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land use

검색결과 475건 처리시간 0.023초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매트릭스 작성을 위한 공간정보 특성 고찰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Characteristics for Establishing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Matrix)

  • 황진후;장래익;전성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4-55
    • /
    • 2018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수립과 이행을 위해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토지이용 항목과 변화들에 대해 공간 명시적으로 나타낸 Approach 3 수준의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LULUCF) 매트릭스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ULUCF 매트릭스의 산림 항목을 중심으로 연속지적도,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임상도, 도시생태현황지도를 활용하여 LULUCF 매트릭스 구축에 적합한 공간정보를 검토하였다. 각 공간정보에 대한 분류 속성 비교를 실시하였고 충청남도 보령시를 대상으로 양적(면적) 비교, 질적(특성) 비교를 실시하였다. 양적 비교 결과 산림의 면적이 임상도에서 최고 50.42%($303.79km^2$), 지적도에서 최저 46.09%($276.65km^2$)의 차이를 보였다. 질적 비교 결과 자료 구축 범위 차이, 자료 구축 목적 차이, 분류 항목 차이, 일필일목의 원칙 적용 여부의 차이, 자료구축 시기 차이 등 5가지 질적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생태현황지도가 LULUCF 매트릭스 구축에 가장 적합한 공간 정보로 판단되었으나 전국구축이 되어있지 않은 한계로 토지피복지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또한, 도시생태현황지도, 임상도, 토지피복지도 등을 서로 종합하여 LULUCF 매트릭스를 구축하게 될 경우 각 공간정보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전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1:5,000 수준의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및 도시생태현황지도가 완료될 경우 LULUCF 매트릭스 작성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하천의 생태적 재생계획에 관한 연구 - 안양시 수암천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cological Rehabilitation Plan for Urban Stream - Focused on Suam Stream in Anyang City -)

  • 최정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33-14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planning proposal is to rehabilitate the urban stream which has been ecologically disturbed in the urban process. The experimental stream, Su-am stream located in Anyang City is typical urban stream in adjacent land use and the spatial condition. The stream in the watershed context, is the second tributary of Han River,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reach were analyzed by the river corridor survey. In the conceptual phase, Rehabilitation Program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hydrological, ecolog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Spatial zoning concep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and adjacent land use, was suggested 4 types of zoning;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natural landscape zone, neighborhood water-friendly zone and CBD water-friendly zone. Implementation Practic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or The longitudinal river continuum, some In-stream practices were suggested and implemented; such as channel alignment, step & pool, pool & riffle and low-flow channel bank. For latitudinal continuum and intimat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Sam-duk Park & Su-am stream, gentle sloped bank was planned and implemented. After stream improvement & ecological Implementation, follow-up monitoring and adaptive management programs will be a meaningful process for ecological rehabilitation.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한 농업비점오염원 오염부하량 산정에 관한 연구 (Method for Calculating the Pollution Load Amount of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Using Land Cover Map)

  • 유지은;김윤지;성현찬;이경일;최지용;전성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249-1260
    • /
    • 2020
  • Non-point source pollutants have characteristics the render them difficult to manage owing to the uncertainty of flow paths. As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account for more than 57%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the necessity for management is increasing.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land cover maps to suggest a more appropriate method of setting management priority for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in the Daecheong Lake area and draws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results derived using the cadastral map, as mentioned in the TMDL Basic Policy. To define the prioritized areas for management, the pollution load was calculated for each subbasin using the formula from the TMDL technical guidelines.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pollution load between the land cover map and cadastral map ranged from 11.6% to 21% among the subbasins. In almost all subbasin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anking of management priorities depending on the land information that was u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reasonable to use the level 3 land cover map to calculate the load generated by the land system for examining the implementation goals and methods of each data and comparing them with satellite images.

산지 지형 및 생태적 입지를 고려한 산지이용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version Permission Standard considering the Topography and Ecological Location of the Mountain Areas)

  • 최정선;곽두안;권순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71
    • /
    • 2019
  • 현행 「산지관리법」 에서는 산지전용허가를 위한 지형기준으로서 전용필지 내의 표고(5부 능선 미만)와 평균경사도(25°이하) 기준을 적용하여 산지의 무분별한 전용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표고 개념이 모호하여 5부 능선을 구획할 때 지역적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평균경사도는 지형의 급격한 사면형태를 고려할 수 없어 산사태 등과 같은 재해위험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표고와 경사도 이외에 필지의 환경적·생태적 중요도를 고려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전용기준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경사 및 표고 기준 이외에 단순한 전용기준을 보완하기 위해 지형분류기법(Catena)을 이용한 사면유형을 전용 기준으로 추가하였으며, 1:5,000 축척의 임상도 및 산림입지토양도를 이용한 생태적 입지(영급, 경급, 토심) 기준을 제안하였다. 지형기준 개선을 위해 산지이용유형별 위험사면 포함비율을 제시함으로써 산지재해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생태적 입지를 평가하기 위해 산지전용 대상지의 영급, 경급, 토심에 대한 기준점수를 해당필지가 속한 산지유역유형별로 제시하여 산림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산지의 지형 및 생태적 요소를 고려한 산지전용기준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재해위험성 감소와 산지생태계 훼손 최소화를 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자연공원의 환경분석 및 용도지역설정을 위한 전산환경정보체계의 수립과 적용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Computer-Assiste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for Land Use Zoning and Environmental Analysis of Natural Park)

  • 이명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2권1호
    • /
    • pp.39-55
    • /
    • 1993
  • The importance of urban and regional natural park increases because of the needs for preserving the natural resources and providing with natural recreation space in nature. This planning of natural park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various natural resources in the park. But for the lack of effective data synthesizing methods and concepts, only some restricted factors for zoning plan are considered even though GIS computer system for large complex simulation is used.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ecological zoning models such as Basic Factor Model (BFM), Visual Landscape Model (VLM) and Comprehensive Ecological Model (CEM) are proposed and applied to Byounsan Peninsula Nature Park(BPNP) for comparison with the current natural park zoning. The BFM has three components -elevation, slope and vegetation. The VLM has applied with six components -elevation, slope, vegetation, road type, and the visual distance. Finally the CEM's modelling factors have included all of BFM, VLM components are added with the land use type, nature and historic resource factors. The zoning concept of BPNP was based on "Minimization" focused on the specific factors. But introduced modelling concept is "Optimization" based on the total ecological environment. So the result of the modelling has larger area for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zoning compared with the current zoning whose characteristics are ambiguous which allows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The future study issues will be the determination of the weighting factor, component reconsideration based on the ground truth data and the agriculture residential area zoning.

  • PDF

대구·경북 생태공간 연결성 및 산림축 분석 (Analysis of Ecological Space Connectivity and Forest axi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 차재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0-96
    • /
    • 2023
  • 인간의 활동 영역과 도로의 확장으로 인한 생태공간의 손실과 단절은 생물다양성에 부정적 요소이다. 특히 토지의 이용과 피복이 급속하게 변한 도시의 시가화지역은 생태공간의 손실과 고립으로 야생생물의 서식이 어려운 지역이다. 또한 도시화에 따른 생태공간 손실과 단절은 생태계서비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와 국토의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해 도시의 현황을 반영한 실용적 생태축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경북권역 기초자치단체의 도시생태축 관련 공간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생태공간의 연결성과 산림축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생태공간 연결성은 대구·경북권역 31개 기초자치단체의 산림과 자연지역으로 구분하여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상지를 20,483개의 1km2 육각형 격자로 나누고 생태공간의 100m 이내 단절에 대한 복원 효과를 공간 군집화하여 복원 중점지역을 시각화하였다. 산림축은 100ha 이상 산림 1,534개를 연결하는 선형을 토지피복, 건축물 면적, 경사 등 지역 현황을 반영하여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생태공간의 연결성 개선을 위한 공간계획 및 목표 수립과 복원지역 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IS를 활용한 생태도시의 토지적합성 분석 (Suitability Analysis on Land Use for Eco-City using GIS)

  • 한갑수;조현길;이창환;안태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도시 구상을 위한 토지용도의 적지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GIS를 활용하여 생태환경을 정리, 분석하여 지역 및 공간에 대한 적합성을 판정하는 것이었다. 적합성 판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환경 요소로서 표고, 경사, 수계/저류지, 비오톱, 토양생산성, 시각민감도, 식생, 녹지연결성 등 8가지를 선정하였다. 각 요소의 범주를 개발 및 보존가치에 따라 5등급으로 등급화하고, 각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도면중첩은 최대값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의 최종단계에서 5등급의 토지 적합성 등급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라 개발, 보전, 절대보존 공간 등 등급별로 토지용도를 제안하였다.

  • PDF

Ground beetle (Coleoptera: Carabidae) assemblage in the urban landscape, Korea

  • Jung, Jong-Kook;Kim, Seung-Tae;Lee, Sue-Yeon;Park, Chang-Kyu;Lee, Eun-Heui;Lee, Joo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2호
    • /
    • pp.79-89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ntention of clarifying the effects of land-use types on a species of ground beetle's richness, abundance, and composition; the study focused on urban landscapes. We also selected the potential bioindicators classifying land-use types; eleven sites were selected from an urban landscape in Korea. Overall, land-use types in urban landscapes did not appear to cause significant decrease in species richness or the abundance of total ground beetle assemblage. According to habitat preferences, several land-use types and distances from the forest significantly affected the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while the open-habitat species were not affected by these variables. Land-use types were classified into two major groups, forest and non-forest areas, based on ground beetle assemblage; several indicators, such as $Dolichus$ $halensis$ $halensis$ and subfamily Carabinae species, were of particular consideration. In conclusion, environmental change by anthropogenic disturbance can cause different effects on ground beetle assemblages, and forest specialists can be negatively affected.

토지이용균형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지역의 주거용 토지이용변화와 인구 밀도 예측 (Analyzing Residential Land Use Change and Population Density Considering Climate Change Using Land Use Equilibrium Model in Jeju)

  • 유소민;이우균;야마가타 요시키;임철희;송철호;최현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58
    • /
    • 2015
  • 급격한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급증시키고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보고서는 온실가스가 2000년부터 2030년까지 최대 90%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 대책 수립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기후변화 대응 정책으로'저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Green Growth)'을 시행하였다. 지자체에서는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계획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기후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토지이용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경제적, 지리적 특성을 기반한 토지이용 균형 모델을 적용하여 주거 토지이용변화와 인구 밀도를 예측하였다. 먼저, 주거부분의 토지이용변화를 보기 위해, 3가지 유형의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시나리오는 현재와 동일한 환경을 갖는 Dispersion 시나리오, 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반영한 Adaptation 시나리오,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 대책을 동시에 반영한 Combined 시나리오이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Dispersion 시나리오에서 Combined 시나리오로 갈수록 주거면적과 인구밀도가 줄어들었다. 이후 주거면적과 인구밀도 결과를 통해 시나리오별 주거용 에너지 소비량과 예상 인명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Dispersion 시나리오에서 Combined 시나리오로 갈수록 에너지 소비량과 예상 인명 피해액은 줄어들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지이용균형모델을 적용하여 시나리오별 주거부분 토지이용과 인구 밀도 변화 파악은 향후 기후변화 안정성을 확보하고 완화할 수 있는 환경적 도시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태적 환경을 고려한 소도시공간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mall Urban Space Design Method in Consider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 이광영;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75-88
    • /
    • 2000
  • This study is based on the Ecological Design Theories related with the Urban space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Urban Space Design Method in consider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To achieve this purpose, Normative Theory Study which means Logical Analysis of Ecological Theories in the new field of Ecological Urban Design, is done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 of this study. This results derive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ix(6)-Ecological Urban Planning Elements related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clarified these are Land-use planning, Transformation planning, Plants and Living-thing Ecological System planning, A Culture planning related with water, Energy and resource planning, and Urban-amenity planning. 2. Urban Space Design Method in consider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is porposed by means of the Normative theroy study analysis and contents analysis related with Ecological Urban planning which contain Ecological Planning El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