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life satisfaction

검색결과 730건 처리시간 0.029초

노인 건강증진센터 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일 지역보건소에 적용한 사회적지지 프로그램의 효과 (Model Development of an Elderly Health Promotion Center: The Effect of a Social Support Program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 박오장;소향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81-79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of an elderly health promotion center after witnessing the effect of a social support program on dependent variables in older adults at a local community health center. Method: The subjects were 60 female adults over 65 years dwelling in a rural area, and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with 30 people. A social support program was implemented 6 hours a day, 3 times a week, for 4 month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was health assessment, health education, counseling, consultation, exercise,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primary care, recreation, lunch & transfer servic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1stto September 14th, 2002 b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x^2$-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AS. Result: The social support program in the elderly was very effective on all dependent variables of physical health (t=4.68, p=.001), health knowledge (t=3.60, p=.001), life satisfaction (t=8.65, p=.001),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t=5.23, p=.001). Conclusion: The Social Support Program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was effectiv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the elderly.

중년층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삶의 질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Workers on Retirement Preparation)

  • 홍융기;임왕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33-48
    • /
    • 2014
  • 본 연구는 중년층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삶의 질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중년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283부의 자료를 모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설계는 삶의 질이 높은 사람일수록 더욱 신경을 쓰는 노후준비지표로 파악되었다. 둘째, 재무설계는 삶의 질과 크게 관계가 없는 은퇴준비의 지표로 파악되었으며, 그 외 모든 지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은퇴준비에는 별다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농촌 재가노인을 위한 통합적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적용효과 (Effects of an Integrated Stress Management Program(ISMP) for the Elders in a Rural Community)

  • 김주현;박미정;김현숙;오진주;한규량;유수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7-268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evaluate the Integrated Stress Management Program (ISMP) for elders in rural communities. Method: ISMP consists of 6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self-management behavior and therapeutic recreational activities and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published reports and through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 Effectiveness of the ISMP was evaluated by implementing the program with 53 rural elders living at home, one session a week of, 2 hours per session over, 6 weeks from March 14 to April. 22, 2005. Result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participants' perceived levels of stress decreased(t=2.940, p<.05), and mood state (t=4.229, p<.001), life satisfaction(t=-4.911, p<.001),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2.891, p<.05)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ISMP is an effective program for relieving stress level, and increasing positive mood,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for elders in a rural community.

  • PDF

사용자 로그 분석에 기반한 노인 돌봄 솔루션 구축 전략: 효돌 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Elderly Care Solution Based on Usage Log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Hyodol Product)

  • 이준식;유인진;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3호
    • /
    • pp.117-140
    • /
    • 2019
  •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취약계층 노인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노인세대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노인 돌봄 솔루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노인 돌봄의 수단으로 첨단화된 ICT 기술을 탑재한 스마트 토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토이를 통해 기록되는 노인 행태에 대한 로그 데이터는 노인 돌봄 관련 정책 수립, 노인 돌봄 서비스 컨셉 기획 및 개발과 같은 분야에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설명지표로써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노인 돌봄 스마트 토이와 관련된 연구 중 스마트 토이를 통해 기록된 사용자 행동 로그에 주목하여 이를 의사결정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에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던 스마트 토이 사용자 행동 로그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 돌봄 솔루션의 사용자 경험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프로파일링 기반 행태 분석과 사용 행태에 따른 삶의 질 변화 메커니즘 도출을 단계적으로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노인 생활관리 요인으로부터 노인집단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2개의 중요한 차원을 도출하였으며, 도출한 차원에 근거하여 전체 노인 사용자를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스마트 토이 사용 행태 차이를 프로파일링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스마트 토이 사용 행태에 따른 삶의 질 변화 메커니즘을 도출하기 위한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스마트 토이와의 상호작용, 스마트 토이의 콘텐츠 사용, 스마트 토이가 관찰한 노인의 가정 내 활동 정도가 노인의 우울감 개선과 생활패턴 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이를 중재하는 경로로써 스마트 토이에 대한 사용자의 성능평가와 만족감의 역할을 밝혀내었다.

치매노인과 주부양자의 성별 관계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피로 및 생활만족도 비교 (Comparison in Care Burden, Fatigue, and Life Contentment of Caregivers by Gender Relationship with Demented Elders)

  • 이영휘;조인숙;김화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6-204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gender respect to care burden, fatigue, and life contentment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The setting of the study was a community-based dementia care center providing daycare services. One hundred ninety four caregiver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which in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care burden, fatigue, and general contentment scales. Caregiver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y gender relationship with care recipients. Results: The majority of the caregivers were middle-aged and elderly. More than twice as many were female rather than male caregivers.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caregivers expressed more fatigue than men overall (p < .05). In the gender relationships, a different combination of man-woman appeared to have more burdens than that of a woman-woman group (p < .05). For fatigue, the man caregiver-woman elderly group showed a higher fatigue score than a woman-man group (p < .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contentment among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giver's gender and gender relationship with elders could be considerable factors when the nurses make a plan in the community for dementia nursing management services.

  • PDF

퇴행성관절염 노인환자의 온열요법 및 근관절운동이 통증반응, ROM, 일상활동기능장애, QOL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the pain reaction, instrumental A.D.L and R.O.M, quality of life apply to local heat and muscle-joint exercise in elderly with osteoarthritis)

  • 류재문;최지원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1-19
    • /
    • 2004
  • Muscle stiffness, pain discomfort in daily activities are cardinal symtoms on arthritis. To reduce these symtoms, a nonequivalent one-group pre & posttest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a rural community health post area in kwangju province during eight weeks(from 25th of January to 20th of March, 2002) The subjects were sixteen old (60-80) with osteoarthritis. And to reduce the level of pain, discomfort in daily living and to increase that of life satisfaction, 25-30minutes of muscle-joint exercise followed by 25-30minutes of local heat therapy were done three times a week. The total experimental period extended at 12 weeks and the total 36 times it executed 1. The retrogression characteristic osteoarthritis elderly with local heat and a muscle joint exercise was the telegram which it receives and after receiving, the score of the paindaily activity function appeared to the lead, there was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statistically, this constriction was supported.(Z=4.947, p<0.0001) 2. The retrogression characteristic osteoarthritis elderly with local heat and a muscle joint exercise was the telegram which it receives and after receiving, the score of daily activity function appeared lowly, there was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statistically, this construction was supported.(Z=2.7226, p<0.0279) 3. The retrogression characteristic osteoarthritis elderly with local heat and a muscle joint exercise was the telegram which it receives and after receiving, there was not a difference where the quality of life considers statistically, this construction was rejected.(Z=-1.2087, p>0.2171)

  • PDF

농촌지역 노인의 의치만족도 (A Study on Denture Satisfaction in Rural Elderly People)

  • 이가령;유왕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1호
    • /
    • pp.56-66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구강건강상태와 의치만족도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의치 만족도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경상북도 지역 내 2개군 지역을 선정하여 지역 내 만 65세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구강검사를 실시하고, 이들 중 가철성 의치를 장착한 노인만을 대상으로 의치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하였다. 최종 수합된 54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각 세부요인별 만족도 점수는 저작기능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3.20{\pm}1.08$, 의치고정에 대한 만족도 $3.45{\pm}0.96$, 심미적인 만족도 $3.73{\pm}0.99$ 그리고 일반적인 만족도는 $3.56{\pm}1.04$이었다. 둘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의치만족도의 차이는 성별의 경우 여자에 비해 남자에서 저작 기능, 의치고정, 심미 및 일반 만족도가 모두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의치고정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령에 따른 차이는 75세 이상인 군에서 모든 세부요인별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저작기능 및 의치고정에 대한 만족도와 심미적인 만족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저작기능 및 의치고정에 대한 만족도와 일반적인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동거가족에 따른 차이는 배우자와 함께 거주하는 경우에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저작기능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직업유무의 경우 직업이 있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해 모든 세부요인별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월소득에 따른 차이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저작기능에 대한 만족도를 제외한 의치고정 만족도, 심미적인 만족도, 일반적인 만족도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구강건강상태 및 사용의치에 따른 의치 만족도의 차이는 우식경험영구치수의 경우 우식경험영구치수가 10개 미만인 군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잔존치아 수에 따른 차이는 잔존치아 수가 10개 이상인 군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의치고정에 대한 만족도와 심미적인 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음식을 먹을 때 의치를 사용하는 군이 사용하지 않는 군에 비해 저작기능 만족도, 의치고정 만족도, 심미적인 만족도, 일반적인 만족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하루 종일 의치를 사용하는 군의 만족도는 사용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의치고정 만족도를 제외한 저작기능 만족도, 심미적인 만족도, 일반적인 만족도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농촌지역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 및 의치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이들 농촌지역 노인들의 구강보건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노인구강보건 관리 및 교육프로그램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농촌지역 노인을 위한 공동 급식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범급식사업 결과의 적용 방안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munity-based Meal Program Model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

  • 허영란;신준호;김경선;김복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1호
    • /
    • pp.23-35
    • /
    • 2008
  • Improved nutritional intake contributes to maintain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opulation and also reducing individual and social medical costs. Most of nutrition assistance programs for elderly, such as congregate or home-delivered meal programs, are not currently serviced in rural communities mainly due to low cost efficiency of program operation. However, the needs and necessity of such programs are presumed to be higher in rural area where the population density of elderly at nutritional risk is relatively hig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munity-based meal program for the rural elderly. In 2007, four rural communities located in Jeon-Nam province were selected and the pilot meal program was applied for three months. Following are key features of the meal program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1) meal production and service are operated by elderly participants to overcome the voluntary personnel shortage 2) utilization of locally-produced foods is maximized to reduce the meal cost, 3) traditional cooking methods are applied to adjust the food preference of elderly, and 4) foods are serviced on site to minimize the food safety problem possibly caused by delivery process. The pilot programs resulted in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of participating elderly. The community-based meal program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effective nutrition and health intervention model for the rural elderly.

  • PDF

한국과 캐나다 거주 한국 노인의 심리사회적 성숙경험에 관한 연구 (A Content Analysis of the Psychosocial Maturity of Elderly Korean Residents in Korea and Canada)

  • 안정신;정여진;정영숙;문정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3-334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cultural differneces in psychosocial maturity experiences between collectivistic and individualistic cultures. Personal, relational, and social dimensions were assessed to explore psychosocial maturity experience of elderly Korean residents in Korea and Canada who were psychosocially well develop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diver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sychosocial maturity of elderly Korean residents between the two cultures. First, psychosocially mature elderly residents in both cultures showed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satisfaction.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meaning. Second,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e most important and satisfying relationship was the spousal relationship for both cultures, and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ere satisfying.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cultures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Third, psychosocially mature elderly residents in both cultures reported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mature aging as a social dimension. Elderly residents in Korea regarded mature aging as a relationship oriented phenomenon, whereas those in Canada reported social attitudes toward mature aging. In addition, elderly residents in both cultures reported greed and harm to others as immature aging. Elderly residents in Korea regarded relational discord as immature aging, whereas those in Canada regarded it as demanding adult treatment from future generation. In terms of transcendence, adjustment was reported as living by going with the flow. Elderly residents in Korea reported adjustment based on fatalism, whereas those in Canada showed some religious meaning. Finally, psychosocially mature elderly residents showed a positive view, acceptance and life integration. These results a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fferences.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농복합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Focusing on Urban-rural Complex Area)

  • 최송식;박현숙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77-1293
    • /
    • 2009
  •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도농복합지역인 기장군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적 요인, 건강 요인, 그리고 사회적 요인으로 독립변수를 구분하여 노인 고독감의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38명이며, 사전에 교육된 조사원을 통해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 고독감은 평균 50.6(SD 4.2))로 중간 정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농복합지역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요인 중 생활만족도, 건강요인 중 일상생활수행 정도, 그리고 사회적 요인 중 사회적 지지(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와 사회활동참여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수행정도가 낮을수록 고독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 및 도구적 지지와 사회활동참여정도가 적을수록 고독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의 노인 서비스를 정서적이고 대인관계적 관점으로 초점이 확대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농복합지역 노인의 고독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존의 사회복지서비스가 수정 및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의 고독감을 감소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사회활동정도 등과 같은 사회적 요인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