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chemical treatment

검색결과 663건 처리시간 0.019초

Ephedrine이 뇌내 Biogenic Am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phedrine on the Levels of Biogenic Amines and Their Metabolites in Rat Brain)

  • 이경은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3-164
    • /
    • 1995
  • Sympathomimetic amines, especially ephedrine, are a major ingredient in proprietary medications for symptomatic treatment of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Their frequent uses can lead to occasional instances of abuse and habituation. The clinical symptoms of ephedrine abuse are similar to that of amphetamine psychosis and resemble closely that of schizophrenia. Because both amphetamine psychosis and schizophrenia are thought to be mediated primarily through the action on catecholamines, ephedrine-induced changes of the biogenic amines can be suspected. However, there were few studies about the central effects of ephedrine because of the milder central action than peripheral. Therefore,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effects of single or repeated administration of ephedrine on the regional levels of biogenic amines in rat brain and ephedrine-induced CNS stimulation. The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0{\sim}200\;g$ were used. After single or repeated administrations of ephedrine, blocks of tissue were obtained from frontal cortex, corpus striatum, hippocampus, thalamus, hypothalamus, substantia nigra and cerebellum. The concentration of biogenic amines(norepinephrine, epinephrine, dopamine, 5-hydroxytryptamine(5-HT)) and their metabolites (3,4-dihydroxyphenylacetic acid (DOPAC), homovanillic acid(HVA), 5-hydroxyindoleacetic acid(5-HIAA)) were measured by means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chemical detector(HPLC-EC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normal rat, the concentration of norepinephrine was the highest in hypothalamus. Dopamine, DOPAC and HVA were highest in corpus striatum, and 5-HT and 5-HIAA were highest in substantia nigra. Epinephrine was not detectable in any part of the brain tissue. 2) In a single administration of ephedrine, the concentration of DOPAC was decreased in corpus striatum. However, the other biogenic amines and their metabolites were not changed. 3) In repeated administration of ephedrine, the concentration of norepinephrine was decreased in all brain region checked. Dopamine was decreased in corpus striatum and substantia nigra and, increased in hypothalamus, and HVA was decreased in corpus striatum. 5-HT was decreased in all brain region except cerebellum and, 5-HIAA was decreased only in frontal cortex. The ratio of 5-HIAA/5-HT was increased in corpus striatum, thalamus, hypothalamus and substantia nigra. These data indicated that, although a single administration of ephedrine did not change the central neurotransmitters, repeated administration of ephedrine caused the decreases of norepinephrine and 5-HT in the most regions of brain, which may be responsible for the emergence of abnormal behavioral effect after ephedrine abuse.

  • PDF

탄소나노튜브 전자 필름을 이용한 고감도-고선택성 전기화학 글루코스 센서 (Sensitive and Selective Electrochemical Glucose Biosensor Based on a Carbon Nanotube Electronic Film)

  • 이승우;이동욱;서병관
    • 공업화학
    • /
    • 제33권2호
    • /
    • pp.188-19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적 표면 기능기화 통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탄소소재의 특성 변화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대면적화 공법을 제안하고, 대면적화 된 SWNT 전자 필름 상에 효소를 집적하여 효소와 SWCNT 전자 필름 간 효율적 전자 전달을 연구하였다. p-terphenyl-4,4"-dithiol, dithiothreitol와 SWCNT의 혼합을 통해 SWCNT 전자 필름의 균일도 및 전하 전달 능력을 향상시키고, 분광학적 분석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여 SWCNT 전자 필름의 향상된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전자 필름 상에 고분자 전해질 및 포도당 산화환원 효소를 layer-by-layer 기법으로 효율적으로 집적하여, 최종적으로 음전압 범위에서 구동이 가능한 포도당(glucose) 바이오센서를 구현하였다. 개발된 포도당 바이오센서는 효소와 SWCNT 전자 필름과의 높은 전하 전달 효율을 바탕으로 -0.45 vs. Ag/AgCl 음전압 범위에서 높은 산화환원 신호를 보였을 뿐 아니라 0~1 mM의 낮은 글루코스 농도 변화에서 약 98 ㎂/mM·cm2의 높은 감도를 보였다. 또한 음전압 구동을 통하여, 산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4종의 방해물질(요산, 아스코르빅산, 도파민, 아세타아미노펜) 환경에서 4% 이하의 변화를 보여 높은 선택성을 보였다.

전도성고분자, 티로시나아제 효소 및 이온성 액체 전해질을 융합한 전압전류법 기반의 비스페놀F 검출 센서 (Voltammetric Sensor Incorporated with Conductive Polymer, Tyrosinase, and Ionic Liquid Electrolyte for Bisphenol F)

  • 지성은;이상혁;이혜진
    • 공업화학
    • /
    • 제34권3호
    • /
    • pp.258-26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일회용 센서 칩으로 제작 가능한 스크린 프린팅된 탄소칩 전극(screen printed carbon electrode; SPCE) 표면에 전도성고분자 및 효소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Tyr)를 적층하여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남성 질환, 갑상선 질환 등과 연관성이 입증된 내분비계 교란 물질인 비스페놀F (bisphenol F, BPF) 검출에 적용하였다.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음전하를 띠게 한 SPCE 작업전극 표면에 양전하를 띄는 전도성 고분자인 poly(diallyldimethyl ammonium chloride) (PDDA)과 음전하를 띠는 고분자 화합물 poly(sodium 4-styrenesulfonate) (PSS) 그리고 PDDA 순서대로 정전기적인 인력으로 층을 쌓고, 최종적으로 pH (7.0)를 조절하여 음전하를 띄게 한 효소, Tyr층을 올려 PDDA-PSS-PDDA-Tyr 센서를 제작하였다. 상기 전극 센서를 기질이자 타겟분석물인 BPF 용액에 접촉하면, 전극 표면에서 Tyr 효소와 산화반응에 의해 4,4'-methylenebis(cyclohexa-3,5-diene-1,2-dione)가 생성되고, 순환전압전류법과 시차펄스전압전류법을 이용하여 생성물을 0.1 V (vs. Ag/AgCl)에서 환원하면 4,4'-methylenebis(benzene-1,2-diol)이 생성되면서 발생하는 피크 전류 값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BPF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에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는 인산완충생리식염수를 대체할 수 있는 이온성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여 BPF의 검출 성능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BPF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방해물질로 작용하는 비스페놀S에 대한 선택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실에서 준비한 실제 시료안의 BPF의 농도를 분석하는데 제작한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센서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