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treatment

검색결과 5,609건 처리시간 0.034초

급성 중독에서 체외순환보조장치의 적용 (Extracorporeal Life Support in Acute Poisoning)

  • 이시진;한갑수;이의중;김도현;박경애;이지영;김수진;이성우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6-92
    • /
    • 2018
  • Purpose: Cardiovascular or respiratory complications of acute intoxication are the most common causes of mortality.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 or specific antidotes help manage these cardiac or respiratory complications in acute intoxication. On the other hand, some cases do not respond to ACLS or antidotes and they require some special treatment, such as extracorporeal life support (ECLS). ECLS will provide the chance of recovery from acute intoxi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optimal timing of ECLS in acute intoxication cases. Methods: This paper is a brief report of a case series about ECLS in acute poisoning. The cases of ECLS were reviewed and the effects of ECLS on the blood pressure and serum lactate level of the patients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four cases were reviewed; three of them were antihypertensive agent-induced shock, and one was respiratory failure after the inhalation of acid. The time range of ECLS application was 4.8-23.5 hours after toxic exposure. The causes of ECLS implementation were one for recurrent cardiac arrest, two for shock that did not respond to ACLS, and one for respiratory failure that did not respond to mechanical ventilator support. Three patients showed an improvement in blood pressure and serum lactate level and were discharged alive. In case 1, ECLS was stared at 23.5 hours post toxic exposure; the patient died due to refractory shock and multiple organ failure. Conclusion: The specific management of ECLS should be considered when a patient with acute intoxication does not recovery from shock or respiratory failure despite ACLS, antidote therapies, or mechanical ventilator support. ECLS improved the hemodynamic and ventilator condition in complicated poisoned patients. The early application of ECLS may improve the tissue perfusion state and outcomes of these patients before the toxic damage becomes irreversibl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Antibiotic-Impregnated Shunt Catheters on Anti-Infective Effect of Hydrocephalus Shunt

  • Zhou, Wen-xiu;Hou, Wen-bo;Zhou, Chao;Yin, Yu-xia;Lu, Shou-tao;Liu, Guang;Fang, Yi;Li, Jian-wen;Wang, Yan;Liu, Ai-hua;Zhang, Hai-j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2호
    • /
    • pp.297-308
    • /
    • 2021
  • Objective : Shunt infection is a common complication while treating hydrocephalus. The antibiotic-impregnated shunt catheter (AISC) was designed to reduce shunt infection rate.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AISCs in reduction of shunt infection in terms of age, follow-up time and high-risk patient population. Methods :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from three databases including PubMed, EMBASE, and Cochrane Library (from 2000 to March 2019). Clinical studies from controlled trials for shunt operation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A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patient's age, follow-up time and high-risk population. The fixed effect in RevMan 5.3 software (Cochrane Collaboration) was used for this meta-analysis. Results : This study included 19 controlled clinical trials including 10105 operations.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AISC could reduce the infection rate in shunt surgery compared to standard shunt catheter (non-AISC) from 8.13% to 4.09% (odds ratio [OR], 0.48; 95% confidence interval [CI], 0.40-0.58; p=0.01; I2=46%). Subgroup analysis of different age groups showed that AISC had significant antimicrobial effects in all three groups (adult, infant, and adolescent). Follow-up time analysis showed that AISC was effective in preventing early shunt infections (within 6 months after implant). AISC is more effective in high-risk population (OR, 0.24;95% CI, 0.14-0.40; p=0.60; I2=0%) than in general patient population. Conclusion : The results of meta-analysis indicated that AISC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shunt infection. We recommend that AISC should be considered for use in infants and high-risk groups. For adult patients, the choice for AISC c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treatment cost.

딥러닝 자동 분류 모델을 위한 공황장애 소셜미디어 코퍼스 구축 및 분석 (Building and Analyzing Panic Disorder Social Media Corpus for Automatic Deep Learning Classification Model)

  • 이수빈;김성덕;이주희;고영수;송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3-172
    • /
    • 2021
  • 본 연구는 공황장애 말뭉치 구축과 분석을 통해 공황장애의 특성을 살펴보고 공황장애 경향 문헌을 분류할 수 있는 딥러닝 자동 분류 모델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에서 수집한 공황장애 관련 문헌 5,884개를 정신 질환 진단 매뉴얼 기준으로 직접 주석 처리하여 공황장애 경향 문헌과 비 경향 문헌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 공황장애 경향 문헌에 나타난 어휘적 특성 및 어휘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TF-IDF값을 산출하고 단어 동시출현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황장애의 특성 및 증상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증상 빈도수와 주석 처리된 증상 번호 간의 동시출현 빈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구축한 말뭉치를 활용하여 딥러닝 자동 분류 모델 학습 및 성능 평가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신 딥러닝 언어 모델 BERT 중 세 가지 모델을 활용하였고 이 중 KcBERT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공황장애 관련 증상을 겪는 사람들의 조기 진단 및 치료를 돕고 소셜미디어 말뭉치를 활용한 정신 질환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응급실로 내원한 약물중독 자살시도자의 자살 진정성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 분석: 응급실 기반 자살 시도자 관리시스템 자료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 (Analysis of social factors influencing authenticity of suicide for patient who attempt to suicide in emergency department: Retrospective study based Post-suicidal Care Program data)

  • 지재구;김양원;강지훈;장윤덕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authenticity of suicidal ideation' based post-suicidal care programs in emergency departments (ED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an analysis using the data of patients who had attempted suicide and visited the ED in tertiary urban hospitals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18. The variables examined included gender, age, history of previous psychiatric disease, suicide method, and the number of previous attempt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registration rate for the community-based post-suicide care program. Results: Overall,1,460 suicides were analyzed, 177 (1.16%) showed a high authenticity of suicide. The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authenticity of suicide intent were the unmarried status of men and women, joblessness, history of mental illnesses, more than two previous suicide attempts,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an attempt to commit suicide after midnight more specifically between 24:00 to 6:00 hours in the morning (p<.05).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the condition of high authenticity suicide patients were low Glasgow coma scores (12 points or less), lactate levels, and oxygen saturation observed in the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for treatment and died (p<.05). Conclusion: The need for evidence-based preventive measures and early assessment tools at the emergency medicine level is emphasized to reduce the rate of suicide attempts.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in the management of suicide prevention, the evaluation of the authenticity of suicide intent will be more likely to be made at the emergency medicine level, allowing the severity to be assessed earlier.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of acute kidney injury after total hip or knee replacement surgery

  • Lee, Yoo Jin;Park, Bong Soo;Park, Sihyung;Park, Jin Han;Kim, Il Hwan;Ko, Junghae;Kim, Yang Woo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136-141
    • /
    • 2021
  • Background: Postoperative acute kidney injury (AKI), which increases the risk of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poses a major concern to surgeons. We conducted this study to analyz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AKI after orthopedic surgery.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that included 351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hip or knee replacement surgery at Inje University Haeundae Paik Hospital between January 2012 and December 2016. Results: AKI occurred in 13 (3.7%) of the 351 patients. The patients' preoperativ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was 66.66 ±34.02 mL/min/1.73 m2 in the AKI group and 78.07±21.23 mL/min/1.73 m2 in the non-AKI group. The hemoglobin levels were 11.21±1.65 g/dL in the AKI group and 12.39±1.52 g/dL in the non-AKI group. Hemoglobin level was related to increased risk of AKI (odds ratio [OR], 0.13; 95% confidence interval [CI], 0.02-0.68; p=0.016). Administration of crystalloid or colloid fluid alone and the perioperative amount of fluid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KI. Further analysis of the changes in eGFR was performed using a cutoff value of 7.54. The changes in eGF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creased risk of AKI (OR, 0.74; 95% CI, 0.61-0.89; p=0.002). Conclusion: Renal function should be monitored closely after orthopedic surgery if patients have chronic kidney disease and low hemoglobin level. Predicting the likelihood of AKI occurrence, early treatment of high-risk patients, and monitoring perioperative laboratory test results, including eGFR, will help improve patient prognosis.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일곽의 화계(花階) 조성과 변화 양상 (A Study on Creation of Terraced Flower Beds and Aspect of Change in the Seunghwaru Area, Changdeokgung Palace)

  • 오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5-25
    • /
    • 2022
  • 본 연구는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남측 공간에 위치한 화계(花階)의 조성 경위를 탐색하고, 화계 조성 전후의 실상을 파악하여 향후 내전(內殿) 지역의 복원정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00년대 초반 승화루 남측 공간은 낙선재(樂善齋) 일곽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대(地帶)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북고남저지형을 따라 행각으로 위요된 마당, 낙선재 서행각(西行閣)과 연결되는 장방형 공지(空地)가 조성되어 있었다. 특히 장방형 공지는 일정 간격으로 장대석 석렬을 배치한 계단형 경사지였다. 둘째, 승화루 화계는 1920년대 후반에 시행된 낙선재 서행각의 신관(新館) 개축공사로부터 비롯되었다. 신관 건립 과정에서 건축 및 부대공간 조성에 필요한 가용지(可用地)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승화루 남측 공간의 원지형을 절토한 이후 절개지를 따라 지형처리 목적의 화계가 조성되었다. 셋째, 화계 조성 이후 승화루 남측 공간의 지형지물에 많은 변형이 발생하였다. 승화루의 앞마당은 낙선재 일곽보다 고지대에 자리하고 있었지만, 화계가 조성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절토되어 사라졌다. 계단형 경사지 역시 신관 건축과 화계 조성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화계의 선형을 따라 승화루 기단과 담장이 새롭게 조성되었으며, 독특한 양식의 협문과 부속 계단도 신설 담장으로 이설되었다.

패치 특징 코어세트 기반의 흉부 X-Ray 영상에서의 병변 유무 감지 (Leision Detection in Chest X-ray Images based on Coreset of Patch Feature)

  • 김현빈;전준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35-45
    • /
    • 2022
  • 현대에도 일부 소외된 지역에서는 의료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위·중증 환자에 대한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의료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자동화하여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 문제 및 의료 인력 부족을 해소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컴퓨터 비전 기반의 진료 자동화는 훈련 목적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라벨링 작업에서 많은 비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은 희귀질환이나 시각적으로 뚜렷하게 정의하기 어려운 병리적 특징 및 기전을 구분하는 작업에서 두드러진다. 이상 탐지는 비지도 학습 전략을 채택함으로써 데이터 수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상 탐지 기법들을 기반으로, 흉부 X-RAY 영상에 대해 이상 탐지를 수행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최적 해상도로 샘플링된 의료 영상의 색상 범위를 정규화한다. (2) 무병변 영상으로부터 패치 단위로 구분된 중간 수준 특징 집합을 추출하여 그 중 높은 표현력을 가진 일부 특징 벡터들을 선정한다. (3) 최근접 이웃 탐색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미리 선정된 무병변(정상) 특징 벡터들과의 차이를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PA 방식으로 촬영된 흉부 X-RAY 영상들에 대한 제안 시스템의 이상 탐지 성능을 세부 조건에 따라 상세히 측정하여 제시한다. PadChest 데이터세트로부터 추출한 서브세트에 대해 0.705 분류 AUROC를 보임으로써 의료 영상에 대한 이상 탐지 적용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의료 기관의 임상 진단 워크플로우를 개선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의 조기 진단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기후변화 환경에서의 낙엽성 참나무 6종의 발아와 초기 생장 (Impact of Germination and Initial Growth of Deciduous Six Oak Species under Climate Change Environment Condition)

  • 정헌모;김해란;유영한
    • 생태와환경
    • /
    • 제54권4호
    • /
    • pp.334-345
    • /
    • 2021
  • 우리나라 산림 생태계의 주요 우점종인 낙엽성 참나무 6종의 지구온난화에 의한 초기 생장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야외 (대조구)와 대조구보다 온도 (3.0℃ 상승)와 CO2 농도 (2배 상승)를 증가시킨 기후변화처리구에 종자를 파종하고 2주 간격으로 발아 및 초기 생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6종 참나무 유식물들의 지상부와 지하부 출현시기는 대조구보다 기후변화처리구에서 모든 종이 더 빨랐다. 잎 출현시기는 기후변화처리구에서 굴참나무, 신갈나무 그리고 졸참나무가 빨랐다. 지하부 길이는 기후변화 처리구에서 굴참나무, 신갈나무 그리고 떡갈나무가 길었고 상수리나무는 구배 간 차이가 없었으며 갈참나무와 졸참나무는 짧았다. 지상부 길이는 기후변화처리구에서 졸참나무가 길었고,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그리고 떡갈나무는 차이가 없었으며 갈참나무는 짧았다. 이상의 결과는 지구온난화 환경에서 지상부와 잎의 출현시기가 빠르고 지하부 생장이 좋은 신갈나무의 초기 생장이 가장 유리함을 나타내었다. 반면, 기후변화처리환경에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장이 가장 낮은 갈참나무는 다른 참나무에 비하여 생육이 불리하였다. 또한 상수리나무는 지구온난화 환경에 따른 초기 생장의 차이가 적어 가장 영향이 적은 나무로 판단된다.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그람음성막대균으로부터 카바페넴 내성 유전자 검출 (Detection of the Carbapenem Resistance Gene in Gram-negative Rod Bacteria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양병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79-191
    • /
    • 2022
  • 본 연구는 공중보건에 위협이 되고 있는 carbapenemase 유전자형 중 blaKPC, blaNDM, blaIMP, blaVIM, blaOXA-48-like 유전자의 표현형적 검사 및 분자진단으로 검출하고 관련 유전자 분포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표현형적 검사결과 MHT는 41균주 모두에서 양성을 확인하고, CIT는 meropenem+PBA는 18균주 및 meropenem+EDTA에서 8균주의 양성을 확인하였다. PCR 결과 blaKPC 28균주, blaNDM 25균주, blaIMP 5균주, blaVIM 1균주, blaOXA-48-like 13균주에서 증폭 산물을 확인하였다. 또한 blaKPC+blaNDM 7균주, blaKPC+blaIMP 1균주, blaNDM+blaOXA-48-like 1균주, blaNDM+blaVIM 1균주, blaKPC+blaNDM+blaIMP 4균주, blaKPC+blaNDM+blaOXA-48-like 4균주를 확인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융해 곡선 분석결과는 PCR 결과와 100%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real-time PCR을 이용한 신속하고 특이성이 높은 CRE 조기진단을 통한 유전자 확인은 제한된 치료 옵션과 높은 사망률로 공중 보건 위협을 고조하는 CRE의 감시, 진단 및 치료를 개선할 수 있으며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항균 치료 및 시기적절한 감염 통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갈근 추출물의 스트레스성 백모 형성 억제 효과 (Anti-Graying Effect of Pueraria Lobata Root Extract on Stress-Induced Hair Graying)

  • 홍민정;박병철;홍용덕;김수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7-293
    • /
    • 2022
  • 흰머리는 대표적인 노화의 징후이자 피부, 모발 노화의 특징이다. 내인성 노화, 스트레스, 외부 환경으로 인해 백모가 발생하는데, 조기 백모 발생에는 스트레스가 주요한 요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과거 우리는 갈근 추출물이 멜라닌 형성 촉진을 통해 백모를 케어를 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으며, 이에 갈근 추출물이 스트레스에 의한 백모 형성 또한 예방 할 수 있을지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멜라닌 생성 주요 전사인자인 MITF 발현을 확인 할 수 있는 세포주를 구축하였다. 스트레스 호르몬 cortisol과 산화 스트레스 유발 인자 H2O2를 처리할 경우 MITF 발현이 감소하고, 인체 모낭 조직에서 멜라닌 색소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여기에 갈근 추출물을 함께 처리할 경우 MITF 발현과 모낭 내 멜라닌 색소 량이 다시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낭 내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TRP-2의 발현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갈근 추출물은 스트레스 호르몬과 산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멜라닌 합성 저해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