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idos-hyl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필립스 엑서터 도서관의 형태분석을 통한 루이스 칸 건축의 개별성과 공유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ngular and Commonality in Louis Kahn's Architecture focus on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Phillips Exeter Academy Library)

  • 오광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47-5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nstitution' in Louis Kahn's architecture and to reveal that it is expressed through singularity and commonality, which have two aspects; formal-material(eidos-hyle) aspect and phenomenological aspect. Under these recognitions, this paper shows the detail analysis on design process of Phillips Exeter Academy Library, focusing on his writings and sketch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form is maintained through the design process of the Exeter library, and it is derived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human activities in the library. And second, each 'room' of the library acquires its singularity through structure and light. And the 'plan' is based on the commonality inherent in the singularity of each room. And the last, singularity and commonality are revealed not only In the relation of architectural elements but also In the relation with man and architecture.

아리스토텔레스의 변화 개념 (Aristotle's conception of kinesis)

  • 전재원
    • 철학연구
    • /
    • 제129권
    • /
    • pp.291-313
    • /
    • 2014
  • 본 논문의 목적은 "자연학"을 중심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변화(kinesis) 개념을 해명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변화란 가능태로 존재하고 있던 형상과 질료가 현실태로서의 형상과 질료로 존재하게 되는 과정이다. 변화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로부터 우리는 중요한 몇 개의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첫째, 모든 변화는 무엇인가를 지향하고 있다. 둘째, 만약 변화가 왜 일어나는지를 모른다면 우리는 변화가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없다. 셋째,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변화를 일으키는 자(者)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넷째, 변화의 주체와 변화의 원인은 단 한 번만 현실화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모든 변화는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기체(基體)의 변화이다. 기체는 공간, 시간, 물리적 크기 등과 같은 '무한자'(to apeiron)를 매개로 해서 변화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완전한 것과 무한자를 동등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왜냐하면 그렇게 생각할 때 한계를 결여하고 있는 것이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 한계를 결여하고 있는 것으로서의 무한자는 세계를 포섭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포섭되어 있다. 그리고 한계를 결여하고 있는 것으로서의 무한자는 인식될 수 없다. 왜냐하면 무한자는 형상이 없는 질료, 즉 질료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으로 무한자의 지위는 존엄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무한자는 모든 것을 포섭하고 있는 전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무한자의 존엄한 지위를 끌어내리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무한자는 자연에 내재하는 것이지 초월적인 원리가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와 같은 발상은 철학적 관점에 있어서의 혁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