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training practice

검색결과 1,016건 처리시간 0.029초

보건전문대학의 산학협동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계학과의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s of Activation for CIEO in Health Junior College - About the on-the-Spot-Training of Department Health Education -)

  • 성환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59
    • /
    • 1991
  • This study aimed at inquiring into the basic theory on CIEO(the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grasp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health junior college, the present condition of CIEO and into problem and seeking to find a solution to activate the CIEO of the health junior colleges. This study suggested five methods as the method of consolidating the on-the-spot-training as below : 1. The execution of the basic research for the on-the-spot-training.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existing curriculum into the curriculum the industrial organization requires. 2. The participation in solving commonly the problems of the industrial organization and in education. The establishing of the guidance system assuming exclusive charge of the on-the-spot-training. 3. The extension of the period of the on-the-spot-training and the reorganization of an educational system. The submission of the evaluation sheet for the on-the-spot-training. 4. The securing of the educational dost spent on the on-the-spot-training and the imposition of benefits on the industrial organization. 5. The persistent support for the on-the-spot-training at the governmental dimension. It is required that the CIEO law should be enacted a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olution and that government should lend systematic support to the business enterprise exeuting the industrial educational cooperation such as the institutional support for and the imposition of benifits on the cost of research. The cos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cost of inter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 cost of experiment and practice.

  • PDF

기업교육에서 블렌디드 학습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at Corporate Education & Training Setting)

  • 서순식;김성완;이현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43-152
    • /
    • 2006
  • 기업에서 실제로 수행된 블렌디드 학습(Blended Learning)의 효과성을 규명해보고 이를 토대로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학습을 효과적으로 병행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블렌디드 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설명적 혼합설계 방식으로 체제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블렌디드 학습의 효과에 대한 양적 분석 결과, 종합진단과 타인진단에서는 블렌디드 학습이 리더십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후 설문조사 및 핵심 면담대상자집단과의 면담 결과 블렌디드 학습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블렌디드 학습 방식으로 운영한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블렌디드 학습 효과에 영향을 주는 특성을 분석하고, 블렌디드 학습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선박소화훈련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a Ship Firefighting Drill Simulator)

  • 김원욱;김대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10-416
    • /
    • 2016
  • 우리나라는 세월호 사고 이후 해양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해양관련 종사자들에 국한하지 않고 대국민 해양안전의식 고취를 위해 학교 및 해양관련 단체에서 다양한 교육훈련 및 체험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선원의 안전교육은 SOLAS 규정에 의거 여객선은 10일, 상선은 매월 1회 소화 및 퇴선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세월호 사고 이후 교육훈련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교육 정원을 기존 40명에서 20명으로 줄여 모든 교육생이 실제 교육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의 교육훈련 형태는 교재에 의거한 이론교육 실시 후 실제 실습을 행하는 2단계 교육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인적, 물적 여건상 교육생들에게 많은 실습시간 부여 및 소수인원으로 구성된 실습교육이 곤란한 상황이나 시뮬레이션 기법이 도입될 경우 실습 전 숙달된 능력으로 실습교육의 빠른 진행으로 많은 실제 실습교육 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에서는 해상안전교육 중 소화훈련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총 3단계로 구분한 교육훈련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이론 교육 후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개인별 임무 숙지 및 장비 사용법에 대한 이미지트레이닝교육을 추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할 경우 이론교육으로 얻어진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훈련 전 가상으로 먼저 시행함으로서 실습교육에 빠른 적응이 가능하며 시뮬레이션 특성상 실제 훈련에서는 곤란한 긴급상황 대처훈련 및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한 반복훈련이 가능하다. 이렇게 실습 전 숙달된 능력을 바탕으로 실습교육의 진행 속도를 증가시켜 많은 실제 실습교육을 수행할 수 있어 교육훈련 효율성이 증대될 것이다. 실제 교육생 설문조사에 의하면 개인별 실습시간 부족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현실 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터 개발이 필요하여 이 연구에서는 개발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Comparison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ractice in Adults According to a Training Background in Child Psychiatry

  • Hong, Minha;Lee, Seung-Yup;Lee, Young Sik;Kim, Bongseog;Joung, Yoo Sook;Yoo, Hanik K;Kim, Eui-Jung;Lee, Soyoung Irene;Park, Su-Bin;Bhang, Soo-Young;Han, Doughyun;Bahn, Geon 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3호
    • /
    • pp.121-126
    • /
    • 2019
  • Objectives: Awarenes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adult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clinical data specific to the Korean population are insufficient. Clinical experience of ADHD may differ based on whether psychiatrists have received pediatric psychiatry-specific training. In order to prepare a practice parameter for adult ADHD patients in Korea, we examined questionnaire data to observe how pediatric psychiatry training could affect clinical practice for adults with ADHD. Methods: A questionnaire abou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ss was distributed to both general psychiatrists (GPsy) and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CAP) at the summer and winter workshop meetings of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Results: In total, 142 psychiatr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86 GPsy, 56 CAP). GPsy and CAP preferred pharmacotherapy (GPsy 82.40%, CAP 64.30%) as the primary treatment option and answered that the clinical psychiatric interview is the most necessary step in diagnostic assessment (GPsy 22.16%, CAP 19.00%). The GPsy responded with an optimal and average treatment duration that was shorter than that reported by CAP. Conclusion: Identification of the initial presenting symptom as the correct diagnosis and the optimal duration of pharmacotherapy differed between GPsy and CAP in practice, whereas concepts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ADHD in adults were similar for both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e urgent need for the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program for psychiatrists treating adults with ADHD.

간호대학생의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virtual simulation practice)

  • 김윤정;김원정;민혜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8-20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virtual simulation practi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ix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in a virtual simul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9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study results revealed 3 constituents and 6 sub-constituents that are essential for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a virtual simulation. The three constituents were: "Chaos in the virtual reality", "The process of adjusting to chaos", and "Becoming an independent nurse in a safe virtual realit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Results suggest the development of virtual simulations in Korean, the use of simulations as a group activity first, and the use of simulation between lecture and practice or in the regular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providing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사회 구성주의 과학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인식 변화와 실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Awarenes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ocial Constructionism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heir Subsequent Teaching Practice)

  • 강종례;김정은;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939-947
    • /
    • 2015
  • '사회 구성주의 과학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수업 단계별 인식 변화과정과 학교현장에서의 실행 여부를 분석하여 교사교육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사회 구성주의 과학교사교육프로그램'은 프랑스의 체험형 과학교육프로그램인 라망알라빠뜨(La main ${\grave{a}}$ la $p{\hat{a}}te$)에 기초하여 3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라망알라빠뜨의 철학 및 창의성 교육 사례 탐구, 2 3단계는 지정 주제 및 자유 주제로 나누어 실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표 후 논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으며, 1일 4시간씩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모든 수업은 녹화 및 녹음하였으며, 수업시간마다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게 하고, 교육종료 6개월 후 선별된 중등과학교사 7명에게 현장에서의 적용여부를 확인하는 추가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1단계의 라망알라빠뜨 및 창의성 이론과 라망알라빠뜨 수업 사례를 살펴보는 교육을 통해 연구 대상자인 교사 7명 전원의 신념이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단계의 '지정주제'로 창의성을 강조한 실제 수업 설계에서 실천 계획으로 갈 수 있는 교사는 2명, 여전히 고민 단계 3명, 신념을 깨뜨리는 단계나 지식획득단계로 회귀한 교사가 각각 1명씩 나타났다. 3단계 '자유 주제'의 경우 실제 수업 설계 후 발표와 토론을 통한 조별 상호작용으로 인해 5명의 교사들이 실천 계획을 성공적으로 제시하였고, 2명의 교사만 여전히 이론과 실천 사이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다. 이는 교육 종료 6개월 후 자신의 수업에 실행 여부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므로 교사교육은 이론의 도입만으로도 교사의 신념이 충분히 변화될 수 있으나 실제 수업에 실행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의 획득은 시범과 실습, 토론을 통한 조별 상호작용 등을 통해서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교사의 신념을 실천 계획 단계까지 이끌 수 있도록 진행되어야 실제 학교현장에서 실행으로 옮겨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인턴제도 폐지 논의 이후의 의학교육 변화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after the Dismantlement of the Intern Training System)

  • 양은배;김병수;신좌섭
    • 의학교육논단
    • /
    • 제17권1호
    • /
    • pp.20-25
    • /
    • 2015
  • In light of changes in today's medical environment, whether to dismantle the 50-year-old internship training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is under debate. Although the question remains open, discussions on such issues have drawn attention to the quality of the clinical clerkship and student career advisory programs in medical colle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tial clerkship and career exploration issues. Ensuring excellence of the clerkship and career advisory sessions is an essenti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regardless of whether the intern training system is dismantled. Important objectives of the experimental clerkship include reinforcing prerequisites established by law, introducing a student practice license, developing a standardized clinical assessment and student portfolio requirement, and publishing a guidebook for clinical directors. For career exploration, it is necessary to broaden participants' experiences of specialties and to manage the variety of student career guidance programs. It is imperative for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in collaboration with medical colleges, to play a leading role in focusing more attention and effort on such issues.

How Are the Novice Getting to Be the Expert? : A Preliminary Case Study on Japanese Science Teachers

  • Ogawa, Masakata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082-1102
    • /
    • 2002
  • Most of comparative studie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so far have been conducted in terms of teacher education policy, pre- and in-service training system and curriculum, and certificate system. While such superficial information can be readily obtainable, it does not necessarily enable us to make access to reality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respective countries, because practic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mong science teachers is deeply embedded into respective socio-cultural environment or climate. In order to get information on reality in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lternative approaches of research should be developed. This paper aims at pursuing an alternative way to approach reality of Japanese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 email survey of free description method with 29 in-service science teachers with a variety of years of experience in Ibaraki Prefecture, Japan, revealed that Japanese science teachers have developed their expertise through very close daily-based communication with their peer science teachers. At least, within their consciousness, neither formal in-service training programs, nor pre-service training programs have had much stronger effects o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an such non-formal, daily-based, deep, apprenticeship-typed or in some sense, family-typed communi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conduct meaningful comparative studies, we should take much more attention to how to make access to reality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약국실무실습에 대한 약학대학 재학생 인식 (The Perception of Pharmacy Students on the Educational Clerkship in Community Pharmacies: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New Pharmacy Curriculum)

  • 김성은;조은;정규혁
    • 약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19-226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pharmacy students (n=92) toward educational clerkship in community pharmaciese.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erceived the need for clinical pharmacy practice-focused education. Students had a strict criterion for the eligibility of preceptors and a strong preference toward a large scale of hospital-nearby pharmacies for a practice site. Students with a previous training experience tended to hold negative opinions on the necessity of practice guidelines. To settle down community pharmacy practice system, students' needs and expectations should be considered.

전문교과 교원이 인식한 양성단계에서의 산업체 현장실습 경험 및 필요성 분석 (The Analysis of Experience and Requirement of Field Practice in Pre-service Education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 이찬;전영욱;최유현;조경희;류지은;정보영;이수기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6호
    • /
    • pp.21-38
    • /
    • 2016
  • 이 연구는 전문교과 교원 양성단계에서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여부 및 필요성을 파악하고,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경험이 있는 전문교과 교원의 참여경험 및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육연수원 및 충남대학교 교육연수원에서 직무 및 자격연수를 받고 있었던 전문교과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89부를 회수하였으며 부정확하게 표기한 4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685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원양성 단계에서 '4주 이상 산업체 현장실습을 참여하였다'고 응답한 전문교과 교원은 112명(16.5%)에 불과하였다. 그런데 양성단계에서 현장실습이 필요한지에 대해 전문교과 교원은 대체로 필요하다고 인식(평균 4.07)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체 현장실습의 참여 여부에 대해 '4주 이상 산업체 현장실습을 충실하게 참여하였다'와 '산업체 현장실습 관련 서류는 제출했으나, (4주 미만) 며칠만 참여하였다'고 응답한 143명을 대상으로 참여 경험을 조사한 결과, 참여기관으로는 중소기업, 거주지는 자택 또는 친척집, 이동수단은 버스 또는 지하철이라고 응답한 교원이 많았다. 산업체 현장실습에 참여한 교원의 34.8%가 금전적 보상을 받았으며, 80.3%가 학점을 인정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교과 교원의 산업체 현장실습 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보통수준(평균 3.51)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