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ness of PBL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초

문제중심학습 패키지 개발 및 적용의 일 예 (An Example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BL Package)

  • 제미순;최원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51-360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blem-Based Learning (PBL) package, test its application and evaluate students'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BL in nursing colleges. Method: Thirteen steps were used in the process developing the PBL package. After its application, the first questionnaire for self-evaluation and satisfaction with PBL class was given to 94 nursing students in December, 2005. To further evaluate the students'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BL, a second questionnaire was given to 83 nursing students out of the 96 in May, 2007 after clinical practic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eans with standard deviation. Results: The results of students' self-evaluation showed high achievement in learning outcome and process using the PBL method. Also, the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subject management, the lecturer and their peers after the PBL class.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PBL class had positive effectiveness in clinical practice and wanted more PBL classes and the inclusion of complex cases from well designed packages. Conclusion: PBL class could be considered as an opportunity to fortify student nurses' abilities to adjust to the real clinical situation.

  • PDF

비SW전공자 대상 문제중심학습(PBL) 기반의 EPL 활용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PL Utilizing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PBL) for Non-SW Major)

  • 고광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05-111
    • /
    • 2019
  • 문제중심학습(PBL)은 학습자가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동기의 내재화 등의 교육효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대학 교육에서 PBL에 대한 연구와 적용 사례 발굴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SW전공 학생 대상 프로그래밍 교육에 있어서 PBL을 적용할 때 학업 성취도와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비SW전공 학생임을 고려하여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EPL) 중에 하나인 스크래치를 활용하였고, 수업을 PBL 적용 반과 비적용 반으로 나누어 수업 종료 후, 두 반의 시험 성적과 교육 효과성 및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PBL 적용 반 학생들이 비적용 반 학생들에 비해 알고리즘 구현 능력을 묻는 시험 항목, 자기주도적 학습, 문제해결능력, 지속적인 학습동기 부여 항목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고 대부분의 컴퓨팅 사고력의 인지력과 활용 능력 설문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PBL을 이용한 컴퓨터공학입문 수업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pplications of Introduction of Computer Engineering Class using PBL)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03-6309
    • /
    • 2014
  • 본 논문은 학생들이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여러 가지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PBL을 교과목에 적용하였다. 공과대학에서 PBL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컴퓨터공학입문' 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1학년 학생 63명이었으며, PBL수업은 15주에 5개의 PBL 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이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5번째 PBL 문제 활동이 끝난 후에 PBL 활동에 대한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 실제적 경험, 창의문제해결력, 프리젠테이션 스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자신감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BL 활동 과정에서 함께 모이는 어려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도출되기도 하였다. 학생들은 이 PBL 학습 활동은 현대 산업 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유능한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전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공과 대학 교육의 궁극적인 교육 목표 달성에 큰 시사점을 준다.

초등학교에서 PBL을 이용한 영어과학 수업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English Science Class using PBL)

  • 박인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59-564
    • /
    • 2020
  • 영어가 세계 공용어로 자리매김 됨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에서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가 추구하는 인재상을 기르기 위해 본 논문은 PBL 학습법을 영어과학 수업에 적용하였다. PBL 수업을 위하여 직접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PBL 학습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외국어 특성화 교육이 중점이 되어 각 학년당 수준별로 나뉘어 분반 수업으로 진행되는 A 초등학교의 4학년 상반에 속한 7명 학습자를 대상으로 1학기 동안 5개의 PBL 문제 활동이 모두 끝난 후 PBL 학습에 대한 설문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PBL 활동을 통해 발표력 향상 86%, 학습에 대한 흥미도 86%, 학습에 대한 이해력 향상 86%, 문제해결능력 향상 100%, 협동력 100% 효과를 학습자들이 경험할 수 있었다. 반면에 처음 접한 활동이라 이해하기 어려움, 문제에 이해에 대한 어려움, 인터넷을 통한 자료조사에 대한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PBL 학습은 학습자들에게 다소 생소하였으나 활동을 통해 중요성 및 효과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큰 관심을 보인 점을 보았을 때 교육 현장에서는 더욱 PBL 적용에 힘써야 하는 큰 시사점을 준다.

공과대학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 연구 : 요소설계를 중심으로 (Cas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BL in Engineering-School : Focused on an Element Design Class)

  • 이근수;김삼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71-676
    • /
    • 2015
  • 본 논문은 공과대학에서 요소설계 과목에 문제중심학습(PBL : Problem-Based Learning)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협동 학습 능력, 자율적인 학습능력, 통합지식 활용 능력, 창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대학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PBL 활동은 이러한 실천을 위한 적합한 학습 방법이다. 연구대상은 요소설계에 해당하는 '공학설계 1'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2학년 학생 32명이었으며, PBL수업은 15주에 5개의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이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5번째 PBL문제의 활동이 끝난 후에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71.87%),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87.5%), 실제적 경험, 문제해결력(90.63%), 프리젠테이션 스킬(96.87%),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자신감(96.87%)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이 PBL 학습 활동은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유능한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인식하였다.

해군 고속상륙정(LSF-II)에 대한 성과기반군수지원(PBL) 적용 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PBL(Performance Based Logistics) Application for ROK Navy Landing Ship Fast(LSF-II))

  • 김찬정;최명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31-338
    • /
    • 2023
  • ROK Navy Landing Ship Fast(LSF-II) is equipped with special equipment that is not compatible with other combat ships due to special missions. So there are almost no maintenance capabilities except for simple repair parts replacement and maintenance parts. The researcher determined that th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was to apply Performance Based Logistics (PBL), and reviewed the cases of PBL applications abroad and domestically. To confirm the current maintenance capability, we visited LSF-II operation unit to identify maintenance capabilities for each mounted equipment, and interviews with operators and maintenance practitioners confirmed the limitations of outsourcing maintenance and the need to apply PBL.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PBL application,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and measure of performance were selected based on the opinions of LSF-II operation/maintenance practitioners and PBL experts and the practical experience of this researcher. A survey was conducted on operation/maintenance practitioners and professional personnel.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effect of applying PBL was analyzed using the AHP technique, and an efficient PBL application plan was proposed for LSF-II.

공과대학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 연구 : 인공지능 과목을 중심으로 (Cas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BL in Engineering School : Focu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Class)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54-160
    • /
    • 2018
  • 본 논문은 공과대학에서 인공지능 교과목에 문제중심학습(PBL : Problem-Based Learning)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협동 학습 능력, 자율적인 학습능력, 통합지식 활용 능력, 창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대학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PBL 활동은 이러한 실천을 위한 적합한 학습방법이다. 연구대상은 '인공지능'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2학년 학생 37명이었으며, PBL수업은 15주에 5개의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이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5번째 PBL문제의 활동이 끝난 후에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86.48%),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94.59%), 실제적 경험(75.67%), 문제해결력(89.18%), 프리젠테이션 스킬(97.29%), 창의성 향상(81.08%), 지식획득 능력(86.48%), 의사소통 능력 향상(97.29%), 통합지식 활용 능력(78.37%),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86.48%), 자신감(97.29%)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이 PBL 학습 활동은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유능한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인식하였다.

국외 의과대학의 문제바탕학습 (Problem-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al schools worldwide)

  • 신홍임
    • 의학교육논단
    • /
    • 제10권1호
    • /
    • pp.35-42
    • /
    • 2008
  • Purpose : Since PBL was first developed by Howard Barrows at McMaster, it has been adopted as one of the be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medical schools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the educational superiority of PBL relative to traditional approaches is less clear. Given the somewhat extensive resource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PBL curriculum, this gives reason for concer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experiences of PBL in other medical schools and learn how to implement PBL in our school. Methods :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PBL curricular examples in 7 medical schools (University of Pennsylvania, University of Melbourne, University of Maastricht, McMaster University, Flinders University, Harvard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A.) were collected and summarized. In the second stage, a careful search for articles of journals published since 2000 regarding PBL group assessment, effectiveness of PBL and group facilitation skills was conducted. Results : PBL is generally introduced in a core curriculum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Relating to small group assessment, the perception of students has been well developed. but the current PBL assessment tool needs to be revised, to develop thinking skills of students. The PBL graduates considered themselves as having much better interpersonal skills, better competencies i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than the non-PBL graduates. Tutors used various techniques to raise awareness, facilitate the group process and direct learning. Conclusions : The following three aspects can be regarded as important in this study. First, to implement PBL in our school more effectively, it might be considered, which curriculum content can be best learned with PBL. Second, to enhance students' thinking skills during PBL, a new assessment tool needs to be developed. Third, tutors' competencies are important to facilitate, group process, so it would be worthwhile including in staff development.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연구 (A study 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to a course entitled 'Teaching practice'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8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직과목 수업에 PBL을 적용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교직실무>를 수강신청한 1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PBL 수업을 2014년 3월 2일부터 6월 11일까지 15주에 걸쳐 실행함으로써, PBL의 적용가능성과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을 위한 문제는 수업계획서 작성하기, 학급경영계획서 작성하기, 기술 가정 평가계획서 작성하기 등 3개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PBL은 문제 만나기,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탐색 및 재탐색하기, 해결책 고안하기, 발표 평가하기 등의 순서로 한 개의 PBL 문제당 4주동안 진행하였으며, 문제해결안을 발표할 때마다 문제평가지와 성찰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의 PBL 문제를 평가한 결과에 의하면, '실무현장에서의 실제 상황을 익힐 수 있는 좋은 문제였다', '토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였다'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예비가정과교사들은 PBL을 처음 접했을 때 많이 당황스러워했지만, 그룹활동에 열심히 참여하고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교수자로부터, 다른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비교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PBL을 적용한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이 예비가정과교사들의 교직인성 수준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였다고 볼 수 있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등이 길러지기를 원하는 교사교육자에게 본 연구가 학생중심의 교수 학습 모형 설계에 대한 중요한 사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문제중심학습 수업에 내재된 학습동기 유발요인과 수업효과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RC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Learning Motivation Factors and Class Effectiveness Inherent in Problem-Based Learning Classes)

  • 이미숙;채수은
    • 의학교육논단
    • /
    • 제16권3호
    • /
    • pp.156-166
    • /
    • 2014
  • The current study aim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RCS)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effectiveness inherent in problem-based learning (PBL) classes designed for dental and nursing students. Seventy-nine participants responded to survey items for motivation and class effectiveness after completion of their classes.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among the $dental^{**}$, $clinical^{**}$, and $nursing^{**}$ PBL classe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class effectiveness (F=3.63, p<0.05) and academic achievement (F=13.9, p<0.01). Second, three learning motivation factors-satisfaction (t=4.07, p<0.01), confidence (t=2.84, p=0.01), and relevance (t=2.96, p<0.01)-appeared to determine class effectiveness in the abovementioned order. Only attention (t=2.02, p=0.05)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hours of learner contribution to the PBL tasks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we suggest the incorporation of ARCS motivation factors in PBL classes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and g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