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sholtzia keton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A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Elsholtzia ciliata (Thunb.) Hylander and 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 Maekawa

  • 윤종성;이상인;이재성;박호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6
    • /
    • 1998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EIslwitzia Ciliata (Thunb.) Hylander(향유) and 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 Maekawa (꽃향유) for standardization and the proper usage as medicinal herbs. The major ingredients of both species were isolated by distillation and extracti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major distillates were carried out by the use of GC/M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onents of Elsholtzia ciliata and Elsholtzia splendens in the aspects of major components. Several common ingredients were identified as linalool, cumene, elsholtzia ketone, naginata ketone isomer, naginata ketone, myristicin, and sesquiterpene alcohol. Comparison between Elsholtzia. ciliata and Elsholtzia splendens was done in the aspect of major compounds. Myristicin (33.7%) has been shown to be the major component in Elsholtzia ciliata whereas naginata ketone isomer (26.1%) was believed to be a major ingredient in Elsholtzia splendens. The elsholtzia ketone was also one of the major differentiating factors between Elsholtzia splendens and Elsholtzia ciliata, and the quantity is 15.1% in Elslwltzia splendens compared to 2.87% in Elsholtzia ciliata. Moreover, in the Elsholtzia splendens, 4- vinylguaiacol and isoosmorhizole were absent, but both compounds were present in the EIsholtzia ciliata.

  • PDF

향유 지상부의 정유의 수종 항생제 내성 병원성 균주에 대한 억제효과 (Study on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from Elsholtzia ciliata against Some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Pathogenic Bacteria)

  • 신승원
    • 약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2-125
    • /
    • 2010
  • The essential oil fraction was extracted from the aerial parts of the plant by steam distillation method and its composition was analyzed by GC-M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hich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43 compounds. Dehydroelsholtzia ketone (56.81%) and elsholtzia ketone (30.05%) were identified as the predominant components of this oil.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 were assessed by micro-dilution tests against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Streptococcus pneumoniae,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and S. typhimurium. The oil inhibited most of the tested strains significantly resulting MICs (minimum inhibiting concentrations) between 2 mg/ml and >16 mg/ml. In most cases of this study Streptococcus pneumoniae and Staphylococcus aureus showed higher sensitivity to this oil than Salmonella strains.

향유와 꽃향유의 향기성분 조성 비교 (The Comparison of Flavor Components Extracted from Elsholtzia ciliata and Elsholtzia splendens)

  • 이재곤;곽재진;임홍빈;정재훈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9-116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flavor components of Elsholtzia ciliata and Eisholtzia splendens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obacco and food industry. Flavor components extracted were divided into three fractions ; essential oil, absolute and oleoresin from E. ciliata and E. splendens. Essential oil was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DE), absolute and oleoresin were extracted by $100\%$ n-hexane and $50\%$ ethanol, respectively. Yields of the essential oil, absolute and oleoresin fractions from E. ciliata were $0.34\%,\;11.34\%\;and\;15.24\%,$ and those from E. splendends were $0.28\%,\;12.45\%\;and\;9.95\%$, respectively. The major components of essential oil of E. ciliata were naginata ketone$(29.37\%)$, elsholtzia ketone$(14.37\%)$ and rosefuran$(11.76\%)$. The major components of essential oil of E. splendens were 2-cyclohexen-1-one$(26.81\%)$, elsholtzia ketone$(13.46\%)$ and naginata ketone$(5.26\%).$ The composition of flavor components showed a slight difference between essential oils of E. ciliata and E. splendens. The major components of absolute fraction from E. ciliata were linoleic acid$(12.07\%),$ palmitic acid$(10.46\%)$ and 2-cyclohexene-1-one$(5.39\%).$ And those from E. splendens were linoleic acid$(12.38\%),$ palmitic acid$(9.47\%)$ and naginata ketone$(8.86\%).$ Ethyl linoleolate was a major component in oleoresin of E. ciliata and E. splendens.

향유의 향기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검정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lsholtzia ciliata (Thunb.) Hylander)

  • 정재훈;임흥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63-472
    • /
    • 2004
  • 한약재 향유의 정유성분, absolute 및 oleoresin을 추출분리 동정하고,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세포독성, 돌연변이 유발성 검정 및 거담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향유의 정유성분의 수율은 0.34%이었으며, naginate ketone이 29.37%와 elsholtizia ketone이 14.37%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향유의 absolutes의 수율은 11.33%이었으며, methyl linolenate가 12.07%이었고, palmitic acid 10.46% 비율로 존재하고 있었다. 향유의 oleoresins의 수율은 15.24%이었으며, 9,12,15-octadecatrienoic acid가 18.6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세 방법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시험에서 향유의 정유성분과 oleoresins을 $200\;{\mu}g/m{\el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지질과산화를 잘 억제하였으나. absolutes는 같은 농도에서 거의 억제하지 못하였다. 향유의 정유성분과 oleoresins은 24시간에서 $EC_{50}$값이 $25\;{\mu}g/m{\ell}$이하로 고농도에서만 약간의 세포독성이 있으며, 향유의 absolues와 oleoresins은 고 농도에서도 돌연변이 유발성과 향균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유성분은 $500\;{\mu}g/plate$ 이상 처리시 돌연변이 유발성 뿐만 아니라 항균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유의 정유성분과 oleoresins은 약간의 거담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꽃향유 전초의 향기성분 분석과 생리활성 평가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Elsholtzia splendens)

  • 정재훈;임흥빈
    • 분석과학
    • /
    • 제18권6호
    • /
    • pp.500-510
    • /
    • 2005
  • 향료자원 꽃향유 전초의 향기성분 essential oil, absolute 및 oleoresin을 추출 분리 동정하고, 지질과산화 억제, 세포독성, 돌연변이유발성 및 거담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꽃향유 전초의 essential oil 수율은 0.28%이었으며, 2-cyclohexen-1-one이 26.81%와 elsholtizia ketone이 13.46%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꽃향유 전초의 absolute의 수율은 12.45%이었으며, methyl linolenate가 12.38%이었고, palmitic acid 9.47% 비율로 존재하고 있었다. 꽃향유 전초의 oleoresin의 수율은 9.95%이었으며, 9,12,15-octadecatrienoic acid가 22.1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세 방법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시험에서 $200{\mu}g/ml$ 처리했을 때 꽃향유전초의 essential oil과 oleoresin은 지질과 산화를 잘 억제하였으나, absolute는 거의 억제하지 못하였다. 꽃향유 전초의 oleoresin은 24시간에서 $EC_{50}$값이 $17.6{\mu}g/ml$로 고농도에서만 약간의 세포독성이 있으며, absolue와 oleoresin은 고 농도에서도 돌연변이 유발성과 항균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essential oil은 $500{\mu}g/ml$이상 처리 시 돌연변이 유발성 뿐만 아니라 항균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향유 전초의 essential oil과 oleoresin은 약간의 거담효과는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에 의한 꿀풀과 약초의 향기성분과 그 특성 (Volatile Aroma Compound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Labiatae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 송영은;구창섭;문성필;류지성;김대향;최정식;최영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0-125
    • /
    • 2002
  • 본 연구는 향기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꿀풀과의 대표적인 5종류를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소량의 시료만으로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고상 미량 추출법(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과 동시증류추출법(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 SDE)으로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종류의 꿀풀과 약초의 향기성분 구성은 linanol, limonene, citral, trans-geraniol 등의 monoterpene alcohol, monoterpene aldehyde 및 ketone 과 trans-caryophyllene, ${\delta}-cadinene$ 등의 sesquiterpene 성분들이 주로 검출되었다. 분석결과 기존의 향기성분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 동시증류추출법(SDE)과 주성분에서 대부분 유사하였으나 형개의 향기성분처럼 SPME법에서 많은 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고 배초향, 박하의 성분처럼 SDE법에서 검출되지 않은 일부 성분도 SPME법에서 검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PME법은 낮은 온도에서 흡착만으로 성분의 포집이 이루어지므로 추출, 농축 등의 조작에 의한 SDE법보다 이차적인 변질이 적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SPME법은 열변성이 적고 소량으로 다수의 시료를 분석할 수 있어 향신약초의 품종육종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하고 신속한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