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검색결과 455건 처리시간 0.026초

에니어그램 중심유형으로 보는 Computational Thinking (Computational Thinking as an Enneagram Centered-type)

  • 김세민;홍기천;유강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44-64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양강좌 학생들의 스크래치 수업에서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 검사를 실시한 후 중심유형을 파악하여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의 각각의 특성으로는 초중고등학교때 프로그래밍을 경험해보지 못한 이와 경험해본 이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이 유형별로 분류한 다음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였다.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가 다른 점은 에니어그램 중심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알맞게 교수학습방법을 달리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컴퓨팅 사고를 학습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로운 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 of Korea School Library Association)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3-225
    • /
    • 2012
  •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는 우리나라의 사서교사직을 대표하는 전문직 단체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가 현안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전략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의 현안문제와 조직내부의 환경을 분석한 후 전체 사업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였고, 규정된 사업 중에서 전략계획이 필요한 12개 사업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사업에 대해서 회원들의 중요도를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가 중점을 두어야할 4개의 전략사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사업은 학교도서관진흥법의 개정, 초 중등교육법의 개정, 사서교사 고충사례 조사 및 대응, 우수 교육사례 모집 및 배포이며, 각 사업에 대해 달성목표, 집행부별 세부 목표, 추진절차 등을 포함한 전략계획을 수립하였다.

양호교사(養護敎師) 업무(業務)에 대(對)한 인지(認知) 및 기대(期待)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Recognition and Expectation on School Nurse's Work at the Primary,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Teachers in Suwon)

  • 박영남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00-115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necessary data for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school nurse's work by comparing with the recognition and expectation on school nurse's work by the students and their teachers in school settings.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nsisted of the 441 students and 535 teachers in Suw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24th, Sept, to 29th, Sept. 199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SAS/PC program for percentag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hisquare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analysis in recognition on school nurse's work.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school level, sex, age and career with school nurse(P>0.05). The studen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ir school level and sex(P>0.05). Also, in the areas of school nurse's work, school clinic management has the highest recognition and school environment management has the lowest recognition. 2. The result of analysis in expectation on school nurse's work.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and students' school level: the order of expectation i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P<0.05). In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students' and teachers' expectation in the same school level,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elementary school(P<0.05).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sex, age, career with school nurse and students' sex(P>0.05). Also, in the areas of school nurse's work, school clinic management has the highest expectation and school environment management has the lowest expectation. Synthesizing the result of the study, we can have the conclusion like following. First, students' recognition on school nurse's work is lower than teachers' because most of school nurse's work is performed through their homeroom teachers or other teachers. That can be the limitation for students to recognize school nurse's work. So, there must be a chance of regular meeting between school nurse and students to perform school nurse's work effectively. For this. we must change our educational system and make school nurse charge regular lesson. Second, in each area of school nurse's work,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and expectation about the area of school environment management has much lower score than the other areas. This indirectly shows the school nurse don't do the work of the area actively. So, school nurses must make an effort to do the work of the area actively. And we must enforce the education of this area in education for new school nurses or re-education for school nurses.

  • PDF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 검사 도구 개발과 분석 (An Analysis of Recognition in Mathematics Learning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 강미선;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667-689
    • /
    • 2016
  •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 국제비교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높은 인지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정의적 성취가 낮은 원인을 가치의 측면에서 탐색하기 위하여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인식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의 하위 요인을 밝히고 학부모와 자녀의 수학학습가치인식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24개 문항의 검사지를 경기지역 초등학교 3,4,5학년 학생과 학부모 198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초등학생의 수학학습가치는 내재가치, 사회적가치, 타인가치, 개인미래가치, 자신감가치 등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고, 초등학교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는 초등학교 학생의 사회적가치가 사회적도구가치와 사회적의무가치로 분리되어 총 6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 인식 사이에 정적 상관이 있는 요인이 내재가치, 사회적도구가치, 개인미래가치, 타인가치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 학생들의 긍정적인 수학학습가치 인식 향상을 위하여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학습노력, 태도 및 성취목표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A Longitudinal Study on the Influence of Learning Effort, Attitude, and Achievement Goal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김용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1-20
    • /
    • 2021
  •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수학 학업성취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그 성장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011년도(초등학교 5학년)부터 2014년(중학교 2학년)까지 학생들에 대한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이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 학습노력과 학습태도, 성취목표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그룹(2277명, 67.7%)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노력과 학습태도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그룹(958명, 28.5%)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태도가 직접적인 영향, 학습노력은 학습태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그룹(127명, 3.8%)의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습태도와 학습노력, 성취목표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국내 복지기술 동향 분석 (Current Trends Analysis of Welfare Technology in Korea for Older Adult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 박소영;이영석;강창욱;박화옥;배성근;이재욱;최승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295-304
    • /
    • 2017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검토를 통해 복지 요구 및 기능, ICT 기술 범주를 함께 고려한 복지기술 분류틀을 개발하고 이 분류틀에 따라 노인과 장애인 대상의 국내 복지기술 활용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복지기술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계적 문헌 검토 방법을 사용하여 5개의 복지요구 및 기능 요소와 8개의 ICT 기술로 구성된 복지기술 분류틀을 도출해 낸 뒤 국내 복지기술 활용 현황에 대해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 복지기술 활용은 복지 요구 중 자립자조 분야, 기능면에서는 이동성, ICT 기술에 있어서는 ICT 디바이스를 이용한 기술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실정에 맞는 복지기술 분류틀을 사용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향후 한국 복지기술의 방향성 모색을 위한 연구가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중독 실태와 인성에 미치는 영향 (Actual Condition of Teenagers' Computer Game Addiction and It's Influence on their Personality)

  • 안성훈;장일용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47-459
    • /
    • 2007
  • 최근 한국의 청소년들은 컴퓨터 보급의 확대와 컴퓨터 게임 산업의 발전으로 컴퓨터 게임의 이용이 급격히 늘고 있다. 청소년의 82.4%가 게임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22.4%는 매일 컴퓨터 게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게임은 자신감과 집중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인터넷 사용, 외국어 실력 그리고 인지 능력을 향상시켜 학습 효과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풀어준다는 긍정적인 주장도 있으나 중독 증세로 인해 야기되는 부정적인 주장도 있다. Young(1996)은 컴퓨터 게임 중독이 다른 중독 현상처럼 통제상실, 갈망, 결혼불화, 학업실패, 재정적 결핍, 실직 등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게임 중독이 청소년의 인성특성에 실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이용 실태 조사, 컴퓨터 게임 중독 검사와 성별간의 차이 분석, 컴퓨터 게임 중독 정도와 인성특성간의 상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 게임 중독은 청소년의 안정성, 자율성,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조절 등의 인성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과 학교적응 (Perception of school environ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ts during middle school transition)

  • 엄선영;이강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9-100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 및 학교적응의 양상과 이들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 및 학교적응의 양상이 중학교 진학 이전과 이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2개 중학교의 1학년 전체 학생 781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진학 초기인 3월말에 학교환경지각과 학교 적응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편, 중학교 진학 이전과 이후의 학교환경지각 및 학교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이들 2개 중학교에 배정받는 인근의 1개 초등학교 6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에 6학년 말에 동일한 내용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후 조사대상 중학교에 배정받은 학생 126명이 표집되었으며, 부실 기재된 경우를 제외한 119명의 학교환경지각 및 학교적응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나 하위영역 중 학교에서의 안전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둘째,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특히 학교생활과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과 학교적응은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 점수는 중학교 진학 이전에 비해 진학 이후에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교사 지지도에 대한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다섯째,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점수는 중학교 진학 이전과 이후에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영역 중 학교수업적응과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중학교 진학 이전보다 이후에 오히려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 PDF

과학교육 기반 인성역량 함양을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프로그램 실천 교사들의 이해 분석 (Analysis of Teacher Understanding After Adapt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e (CoProC) Program on Science Education)

  • 강유진;박지훈;박종석;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133-144
    • /
    • 2021
  •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평가, 경쟁적 분위기, 과중한 업무, 시간 부족의 이유로 인성교육을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실제로 인성교육을 수업에 적용한 경험이 없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과학 수업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와 제안점을 논의하는 연구가 흔치 않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그 효과가 논의된 인성역량 함양을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e) 프로그램을 수업 현장에 적용한 교사들의 실천에 대한 것이다. 과학 수업에 CoProC 프로그램을 적용한 5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CoProC 프로그램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성역량 성취도와 교사들의 두차례 인터뷰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사의 일반 교직 경력보다는 CoProC 프로그램에 대한 연수, 개발, 수업 경험이 학생의 인성역량 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CoProC 프로그램의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수업에서 어려움, 평가, 피드백에 영향을 미친다.

서울지역(地域) 중고등학교(中高等學校) 학교보건실태(學校保健實態) 및 양호교사 업무수행(業務遂行)에 관(關)한 요인분석(要因分析) (A Study on the status of school health and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chool nurse's ac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

  • 고영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4-49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school health and analyze affecting factors of school nurses' self confidence and nursing activities of the secondary school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3th of August to 30th of October. The self reported questionairs were distributed during one of the school nurses seminars held in Seoul and 93 secondary school nurses answered.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tilizing SPSS for percentage, mea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33.4 and mean length of experience as a school nurse was 7.3 years. 79.5 percent of them had clinical experiences and the mean clinic experience was 2.1 years. The majority of them were graduate of the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and 82.8 percent of them were married. 72.0 percent of the sample had religion, and 60.2 percent of them were in the national or public schools. 90.3 percent of them had independent duty. 2. The status of school health resources In average, there were 2,445 students, 37 classes and 63 teachers per school nurse. 48.4 percent of them were aware of the school budget. The budget for school health was 585,000 won per school in average. 30.0 percent of the schools had school health organization. The schools whose health clinics were on the first floor consisted of 79.3 percent, among them 42.9 percent were on the center of the building office. 3. Activities of school health nursing The average number of students using health clinic were 430 per month. The majority of the problem was digestive problem. There were 7.5 times of mean correspondences with parents per year. The activities of the school nurses were clinic management (29.0%), health care services (23.5%) and health education (14.1%). 4. The degrees of self confidence of the school nurse and nursing activities Self confidence measured by 6 items of self-reported questionaires scored by 4 point Likert Scale revealed. The nurses' self-confidence was 2.922 in clinic management, 2.909 in health education, 2.759 in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2.757 in health care services, 2.692 in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and 2.250 in operation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The nursing activities scored by 2 point. The nursing activities was 1,870 in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1.853 in health education, 1.843 in clinic management, 1.739 in health care services, 1.696 in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and 1.265 in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5. Factors affecting self confidence and nursing activities of school nurs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nurses and the school health resources were related to self confidence and nursing activitie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nurses' self confidence was type of the school ownership and the presence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nursing activ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