unstability', 'meaninglessness', 'unkindness of medical teams', 'poor environment for treatment', 'difficulties in hospital environment' and 'economic burden'. Conclusion: The main point found from this result was that families taking car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re suffering emotionally from watching the patients' pains and had difficulties in coping with the patients' situation and treatment. In addition, they had negative experiences in medical teams' attitude and hospital environment. This resul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guide for nurses to assess families' needs in the terminal care set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