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worm(Eisenia fetida)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1초

유기성 슬러지 먹이에 대한 두 근연종인 줄지렁이(Eisenia fetida)와 붉은줄지렁이(Eisenia andrei)의 생식반응 비교 (A comparison of the reproduction of two closely related species, tiger worm(Eisenia fetida) and red tiger worm(Eisenia andrei) when the organic sludge was suppied to them)

  • 배윤환;신현곤
    • 유기물자원화
    • /
    • 제29권3호
    • /
    • pp.27-33
    • /
    • 2021
  • CO I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경북농약연구소에서 독성실험에 이용되고 있는 경주집단 Eisenia속 지렁이의 '분자생물학적 종'은 줄지렁이(E. fetida)로 동정되었고 유기성 폐기물 재활용에 활용되고 있는 영동집단 Eisenia속 지렁이의 '분자생물학적 종'은 붉은줄지렁이(E. andrei)로 동정되었다. 이들 두 분자생물학적 종의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생식반응을 비교한 결과 줄지렁이 집단의 산란률과 차세대 성충으로의 성장률이 붉은줄지렁이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거나 또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 교잡 후 생산되는 산란수나 차세대 성충 생산수는 같은 집단내 개체들로부터 생산된 것들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줄지렁이 집단과 붉은줄지렁이 집단 간에 완전한 생식적 격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이 두 집단 간에 생물학적 종분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vermectin이 함유된 우분이 줄지렁이에 미치는 영향 (Erects of Ivermectin Contained-Cattle Dung on the Development of Earthworm, Eisenia fetida)

  • 방혜선;나영은;김명현;한민수;이정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4-117
    • /
    • 2007
  • 가축용 구충제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ivermectin이 토양 동물중 대표적인 비표적 생물인 지렁이(Eisenia fetida)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Ivermectin $250{\mu}g$를 피하주사한 소로부터 배출되는 우분을 1, 2, 3, 7일째 채취하여 생물검정을 시도한 결과 1, 2일째 배출된 우분은 급성 독성을 나타내어 73.7%와 98.3%의 치사율을 보였다. 또한 발육율에 있어서도 1일째 우분을 섭취한 줄지렁이의 발육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혀 산란을 하지 못했다. Ivermectin 처리후 1, 2 일째 배출된 우분은 지렁이에 있어 급성독성을 나타내고 2세대의 부화율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3일째 이후 배출된 우분에서는 급성 및 만성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ivermectin을 소에 처리하고 1, 2일째 배설된 우분에는 상당량의 ivermectin이 함유되어 지렁이등과 같은 분해성 비표적 생물의 발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관찰되어 초지에서 영양물질 순환의 차원에서나 지렁이 먹이로써의 우분에 대한 관리가 요망되는 바이다.

부숙된 음식물 쓰레기의 이화학성상 변화 및 줄지렁이의 섭식반응 (Changes in several physco-chemical properties of aged food waste and feeding response of tiger worms(Eisenia fetida) on it)

  • 배윤환;이병도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4호
    • /
    • pp.130-138
    • /
    • 2004
  • 서로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에 제지슬러지, 인분케익을 혼합하여 부숙시킨 후, 부숙기간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이화학적 성상 및 줄지렁이의 섭식반응 및 생체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생지역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이화학적 성상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렁이가 섭식하기에는 음식물 쓰레기내의 염분 농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음식물 쓰레기에 인분케?을 혼합하여 부숙시켰을 때보다 제지슬러지를 혼합, 부숙시켰을 경우 염류농도 저하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나, 지렁이의 섭식효율과 생장률을 크게 개선시킬만큼 효율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해서 지렁이 처리법을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내의 염류농도를 저하시키는 방법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느타리버섯 폐배지에 대한 줄지렁이(Eisenia fetida) 개체군의 섭식률 및 생장률 (Feeding rate and growth rate of earthworm(Oligochaeta : Eisenia fetida) population on the spent substrate of the agaric-mushroom cultivation)

  • 배윤환;양용운
    • 유기물자원화
    • /
    • 제18권4호
    • /
    • pp.45-53
    • /
    • 2010
  •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처리된 느타리 버섯 폐배지에 대한 줄지렁이 개체군의 섭식률 및 생장률을 조사하였다. 갓 발생한 버섯폐배지의 부숙기간을 달리하여 지렁이에게 급이하였을 경우, 20일 이상 부숙된 버섯 폐배지보다 10일 이하로 부숙된 버섯 폐배지에 대한 지렁이 개체군의 섭식량 및 생장률이 높았다. 분변토를 첨가한 버섯폐배지나 질소영양원으로서 요소비료를 첨가하여 부숙한 버섯폐배지는 지렁이 개체군의 섭식률과 생장률을 증대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버섯폐배지를 분쇄하여 공급하였을 경우에는 섭식량 및 생장률이 증가하였다. 특히 분쇄된 버섯폐배지에 미강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분쇄하지 않은 단순 버섯폐배지보다 생장률이 1.85배 증가하였다.

퇴비더미, 야초더미와 농촌하수구에 서식하는 지렁이 종과 군집 (Earthworm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in the Heap of Compost, Wild-grass and Sewer)

  • 나영은;홍용;이상범;고문환;안용준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11-16
    • /
    • 2001
  • 2000년 7월 10일부터 8월 3일까지 전국의 퇴비더미 37개, 야초더미 56개, 농촌하수구 15개에서 1525개체의 지렁이를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지렁이는 3과 4속 6-8종이었으며 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 퇴비더미에서 서식하는 지렁이는 줄지렁이 (Eisenia fetida) 86.2%, 참지렁이 (A. koreanus group) 6.3%, 밭지렁이 (Amyntha agrestis) 2.8%, 외무늬지렁이 (Amynthas hilgendorfi) 1.1%, Drawida sp. 1.7%, 갈색낚시지렁이 (Aporectodea trapezoides) 0.5%, 기타 종이 1.4%, 야초더미에서 서식하는 지렁이는 참지렁이 (A. koreanus group)가 27.8%, 밭지렁이(Amyntha agrestis) 25.1%, 외무늬지렁이 (Amynthas hilgendorfi) 12.1%, 줄지렁이 (Eisenia fetida) 9.8%, 갈색낚시지렁이(Aporectodea trapezoides) 9.1%, Drawida sp. 2.8%, 기타 종 13.2%,또한 농촌하수구에서 서식하는 지렁이는 참지렁이 (A. koreanus group) 26.3% . 줄지렁이 (Eisenia fetida) 24.2%, 외무늬지렁이 (Amynthas hilgendorfi) 10.2%, 갈색낚시지렁이 (Aporecrodea trapezoides) 5.4%, 밭지렁이 (Amyntha agrestis) 5.4%, Drawida sp. 1.6%, 기타 종은 22.6%로 조사되었으며, 향후 조사된 이들 종들에 대한 섭식 능력과 기능을 평가하여 여러 분야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제지슬러지 및 우분 급이시 줄지렁이(Eisenia fetida)의 섭식률, 배설률 및 증체율 (Feeding rate, excreting rate and biomass increasing rate of earthworm (Eisenia fetida) fed with paper mill sludge and cow dung manure)

  • 배윤환;박광일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3호
    • /
    • pp.101-109
    • /
    • 2006
  • 쌍용 P&G 제지공장 및 유한킴벌리 제지공장에서 발생한 제지슬러지 또는 우분을 줄지렁이의 먹이로 공급하면서 줄지렁이의 섭식량, 증체율 및 먹이에 대한 배설률을 조사하였다. 제지슬러지를 먹이로 공급하였을 경우에는 줄지렁이의 생체량이 증가하였으나, 우분을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는 먹이급이 70일 후에 지렁이 개체군이 사멸하였다. 섭식한 먹이의 지렁이 생체로의 전환률은 먹이급이 84일후에 건중량 기준으로 성충, 노령 유충 및 유령 유충 순으로 P&G 제지슬러지의 경우 0.48, 0.40, 0.76%로 유령유충이 입식된 사육상에서 높았고, 유한킴벌리 제지슬러지의 경우 0.26, 0.45, 0.42%로 성충이 입식된 사육상에서 가장 낮았다. 섭식한 먹이에 대한 지렁이의 배설률은 성충, 노령 유충 및 유령 유충 순으로 P&G 제지슬러지의 경우 49.02, 54.32, 55.39%이었고, 유한킴벌리 제지슬러지의 경우 32.22, 41.86, 40.69%로 P&G 제지슬러지에 대한 배설률이 유한 킴벌리에 대한 배설률보다 높았다. 우분에 대한 배설률은 성충, 노령 유충 및 유령 유충 각각 73.73, 57.89, 76.38%로 제지슬러지보다는 높은 배설률을 나타내었다.

  • PDF

농생태계 서식하는 지렁이 종 분포조사 (Occurrence of Earthworm in Agro-ecosystem)

  • 홍용;김태흥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88-93
    • /
    • 2007
  • 2006년 5월부터 10월까지 국내 농생태계 49지점에서 탐색 수집된 지렁이는 3과 5속 15종 1,846 개체이며 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 Amynthas agrestis 20.9%, Amynthas koreanus 20.3%, Amynthas heteropodus 15.4%, Amynthas sp. 8.7%, Drawida japonica 8.0%, Eisenia fetida 7.2%, Amynthas hilgendorfi 7.0%, Bimastos parvus 3.2%, Amynthas hupeiensis 2.5%, Aporrectodea caliginosa 1.8%, Amynthas corticis 1.8%, Aporrectodea tuberculata 1.3%, Eisenia andrei 1.2%, Amynthas sp.20.4%, Amynthas sp. 1 0.3%이다. 종 조성 비율을 보면 이와 같이 왕지렁이속, A. agrestis, A. koreanus, A. heteropodus 3종이 차지하는 개체수는 1,046개체로 전체의 약 56.7%를 차지하는 우리나라 농생태계의 우점종 이다. 성숙 개체와 미성숙 개체의 비율은 1.25:1로 성숙된 개체가 더 많이 출현하였다. Amynthas sp. 1, Amynthas sp. 2는 본 조사를 통하여 처음으로 확인되는 신종 후보로, 여러 외부형질, 특히 malepore의 형태가 지금가지 국내에서 기록된 다른 왕지렁이속에 속하는 종들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하수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 침출수슬러지 또는 제지슬러지를 혼합하여 부숙시킨 먹이에 대한 줄지렁이(Eisenia fetida)개천군의 섭식률 및 생장률 (Feeding and Growth Rate of Earthworm(Eisenia fetida) Population on The Sewage Sludge Mixed and Aged with Food Waste Leachate or Paper Mill Sludge)

  • 김병우;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3호
    • /
    • pp.52-64
    • /
    • 2008
  • 하수슬러지와 음식물 침출수슬러지 또는 제지슬러지를 혼합하여 부숙시킨 후 줄지렁이에게 급이하면서 지렁이의 섭식률 및 생장률을 조사하였다. 하수슬러지에 음식물쓰레기 침출수슬러지를 혼합하여 30일 부숙시킨 것에 대한 지렁이 개체군의 섭식량은 10, 20일 부숙시킨 것에 대한 섭식량보다 높았다. 그러나 부숙기간에 상관없이 먹이 급이 90일 경과 후 지렁이 개체군의 밀도는 감소하였고, 먹이급이 180일 경과 후 지렁이 개체군의 연령구성에서 성충의 비율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보아 하수슬러지에 음식물쓰레기 침출수슬러지를 혼합하여 부숙시켜 전처리된 먹이는 지렁이 개체군의 차세대로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슬러지에 제지슬러지를 혼합하여 20일 부숙시킨 것에 대한 지렁이 개체군의 섭식량 및 밀도는 10, 30일 부숙시킨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숙기간에 상관없이 먹이급이 90일까지는 지렁이 개체군의 밀도가 증가하였으나, 먹이급이 90일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따라서 하수슬러지를 장기간 급이시 발생하는 밀도 감소에 기인하는 하수슬러지 내 독성물질의 규명 및 이를 제거하는 다른 전처리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줄지렁이 개체군의 밀도, 유충 및 성충의 비율, 섭식량 등을 고려하였을 때, 하수슬러지와 제지슬러지를 혼합하여 20일 부숙시킨 것이 다른 전처리 먹이보다 지렁이퇴비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oxicological Effects of PFOS and PFOA on Earthworm, Eisenia fetida

  • Joung, Ki-Eun;Jo, Eun-Hye;Kim, Hyun-Mi;Choi, Kyung-Hee;Yoon, Jun-Heo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3호
    • /
    • pp.181-186
    • /
    • 2010
  •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are anthropogenic compounds found in trace amounts in many environmental compartments far from areas of production. Along with the highly persistent nature of PFCs,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over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them on the ecosystems. Most of highly fluorinated compounds degrade into PFOS and PFOA that are very stable compounds hard to break down. So, in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the toxicity of PFOS and PFOA in the terrestrial invertebrate. Acute toxicity test using earthworm, Eisenia fetida,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ECD test guideline 207 (Earthworm, Acute Toxicity Tests). In the 14 day acute toxicity tests, the highest concentration causing no mortality and the lowest concentration causing 100% mortality of PFOS were 160 and 655 mg/kg (dry weight), respectively.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causing no mortality and the lowest concentration causing 100% mortality were 500 and 1,690 mg/kg (dry weight), respectively in the PFOA-exposure group. 14 day-LC50 values were estimated at the level of 365 and 1,000 mg/kg (dry weight) in the PFOS and PFOA-expos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nder laboratory conditions PFOS is about 3 times more toxic to earthworms than PFOA. Based on known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of PFOS in the soil of Korea, which occur in the 0.42~0.73 ng/L range, there is no apparent risk to terrestrial invertebrate, earthworms. However, further work is required to investigate long-term effects on these and other terrestrial organisms.

Effect of neem leaves and stock density of earthworm (Eisenia fetida) on quality of rice straw vermicompost

  • Sapna Yadav;Parveen Kumar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51-64
    • /
    • 2023
  •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rice straw is essential for protection of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This study assesses the impact of stock density of earthworm (Eisenia fetida) and Neem leaves (Azadirachta indica) on the quality of the final vermicompost. The vermicompost is produced using different combinations of rice straw, Neem leaves, and cow dung (bulking agent) by varying stock density of earthworms. The vermicomposting experiments are performed in plastic containers (32 cm × 28 cm × 28 cm) in open for 90 day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The stock density of the earthworm i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nutritional quality of the final vermicompost. There is observ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otal nitrogen (91.8%), phosphate (73.4%), potassium (38.8%), and calcium (59.05%) content of the vermicompost produced with the highest stock density of the earthworms. All the treatments showed decrease in TOC and C:N content after 90 days of vermicomposting. The treatment with Neem leaves showed maximum growth of earthworms (2.65 fold). Neem leaves brought positive changes in the quality of final vermicompost by enhancing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earthworms. The calcium content increased by 39% in the final vermicompost with the addition of Neem leaves at the same stock density of the earthworms. The stock density of the earthworms and Neem leaves are found to significantly improve quality of the final vermicompost as compared with the compost (control). The surface morphology in SEM images showed high degree of fragmentation in the vermicompost as compared with the compost. The combined action of microbes and earthworms resulted in high degree of disintegration in the vermicom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