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imination of glycero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연속공정에서 리파제 촉매 전이에스테르화에 의한 식물유의 바이오디젤화 (Bio-diesel of Vegetable Oils by Lipase Catalyzed Trans-esterification into Continuous Process)

  • 현영진;김해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6-115
    • /
    • 2005
  • Bio-diesel as fatty acid methyl ester was derived from such oils as soybean, peanut and canola oil by lipase catalyzed continuous trans-esterification. So the activation of lipase(Novozym - 435) was kept to be up to 4:1, the limiting molar ratio of methanol to oil under one-step addition of methanol due to the miscibility of oil and methanol through the static mixer for 4hrs and the elimination of glycerol on the surface of lipase by 7wt% silica gel. Therefore the overall yield of fatty acid methyl ester from soybean oil appeared to be 98% at 50$^{\cdot}C$ of reaction temperature under two-steps addition of methanol with 2${\times}$2:1 of methanol to oil molar ratio at an interval of 5.5hrs, 7wt% of lipase, 24 number of mixer elements, 0.2ml/min of flow rate and 7wt% of silica gel.

이산화염소수 및 구연산처리에 따른 무(Raphanus sativus L.) 새싹과 종자의 미생물 제어 효과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itric Acid on Redu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on Sprouting Radish Seeds)

  • 박기재;임정호;김범근;김종찬;정진웅;정승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54-759
    • /
    • 2008
  • 새싹 채소 중 무순의 위생적인 재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종자세척 및 관수로서 이산화염소수, citric acid 및 glycerin의 적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무 종자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기 위하여 Salmonella typhimurium은 실험실 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무 종자를 S. typhimurium 현탁액에 침지시켜 균수를 약 $10^6\;log\;CFU/g$로 조절하였다. 무 종자에 대한 세척 효과는 이산화염소수 및 citric acid의 단독처리보다 병행처리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이산화염 소수 200 ppm과 citric acid 2%의 병행처리시 2.89 log CFU/g 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glycerol 0.5%/citric acid 2.0% 처리의 경우 3.46 log CFU/g, glycerol 0.5%/이산화염 소수 200 ppm 처리는 2.14 log CFU/g의 S. typhimurium 균의 감소를 나타내어, glycerol 단독 처리보다 병행처리구가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무 종자의 발아 및 성정에 따른 균수 감소는 비록 종자에 대한 처리효과가 유의적으로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새싹 성장 후 균수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Elimina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Toxic Cyclic nonapeptide and Cyanogen Glycoside Components from Flax Seed Oil

  • Choi, Eun-Mi;Kim, Jeung-Won;Pyo, Mi-Kyung;Jo, Sung-Jun;Han, Byung-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5권1호
    • /
    • pp.65-72
    • /
    • 2007
  • Flax seed(Linseed, Linum usitatissimum L.) and its oil, a richest source of alpha-linolenic acid(ALA)(${\omega}-3$), contain saturated fatty acids, neurotoxic cyanogen glycosides and immuno-suppressive cyclic-nonapeptides. Present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wo chemical processes, Process-A and -B, to remove saturated fatty acids and to destroy cyclic nonapeptides and cyanogen glycosides from flax seed oil. Process-A consists of three major steps, i.e., extraction of fatty acid mixture by alkaline saponification, removal of saturated fatty acid by urea-complexation, and triglyceride reconstruc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 via fatty acyl-chloride activation using oxalyl chloride. Process-B consists of preparation of fatty acid ethyl ester by transesterification, elimination of saturated fatty acid ester by urea-complexation, and reconstruction of triglyceride by interesterification with glycerol-triacetate (triacetin). The destruction of lipophilic cyclic nonapeptide during saponification or transesterification processes could be demonstrated indirectly by the disappearance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bacitracin, an analogous cyclic-decapeptide. The cyanogen glycosides were found only in the dregs after hexane extraction, but not in the flax seed oil. The reconstructed triglyceride of flax seed oil, obtained by these two different pathways after elimination of saturated fatty acid and toxic components, showed agreeable properties as edible oil in terms of taste, acid value, iodine and peroxide value, glycerin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DPPC의 상전이에 미치는 Dammarane Series의 Triterpenoidal Glycoside와 그 Aglycone의 영향 (Effect of Triterpenoidal Glycosides of Dammarane Series and Their Aglycones on Phase Transitions of Dipalmitoylphosphatidylcholine)

  • Kim, Yu.A.;Park, Kyeong-Mee;Park, Hwa-J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23-29
    • /
    • 1996
  • The effect of ginseng glycosides and their aglycones on the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membranes from dipalmitoylphosphatidylcholine (DPPC) was investigated. Total saponins (TS) from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interacted with the Eel Phase of lipid in the Polar region and did not penetrate the deeper glycerol backbone of lipid molecule. From the all investigated components of TS (aglycons and ginsenosides), only 20-(S)-panaxadiol (PD) had an effect similar to TS. High concentration of TS penetrated in hydrophobic Cl-C8 region. The presence of cholesterol did not influence the interaction of TS with DPPC. An elimination of transition, however, took place at 10~100 $\mu\textrm{g}$/ml of TS. DPPC had a low ability to interact with cholesterol (CHL) as compared with other lecithins except ethanolamine. From our results, only TS and PD, at high concentrations (100 mol%), influenced the phase transition of mixture of DPPC:CHL.

  • PDF

Freeze - Flow Process 를 이용한 농축우유의 저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servation of Concentrated Milk by Freeze - Flow Process)

  • 이영춘;신동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0-505
    • /
    • 1985
  • 농축우유에 냉동보호물질을 첨가하여 $-15^{\circ}C$에서 비동결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15^{\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중 품질변화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축우유를 $-15^{\circ}C$에서 비동결 상태로 저장하는데 적합한 복합냉동보호물질은 설탕 17.74%, glucose, 8.87% fructose 8.87%, glycerol 2%, HMP 0.25%, NaCl 0.25%, ascorbic acid 0.02%로 구성되었으며, 고형분 38%인 농축우유에 냉동보호물질 38%를 첨가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저장중의 품질변화중 관능적 품질과 이용성에 가장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은 단백질 변성에 의한 gel화현상 이었다. Gel화현상은 대조구에서 3주저장 후부터 발생하였으나 냉동보호물질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전 저장기간동안 발생하지 않았다. 우유 단백질의 저장중 변성현상을 뒷받침하는 단백질 침전량을 조사한 결과 control에서 3주 후부터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처리구에서는 저장기간동안 나타나지 않아TEk. 저장중 농축우유의 색깔변화나 과산화물가의 변화는 경미했으며, 대조구과 처리구간에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농축우유에 냉동보호물질을 첨가하여 냉동저장온도에서 비동결상태로 저장하면 통상적인 냉동저장방법과 같은 품질보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통 냉동저장시에 발생하는 우유단백질의 변성에서 오는 gel화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저장 후 제품의 품질과 이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었다.

  • PDF

지질 수액체 투여가 정상인의 혈장 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eral Lipid Formulas on Seurm Lipids Clearance in Normal Volunteers)

  • Choe Myeon·Kim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461-467
    • /
    • 1992
  • Total parenteral nutrition(TPN)의 구성성분으로써 지방질 수액제의 사용은 점차 많아지고 있지만 사용량이나 사용대상에 대해서는 아직도 규명해야 할 것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 지방질 수액제들을 사용했을 때 이들이 혈청 지질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검토하였다. 각각의 시판 지방질 수액제를 12명의 정상적인 사람에게 주사한 후 5분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내 각종 지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혈청내에서 지질이 감소되는 속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혈청중 중성지방의 fractional removal rate(K)와 반감시간(t/2)를 intravenous fat tolerance test(IVFTT)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측정한 각종 항목에서 두 시판 지방질 사이에 통계적 차이를 볼수 없었으며 어떤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두 제품 모두 혈액중의 지질감소, 속도가 유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