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period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2초

여자만에서의 피조개 양성 (Culture of the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in Yoja Bay)

  • 권우섭;조창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75-379
    • /
    • 1986
  • 남해 서부해역에 위치한 여자만에서 바닥식으로 양성한 피조개, Anadara broughtonii에 관한 성장과 폐사에 관해 1982년 8월부터 6개월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패의 각장이 $20{\sim}30mm$, 평균 25mm되는 것을 1982년 3월 $1m^2$당 평균 30개체를 양성장 바닥에 살포하였는데, 약 6개월 후에 각장은 평균 48.0mm로 성장하였으며 익년 2월에는 평균 60.6mm가 되었다. 2. 패각과 각부중량의 증가는 고수온기에 빨랐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패각의 한쪽 형태는 타원형에서 원형으로 변하고 육질중량의 증가는 패각 성장의 증가 속도보다 빨랐다. 3. 성장은 순조로와 피조개의 양성장으로 적합하지만 폐사가 많았다. 종패 살포 1개월 후 약 $30\%$가 폐사하고 폐사는 계속되어 수확시에는 생잔율이 약 $10\%$에 지나지 않았다. 폐사의 주 원인은 해적생물인 불가사리(Asterias spp.) 때문이었다.

  • PDF

Ampicillin의 경구투여에 따른 양식 어류(넙치, 조피볼락, 참돔)의 근육조직내 잔류량의 변화 (Muscle tissue Distribution Level of Ampicillin in Olive flounder(Paralichthys olivaceus), Rockfish(Sebastes schlegeli), and Red sea bream(Pagrus major)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 조윤희;정원철;신용운;김경원;하지영;허성혁;김의경;정희식;강석중;최유정;김석;이후장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4-168
    • /
    • 2006
  • The residue depletion of ampicillin was investigated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red sea bream (Pagrus major) after 5 days treatment with medicated feed at a dose of 100 mg/kg bw/day. Fishes were sampled for muscle on 1st, 2nd, 3rd, and 4th day after treatment. Ampicillin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fter SPE column extraction. The recovery rates of ampicillin in muscle samples ranged 94-98% and 83-88% for the concentration of 0.05 mg/kg and 0.1 mg/kg, respectively. Ampicillin concentrations detected on 1st day after treatment were 0.143, 0.138, and 0.187 mg/kg in the muscle of olive flounder, rockfish, and red sea bream, respectively. After a withdrawal of 3 days, muscle concentrations were 0.016, 0.012, and 0.021 mg/kg in the olive flounder, rockfish, and red sea bream, respectively. Ampicillin was not detectable in muscle samples on 4 days following withdrawal of the medicated feed. From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 withdrawal period of ampicillin is proposed on 5 days after 5 days treatment with medicated feed at a dose of 100 mg/kg bw/day to avoid the presence of excessive residues of the edible muscles of olive flounder, rockfish, and red sea bream.

냉장고를 이용한 김치발효 및 저장 제어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for Kimchi Fermentation and Storage Using Refrigerator)

  • 고용덕;김흥재;전성식;성낙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9-203
    • /
    • 1994
  •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김치의 품온을 유추함으로써 사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한 김장 김치맛을 감도록 하면서 소비자의 기호도를 고려하여 풋맛(key I), 김장맛(key II), 익은맛(key III)에 가까운 김치를 조기에 숙성시켜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냉장고용 자동 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때 온도에 대한 micom의 디지털 출력값과의 상관관계식은 $T(^{\circ}C)$=-2.1516D+61.2037이었고 R은 0.9759로 나타났다. 자동제어시스템에 의한 김치 발효효과를 조사한 결과 key I에서는 식염농도 2%, 3% 및 5%의 경우 김치의 적숙기에 해당하는 pH4.5. 산도 0.6%에 이르는데 각각 약 $3{\sim}4$일, $4{\sim}5$일 및 $11{\sim}12$일, key II에서는 약 $2{\sim}3$일, $3{\sim}4$일 및 $10{\sim}11$일 그리고 key III에서는 약 2일, 3일 및 $9{\sim}10$일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발효 및 저장선택 3단계 key에서 저장효과는 모두 14일까지 식이 가능한 수준의 pH 및 산도범위로 유지되었고 pH 및 산도, 총균수 및 젖산균수, 환원당 함량의 변화 결과로 보아 저장효과가 어느정도 더 연장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김치의 관능평가에서도 기호도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3% 시험구가 관능적으로 가장 좋았고 2%, 5% 순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5% 시험구는 발효도 느리게 일어나고 관능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황금색 팽이 신품종 '아람' 육성 (Breeding on a new cultivar of golden Flammulina velutipes 'Auram')

  • 임지훈;장갑열;오연이;오민지;;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18-223
    • /
    • 2019
  • 팽이의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모균주 ASI 4103과 4111으로부터 포자를 수집하여 단핵균주를 얻고 이들의 교잡을 통해서 꺽쇠연결체가 확인된 교잡주 총 36점을 선발하였다. 교잡주를 대상으로 3회에 걸쳐 재배시험 결과, 수량이 우수하고 생육후기에도 갓이 피지 않는 황금색 우량계통 'Fv15a31'을 최종선발하였으며, 생산력검정 시험을 통해 2018년에 농작물 직무육성 품종 심의회를 통과했고 2019년에 '아람'이란 명칭으로 출원하였다. 주요특성은 갓 색깔이 황금색이고 대는 연한갈색이며, 갓 모양은 안으로 더 말린 반구형으로 대조품종과 형태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이며, 대조품종에 비해 여러 온도범위에서 아람의 균사력이 우수하였다. 또한 자실체 수량은 병당(1,100 ml) 237.7±9.54 g으로 대조품종보다 높았고 버섯발생이 2일 빨랐다. 갓에 반점이 없어 외관상 대조품종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대치배양과 유전적 다형성 검정 결과, 아람이 다른 갈색 및 백색품종들과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Fed Germinated and Fermented Soybeans

  • Lee, Dan-Won;Shin, Jin-Ho;Park, Jung-Min;Song, Jae-Chul;Suh, Hyung-Joo;Chang, Un-Jae;An, Byoung-Ki;Kang, Chang-Won;Kim, Jin-M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38-94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effects of germinated and fermented (with Monascus pupureus) soybean screenings (GF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en. A total of 750 1-day-old Ross ${\times}$ Ross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five groups (five replications with 30 birds each) and fed experimental diets for 5 wks as follows: Group 1, negative-control (antibiotics-free diet); Group 2, positive-control (negative-control with 10 ppm of Avilamycin); Group 3, negative-control with 0.3% GFS; Group 4, negative-control with 0.5% GFS; Group 5, negative-control with 1% GFS. The final body weight of each group fed a diet containing 1% GF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egative-control group. The feed conversion ratios of all groups fed diets containing GFS and the positive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negative-control group during the whole period (p<0.05). The relative weights of various organs along with the activities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were not influenced by the dietary treatments. The levels of total serum cholesterol i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0.5% and 1% GFS were more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s without GFS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ecal microflora profiles among the groups. Further, the dietary treatments did not influenc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edible meat, including the shear force, pH, meat color (CIE $L^*$, $a^*$ and $b^*$), and content of malondialdehyde (MDA). Cooking loss of breast muscle in the groups fed GFS was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that of the negative control group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GFS could improve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 chicken and may affect meat quality in some instances.

Streptomycin의 약욕에 따른 양식 어류(넙치, 조피볼락, 참돔)의 근육조직내 잔류량의 변화 (Muscle Tissue Distribution Level after Dipping Administration of Streptomyci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Red sea bream (Pagrus major))

  • 김석;천명선;정희식;정원철;김동혁;손호영;민원기;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28
    • /
    • 2007
  • Streptomycin을 물 1ton에 20 g을 녹여 넙치, 조피볼락 그리고 참돔을 3일 동안 약욕을 통해 투여한 다음, 휴약기간 동안 근육조직 내 잔류 분포를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해수 중에서 일정한 크기의 케이지에 일반 상업용 사료를 주어 사육하였고, 실험에 사용하기에 앞서 15일 동안 환경에 적응시켰다. 약제 투여 후, 근육시료는 1, 2, 3, 4, 그리고 5일에 각각의 실험어를 대상으로 채취하였다. Streptomycin의 잔류분석은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treptomycin의 회수율은, 0.05 mg/kg의 농도에서 87.2-102.3%, 0.1 mg/kg의 농도에서는 80.4-94.1%를 보였다. 투약 후 1일에는, 참돔의 근육 중 streptomycin의 잔류농도가 넙치와 조피볼락의 근육 중 잔류농도에 비하여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투약 후 2일에는, 모든 근육 시료에서 streptomycin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treptomycin의 약욕을 통한 투여는 넙치, 조피볼락 그리고 참돔의 근육 중에서 안전휴약기간(5일)보다도 체내 소실이 빨리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 바, 안전휴약기간을 준수한다면 streptomycin의 어류 근육 조직 내 잔류로부터 안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근(紫根)으로부터 분리한 Naphthoquinone류 색소의 pH 안정성 및 관능검사 (Stabil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Naphthoquinone Pigments from the Roo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2-156
    • /
    • 1994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야생 식용식물자원 개발의 일환으로 예로부터 사용되어온 천연 착색료인 자근(紫根)(Lithospermum erythrorhizon)의 색소 연구를 시도하였다. 자근을 n-hexane으로 추출한 후 column chromatography하여 융점측정과 IR 및 $^{1}H-NMR$ 분석에 의하여 암자색(暗紫色)의 유상물질(油狀物質)인 isobutylshikonin과 적색침상결정(赤色針狀結晶)인 acetylshikonin을 분리 동정하였다. Acetylshikonin과 isobutylshikonin 색소를 pH별로 나누어 32일간 저장하면서 pH에 의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두 가지 색소 모두 pH3 과 5에서는 안정한 붉은색을 나타내었고 pH7에서도 붉은색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0.5일부터 흡광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중성 pH에서 이들 색소가 불안정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알칼리범위에서는 두 색소 모두 푸른색으로 발현되었으며 pH9부터 두가지 색소가 bathochromic shift를 일으켰고 pH 10에서는 최대흡수파장이 각각 518 nm 및 520 nm에서 588 nm로 이동되었으며 매우 불안정하였다. Acetylshikonin과 isobutylshikonin 두 색소간의 차이를 관능검사 하였을때 색깔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도는 "good"(3점)으로 등급 지워졌다. 또한 두 가지 색소의 묘사분석 결과 Munsell system의 자홍(purplish red)계에 속하는 진달래색과 장미색으로 표현되었다. 따라서 acetylshikonin과 isobutylshikonin은 자홍계열에 속하는 색소이며 산성범위에서 가장 안정하므로 대부분의 음료 및 일반식품의 천연착색료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각종용매(各種溶媒)로부터 추출(抽出)한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 생성물(生成物)의 산화억제작용(酸化抑制作用)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btained from A Maillard-type Browning Reaction Mixture)

  • 원종태;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5-241
    • /
    • 1980
  • $100^{\circ}C$에서 12시간 가열한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액(褐色化反應液)을 8개의 용매(溶媒)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抽出物)의 산화억제(酸化抑制) 작용(作用)을 대두유(大豆油)를 기질(基質)로 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조(實驗對照)와 아세톤, 벤젠, 클로로포름, 에탄올, 에테르, 메탄올, 메틸렌 클로라이드, 석유에테르 추출물(抽出物)이 들은 기질(基質)의 저장 12일 후의 과산화물(過酸化物)값, 16일 후의 TBA값은 각각 66.0, 31.9, 37.6, 48.1, 11.9, 48.5, 11.5, 45.3, 43.3 (m. mole/kg oil)과 0.28, 0.20, 0.21, 0.26, 0.16, 0.28, 0.17, 0.33, 0.31이었다. 과산화물(過酸化物)값이 30이 되는 데 소요한 시간을 유도기간(誘導期間)으로 할 때 실험대조(實驗對照)와 각용매추출물(各溶媒抽出物)이 들은 기질(基質)의 유도기간(誘導期間)은 각각 193, 280, 252, 220, 478, 229, 455, 217과 214시간이었다.

  • PDF

가무락 Cyclina sinensis의 인공수정 및 발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CYCLINA SINENSIS)

  • 최신석;송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76-80
    • /
    • 1973
  • 1970년 6월부터 1971년 9월까지 사이에 Cyclina sinensis의 $NH_{4}OH$ 해수용액 규정농도별 수정율, 초기 발생 과정 및 유생의 변태과정을 조사하였다. 1. C. sinensis의 $NH_{4}OH$ 해수용액에 의한 규정농도별 수정율은 1/1000N $NH_{4}OH$ 해수용액 속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고, 이렇게 처형된 수정란의 발생과정도 정상적임을 확인하였다. 2. C. sinensis의 초기 발생과정에서는 수정후 1시간 30분이 지나면 2구기, 4시간이 지나면 포배기, 6시간이 지나면 Trocophore기에 달함을 볼 수 있었다. 3. C.sinensis의 유생을 사육한 결과, 수정후 1일이 지나면 원패각의 평균 각장이 $110\mu$인 후기 D형기에, 7일이 지나면 평균 각장이 $235\mu$인 각정기에, 20일이 지나면 평균 각장이 $260\mu$인 변태기에 달함을 볼 수 있었다. 4. C. sinensis의 유생을 실험실내 수조 속에서 사육하여 각장 $270\mu$인 치패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Estimation of methane emissions from local and crossbreed beef cattle in Daklak province of Vietnam

  • Ramirez-Restrepo, Carlos Alberto;Van Tien, Dung;Le Duc, Ngoan;Herrero, Mario;Le Dinh, Phung;Van, Dung Dinh;Le Thi Hoa, Sen;Chi, Cuong Vu;Solano-Patino, Cesar;Lerner, Amy M.;Searchinger, Timothy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1054-1060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effects of cattle breed resources and alternative mixed-feeding practices on meat productivity and emission intensities from household farming systems (HFS) in Daklak Province, Vietnam. Methods: Records from Local $Yellow{\time}Red$ Sindhi (Bos indicus; Lai Sind) and 1/2 Limousin, 1/2 Drought Master, and 1/2 Red Angus cattle during the growth (0 to 21 months) and fattening (22 to 25 months) periods were used to better understand variations on meat productivity and enteric methane emissions. Parameters were determined by the ruminant model. Four scenarios were developed: (HFS1) grazing from birth to slaughter on native grasses for approximately 10 h plus 1.5 kg dry matter/d (0.8% live weight [LW]) of a mixture of guinea grass (19%), cassava (43%) powder, cotton (23%) seed, and rice (15%) straw; (HFS2) growth period fed with elephant grass (1% of LW) plus supplementation (1.5% of LW) of rice bran (36%), maize (33%), and cassava (31%) meals; and HFS3 and HFS4 computed elephant grass, but concentrate supplementation reaching 2% and 1% of LW, respectively. Results: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HFS1, emissions ($72.3{\pm}0.96kg\;CH_4/animal/life$; least squares $means{\pm}standard$ error of the mean) were 15%, 6%, and 23% lower (p<0.01) for the HFS2, HFS3, and HFS4, respectively. The predicted methane efficiencies ($CO_2eq$) per kg of LW at slaughter ($4.3{\pm}0.15$), carcass weight ($8.8{\pm}0.25kg$) and kg of edible protein ($44.1{\pm}1.29$) were also lower (p<0.05) in the HFS4. In particular, irrespective of the HSF, feed supply and ratio changes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emission intensities when crossbred 1/2 Red Angus cattle were fed than in their crossbred counterparts. Conclusion: Modest improvements on feeding practices and integrated modelling frameworks may offer potential trade-off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Viet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