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education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4초

지구과학 수업에서 노래의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반응과 평가 (Pre-service Teacher Trainees의 Reactions to and Evaluations About The Earth Science Teaching Method That Utilizes Songs.)

  • 명전옥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131-144
    • /
    • 199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ervice teacher trainees' reactions to and evaluations about the earth science teaching method that utilizes song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1 university student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or prim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earcher used songs which the subjects judged to be reflecting some of the natural phenomena related to the earth science. The teacher trainees were taught some of the earth science concepts with the help of the selected songs. Discussions about the possibilities of the songs as an ai d to science teaching were also encouraged. The teacher trainees demonstrated positive reactions to the teaching method, and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use songs in their future teaching. The method also inspired the trainees to be inquisitive in their everyday life and seek other effective teaching methods.

  • PDF

일본의 과학 영재교육 (Scientific Talent Education in Japan)

  • 박인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9-127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way of teaching the scietific talent in Japan.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by the printed matter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1. Japan at present has neither systems nor laws for offical scientific talent education. 2. Japanese's scientific knowledge and way of rational thinking had been widespread among the general public by elementary education from one hundred ten years or so ago. 3. In addition, the instrument subjects such as foreign language and mathematics were well educat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and the preparatory courses of college. 4. Especially, the third and the first preparatory courses of a college(Daisan Koukou and Daiitchi Koukou) and Kyoto University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cultivation of liberal spirit in education, which turned out to be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for scientific talent education.

  • PDF

과학 교과서에서 기압과 대기압에 대한 설명 방식의 차이점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of Explanation on Gas Pressure and Atmospheric Pressure in Science Textbooks)

  • 백성혜;송주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0-251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중학교 과학교과서,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와 지구과학 교과서, 그리고 대학교 일반화학 및 일반지구과학 교과서 중심으로 기압과 대기압에 대한 설명 방식의 차이점을 3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유형 1은 무게로 설명하는 경우이며, 유형 2는 단위 면적에 작용하는 공기의 압력으로 설명하는 경우이고, 유형 3은 기체 분자 운동으로 설명하는 경우이다. 과학 교과서 분석 결과,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는 유형 1로, 중 고등학교 화학 영역 교과서에서는 모두 유형 3으로 설명하였으며, 지구과학 영역 교과서에서는 주로 유형 1로 설명하였다. 한편, 대학교 일반화학 교과서는 주로 유형 1과 유형 2로 설명하였으며, 일반지구과학 교과서는 중 고등학교 지구과학 영역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주로 유형 1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과학 교과서에서 기압과 대기압에 대한 설명 방식의 차이는 학생들이 기압과 대기압을 이해하는데 혼란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국내 환경교육 연구의 동향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of Korea)

  • 노경임;이학동;박현주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69-82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of Korea. In this study, the papers in $\ulcorner$Hwankyungkyoyuk$\lrcorn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ulcorner$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lrcorner$ from the initial number to the latest number were investigated. The category of analysis in this study were the number of papers, research area, method, character, the major targe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ajor targets of research,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apers in $\ulcorner$Hwankyungkyoyuk$\lrcorner$ were 178 and in $\ulcorner$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lrcorner$ were 406(10 of them were rel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2. The research areas of the papers were Environmental Education(52.4%),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19%), Environmental Science(8.5%), Science Education(7.9%), and Social Education(3.2%). 3. The major parts of the method of the papers were literature review(31.7%), survey research(21.2%), and descriptive study(20.3%). 4. More than half of the character of the papers wer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35.4%) and consciousness (17.9%), 5. The major targe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the papers were secondary school students(33.9%)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18.8%). 6. The major targets of researches of the papers were secondary school students(33.8%), teachers(30.0%), the general public(20.0%),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18.8%). 7.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the papers were Values and Attitudes(31.2%), Behaviors and Participations(29.6%), Knowledges and Informations(27.2%), and Skills(12%). 8. The contents of Environment of the papers were waste(27.7%), water quality(15.2%), the whole environment(12.5%), air quality(9.8%), natural environment(5.4%), soil(4.4%), energy(4.4%), and so 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of Korea were needed to be reinforced in the field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e development of learninyg meterals, and teacher education.

  • PDF

Habermas의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Dietary Lif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ome Economics that Integrated Habermas's Three Systems of Action)

  • 최성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39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가정교과에서의 융합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문헌 고찰을 통해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식생활 교육과정의 특징, 개발의 중점사항, 핵심역량, 목표를 도출하였고, 국내외 식생활교육 문헌, 국내외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하여 항구적 문제와 하위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고,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가 타당한지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하여 수정·보완하였고,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되어있으며, 항구적 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이 교육과정의 영역은 5가지로 '건강과 식생활', '식단계획', '식품 구매와 관리', '조리', '식사'이며, 이 영역이 '개인과 가족', '사회'로 교육과정의 범위가 반복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5개 영역의 실천적 문제는 초·중·고등학교 급별, 두 차원(개인과 가족, 사회)으로 10개씩의 실천적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열화의 원리가 적용되어 실천적 문제와 내용 요소가 나선형적 계열화가 되어있다. 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우리나라 2015 초등학교 실과와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가정과학 교육과정의 식생활 영역 성취기준 및 학습 요소와 비교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면서 더 추가된 내용이 있었다.

액체 상태에서의 현상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설명 (Perspective Primary Teachers' Explanations of Liquid-State Phenomena)

  • 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4호
    • /
    • pp.371-384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er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liquid-state and ge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science curriculum 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instrument was composed of seven questions focusing on aspects of liquid-state phenomen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ve various alternative concepts about liquid-state. The problem revealed in almost every question was their macroscopic explanations for the phenomena.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the participants seemed to understand phenomena in terminology level, but they didn't know basic reasons or fundamental concepts about the phenomena.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curriculum or instructional methods in secondary school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anchor the scientific concepts on molecular or microscopic level.

  • PDF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 전문성에 관한 10년 주기(2008-2018) 비교 연구 (A Decade of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Perception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 맹희주;손연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17-728
    • /
    • 2019
  • 창의융합 인재 양성의 중요성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도 융합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며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더불어 최근 10년간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이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0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59명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1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PCK)에 대하여 10년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2018년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과학교육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 교수학습 자료의 제공, 학습내용의 축소, 학생 수 감소와 시간표의 융통성 확보, 학생과 학부모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확대의 필요에 대한 인식도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기진단에 의한 PCK 조사 결과, 교과 내용 지식 확보 능력,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의 이해와 수업 구성 능력, 통합적 교수 전략 능력, 통합적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 조성 능력, 통합과학교육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등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PCK는 10년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융복합 교육의 강조로 현장에서 융복합 수업의 적용 경험이 많아졌으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부합하고자 하는 과학교사들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실로 보여졌다.

초.중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식물 학습 소재 분석 II- 생물영역 이외의 타 교과 중심으로 - (Analysis of Plant-related Learning Materials in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I- Focus on Other Subject Matters Except Biology -)

  • 여성희;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51-45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초 중등학교의 전 교과에서 다루어진 식물 학습 소재의 다양성을 조사 분석하여 과학 교과서(생물영역)의 식물 학습 소재의 개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초등학교 9교과 143권, 중학교 13교과 117권, 고등학교 15교과 71권 등 총 331권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 중등학교 전 교과의 학교 급간별 식물의 종 수는 초등학교 264종, 중학교 295종, 고등학교 283종으로 과학교과서(생물영역)의 103종, 206종, 193종보다 많다. 타 교과에 식물의 종 수가 많다는 것은 식물 학습 내용도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초 중등학교에서 식물 학습 소재가 많이 나타난 타 교과는 국어, 사회, 실과(실업 가정)로 단순한 식물 인용뿐만 아니라 과학 개념 및 탐구 활동을 내포하고 있다. 식물 학습 소재는 과학 교육 과정뿐 아니라 학교 교육 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 타 교과에서 인용되는 식물 학습 소재의 특징은 주변 식물, 자원 식물, 식용 식물, 관상 식물, 산업에 관련된 식물 등 유용성 있는 생활 관련 식물이다. 4. 과학과 생활과의 관계를 인식하여 타 교과의 식물학습 소재를 과학 교과(생물영역)의 식물 소재 개발에 적용한다면 STS 교육 및 통합 교과의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본다.

  • PDF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 Difference in school level and career -)

  • 강현영;이동환;고은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2호
    • /
    • pp.173-189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views on: (1) Requirements for good mathematics teaching (2) wha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nd supports are needed for these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the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For it, we developed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was anonymously answered by one-hundred-five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We suggested implications rela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학교과학교육에서 실험 활동의 목적: 전문가 커뮤니티를 통한 델파이 연구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School Science: A Delphi Study of Expert Community)

  • 양일호;조현준;정진우;허명;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7-190
    • /
    • 2006
  • 많은 과학교육자들이 과학 실험활동의 목적에 대하여 연구해 왔지만, 연구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지금까지도 과학교육 전문가 커뮤니티에 의해 합의된 실험목적이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과학실험활동에서 추구되어야 할 목적을 전문가 커뮤니티로부터 합의된 견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전문가 커뮤니티는 4명의 과학자, 4명의 과학교육전문가, 6명의 초등교사, 7명의 중등교사로 구성되었다. 이들로부터 얻은 실힘목적이 수렴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각 학교급에 따른 실험목적이 얻어졌다. 초등학교 과학 실험 활동의 목적은 7 항목이며, 중등학교 과학 실험 활동 목적은 9 항목, 대학교의 과학 실험 활동 목적은 13개 항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