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ible composite film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Relationship between Moisture Barrier Properties and Sorption Characteristics of Edible Composite Films

  • Ryu, Sou-Youn;Rhim, Jong-Whan;Lee, Won-Jong;Yoon, Jung-Ro;Kim, Suk-Sh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68-72
    • /
    • 2005
  • Moisture sorption characteristics of edible composite film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against moisture barrier properties. Edible composite films were Z1 (zein film with polyethylene glycol(PEG) and glycerol), Z2 (zein film with oleic acid), ZA1 (zein-coated high amylose corn starch film with PEG and glycerol), and ZA2 (zein-coated high amylose corn starch film with oleic acid). Z2 film showed the lowest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monolayer value ($W_m$), water vapor permeability (WVP), and water solubility (WS). Surface structure of Z2 was relatively denser and finer than that of other edible films. GAB $W_m$ and C values decreased, while K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WS:EMC and WVP:EMC at Aw 0.75 were higher than those of WS: $W_m$ and WVP: $W_m$, respectively. EMC values at Aw 0.75 appeared useful for evaluating or predicting moisture barrier properties of edible films.

탈지겨자씨와 유청단백질을 재료로 사용한 가식성 적층필름의 개발 (Development of Edible Laminate-Composite Films Using Defatted Mustard Meal and Whey Protein Isolate)

  • 김다연;박지원;노봉수;민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11-715
    • /
    • 2012
  • 생고분자를 이용한 포장 소재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것의 상업적 식품 적용은 순수 생고분자의 비용과 생고분자 소재의 불충분한 물리적 성질에 의해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 가공 부산물인 DMM과 WPI를 이용하여 가식성 적층필름을 개발하였다. WPI 필름과의 적층을 통해 DMM 필름의 신장성과 열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었고, 이로써 적층기술이 DMM 필름의 식품 포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었다. DMM 외 다른 식품 가공 부산물을 기초로 한 생고분자 필름들 개발에 있어서도 그들의 식품 적용성 향상의 방법으로 적층방법을 제안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Curdlan 복합 가식성 필름의 제조와 물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Curdlan Composite Edible Films)

  • 한윤정;노희진;김석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8-163
    • /
    • 2007
  • 본 연구는 curdlan 복합필름을 제조하고 물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low set 방식과 high set 방식 중 적절한 방식을 선정하였고, 순차적으로 AMG나 oleic acid 중에서 적절한 방습소재를 선정하였으며, PB와 PIB 중에서 적절한 물성개량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high set 필름이 low set 필름보다 신장율은 다소 작지만 인장강도가 높고 수증기 투과도가 낮기 때문에 curdlan 복합필름 제조에는 high set 방법이 더 적합하며 이때 PEG는 2.0g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oleic acid 첨가군이 AMG 첨가군보다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더 크고, 수증기투과도는 더 낮은 편이며 특히 oleic acid 0.3g 첨가한 경우 신장율과 수증기 차단성 면에서 유리하므로 방습소재로서 oleic acid를 0.3g 첨가하는 것이 적합할 것을 판단하였다. PIB 첨가군이나 PB 첨가군 모두 인장강도와 수증기투과도는 비슷하나 신장율의 경우는 PIB 첨가군이 PB 첨가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유연성과 관련된 물성개량 측면에서는 PIB 첨가가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종합적으로 curdlan에 가소제 PEG와 방습소재 oleic acid와 물성개량제 PIB를 첨가하는 것이 유연성과 관련된 물성 면에서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탈지 겨자씨로 제조한 가식성 생고분자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탄수화물 가수분해 효소 혼합체, 초음파, 그리고 방사선 처리의 효과 (Effects of a Carbohydrase Mixture, Ultrasound, and Irradiation Treatmen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Defatted Mustard Meal-based Edible Films)

  • 양희재;노봉수;김재훈;민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0-38
    • /
    • 2011
  • 대부분의 고분자 분쇄 처리는 WVP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일부 조건에서 WS를 개선시켰으나 그 개선 정도가 변수 크기와 직접적으로 관계되지 않았다. 인장특성의 경우에도 대부분의 처리들에 의해 개선되지 않았으며, 초음파 처리의 경우에는 오히려 인장특성을 저하시키기도 하였다. 고분자 분쇄가 DMM 필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지만 향 프로파일을 제외한 DMM 필름의 특성들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건에서의 고분자 분쇄 처리에 의해 대체적으로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필름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에 미치는 그 영향 정도가 고분자 분쇄의 공정 변수 크기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초음파와 방사선으로 처리된 탈지 겨자씨 필름은 공정 변수의 크기와 필름의 특성들 간에 상관관계가 없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것은 아마도 순수한 단일 생고분자로 구성된 필름의 고분자 네트워크와 복합 생고분자로 구성된 농산물 가공 부산물인 탈지 겨자씨 필름의 고분자 네트워크의 차이 때문이라고 사려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단일 생고분자 필름의 특성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고분자 분쇄 기술과 처리 변수들의 값들이 복합 생고분자인 탈지 겨자씨 필름에는 그 필름의 특성 개선에 효율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이 결과는 다른 복합 생고분자(농산물 가공 부산물)로 가식성 필름을 제작 시 본 연구에 사용된 고분자 분쇄 처리들이 그 필름의 물리적 특성들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말해주기도 한다. 차후 탈지 겨자씨 필름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른 고분자분쇄 기술(예, high pressure homogenization)을 이용해보거나 composite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Locust Bean Gum으로 제조한 가식성 필름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Locust Bean Gum-Based Edible Film)

  • 최수진;김상용;오덕근;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63-371
    • /
    • 1998
  • Locust bean gum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한 뒤, 투명도, 수증기투과도,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투명도는 가식성 필름으로 적합하게 보였으며, 수증기투과도는 가소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LBG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건조온도를 20, 35, 50, 65, $80^{\circ}C$로 달리하였을 때 수증기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약하게 관찰되었고, 상대습도가 0%에서 32, 58, 85% RH로 증가함에 따라 수증기투과도가 글리세롤 첨가의 경우 2배, 솔비톨 첨가의 경우 3배가 증가하여 저장성에 있어서는 글리세롤이 가소제로 적합하게 나타났다. 필름의 두께가 0.06에서 0.09, 0.12 mm로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수증기투과곡선의 모습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LBG 필름의 수증기투과도는 다른 가식성 필름에 비하여 낮게 측정되었다. 인장강도는 LBG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가소제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글리세롤을 사용할 경우 더 크게 측정되었다. 반면, 신장율은 LBG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가소제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솔비톨을 사용할 경우 더 크게 측정되었으나, LBG 필름의 인장강도 및 신장률은 약하게 나타났다. LBG와 아가로오스, 카파-카라기난, 잔탄검을 혼합하여 복합필름을 제조한 결과 카파-카라기난과의 상승효과로서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