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screening test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6초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수검자용 한국판 건강정보이해력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ssessment of Health Literacy in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 신혜숙;지은림;한혜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769-781
    • /
    • 2021
  • Purpose: Health literacy i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health and health behaviors such as cancer screening. Despite its significance, there are limited instruments available to assess health literacy targeting Kore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translation of a validated health literacy instrument in cancer screening-Korean version of assessment of health literacy in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K-AHL-C). Methods: A total of 555 women aged 20~65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study. Of 52 items addressing five domains included in the original version, we focused on 36 items addressing three key domains closely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familiarity, health navigation, and comprehension. Results: During content validation, two items from the health navigation domain were removed, yielding 34 items. Using Rasch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found the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of K-AHL-C. The Korean version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easures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scale, cancer prevention behavior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uggesting convergent validities respectively. Finally, K-AHL-C had acceptable reliability coefficients (α) ranging from 0.71 to 0.92 for each domain and the total scale. Conclusion: These psychometric properties support the K-AHL-C i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Koreans' health literacy in cancer screening. Also it is expected to use the instrument to detect breast and cervical cancer early and improve the screening rate,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women's health and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e.

우리나라의 학교소변검사 프로그램 (School Urine Screening Program in Korea)

  • 박용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8권2호
    • /
    • pp.57-63
    • /
    • 2014
  • 소아들의 여러 신장 질환 특히 만성신장병은 초기에는 뚜렷한 증세나 징후를 나타내지 않고 단독 단백뇨 또는 현미경적 혈뇨로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신장 질환을 발견하기 위하여 소변검사는 여러 장단점에도 불구하고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검사로서 선별검사에 이용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장 질환의 조기 발견을 위한 학교 집단소변검사가 1998년에 개정된 학교신체검사규칙에 근거하여 전체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그 이후에 많은 연구와 보고들이 학교 집단소변검사가 만성신질환의 조기 발견에 유용할 것이라고 하였지만 아직도 여기에 대한 이견이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 효과 등에 대하여서도 충분한 의견 일치를 얻지 못하였기에 코호트 연구 등의 장기적인 관찰적 역학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서는 신장학자들의 지속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제도 개선 및 개발들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초음파를 이용한 임신초기 태아의 두개내투명대 표준치 제시 (Design of Standard Value Intracranial Translucency of Fetus in Early Pregnancy Using Ultrasound)

  • 양성희;김창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31-137
    • /
    • 2021
  • 본 연구는 임신초기 초음파 선별검사에서 태아의 후뇌 정중면을 이용하여 태아의 두개내투명대 기준 값을 제시하고 임상적인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2018년 8월부터 2020년 2월까지 I 병원 정기검진을 받는 산모들 중 머리엉덩길이 40.6 mm에서 78.3 mm에 해당되는 단태아 1529명의 두개내투명대를 측정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에서 머리엉덩길이가 증가할수록 두개내투명대는 54.3%의 설명력을 보이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또한 빈도분석을 통해 임신주수별 두개내투명대의 백분위수 기준치를 산출하였다. 결과적으로 태아 두개내투명대의 한국인 기준치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임신초기 태아 후뇌의 평가에 있어서 척추이분증의 보조적 선별검사로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

지역사회 여성암 검진 네비게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Navigator Education Program for Cancer Screening on Women in the Community)

  • 이보영;조희숙;이혜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2호
    • /
    • pp.214-222
    • /
    • 2009
  • 이 연구는 중장년층 여성의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검진을 위한 지식, 인지된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디자인된 암 검진네비게이터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암 검진 네비게이터는 건강에 대한 조언을 해주는 이웃으로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암 검진에 관한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연구 대상자는 12시간의 교육을 받은 40-69세의 여성 33명과 대조군 30명이며, 자료 분석은 SPSS 14.0을 이용하여 기술 분석과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교육내용은 암 조기검진을 통한 조기치료 성공사례,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 조기검진의 이점, 암 검진을 위한 보건의료 서비스, 암 조기검진 지도자의 역할, 의사소통 기술, 변화단계 이론 및 역할극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암 검진 네비게이터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암수검률을 향상시키고자 하였고, 지역사회 주민의 암에 관한 지식과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는 지역사회 주민의 암 조기검진 수검률 향상을 위해 암 검진 네비게이터를 지속적으로 육성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에 대한 조기검진 수검률이 낮은 것은 암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고 암 발생의 심각성, 암 검진의 편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므로 더 많은 홍보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암 검진 네비게이터의 지속적인 활동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암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를 위해서는 암 검진 수검률을 향상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암검진 네비게이터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확대와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는 바이다. 첫째, 본 연구 결과를 타 지역사회에 적용해 보는 반복 연구와, 둘째, 지역적, 문화적 특성 및 암종별 특성을 고려한 교육으로 암 검진 네비게이터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한 연구를 제언한다.

벤지딘 염료공장 노동자들의 혈뇨 (Hematuria among Benzidine Dye Industry Workers)

  • 손미아;백도명;최정근;박수경;박정순;오세민;박정선;박동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225-243
    • /
    • 1995
  • Benzidine Industry in Korea has started after Japan has banned its production in early 1970's, and it has been in operation in Korea for over 20 years. However, it is not known yet whether any bladder cancer has developed from benzidine exposure. This study was done to screen benzidine-exposed workers for bladder cancer, an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employing screening test at the workplace. All the workplaces that manufacture or use benzidine for more than 20 years in Korea have been covered in this study, and they include 2 benzidine manufacturing factories, 5 benzidine using factories, as well as 2 benzidine free factories as an outside control. In total, 516 workers were screened with urine stick test and urine cytology test for the evidence of hematuria and abnormal urothelial cells. Each worker was also asked about risk factors and symptoms of bladder cancer including past medical history, smoking, medication and occupational history Benzidine in the air was measured by personal and area sampling. Out of 516 screened workers, 84(16.3%) workers showed positive hematuria in urine stick test, and 7(1.4%) workers showed degenerative cells in urine cytology tests. Those workers with abnormal urine test results who have been exposed to benzidine fo more than 10 years were further screened, and, in total, 23 workers were examined with intra-venous pyelography and cystoscopy. None of those screened had any evidence of bladder cancer When workers with only past hematuria history were included in the positive hematuria group, 96(18.5%) had positive hematuria. O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ositive hematuri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nzidine exposure, history of other occupations with elevated bladder cancer risk, pyuria and glycosuria. The association got stronger as direct benzidine exposure was accounted through individual task analysis, and as exposure duration was accounted with tenure analysis. For those with benzidine exposure with more than 10 years of tenure, the odds of having positive hematuria was elevated 2.14(95%C.I is 1.08 to 4.25) times more than for those without exposure. Even though bladder cancer was not detected for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short observation period, majority of studied workers with short latency, healthy worker effect, and low sensitivity of single screening test in a cross-sectional study,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hematuria screening is a feasible and very useful test for bladder cancer screening among benzidine exposed workers.

  • PDF

소아 난청의 조기진단을 위한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에 대한 평가 (Investigation of Automated Neonatal Hearing Screening for Early Detection of Childhood Hearing Impairment)

  • 서정일;유시욱;공승현;황광수;이현정;김중표;최현;이보영;목지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706-710
    • /
    • 2005
  • 목 적 : 출생 후 3세까지는 언어와 청각신경로의 발달의 가장 중요한 시기로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를 통해서 선천성 난청의 조기 진단은 청력 손실로 인한 언어장애를 최소화 하고 언어 발달을 위한 재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정상적인 언어 생활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충분한 통계가 없지만 미국의 경우 정상 신생아의 1,000명당 2-7명이 선천성 영구적 난청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2세 이전에 난청이 발견되어 치료하지 않는다면 언어발달의 중요한 시기를 놓치게 되어 행동장애나 학습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 연구는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를 통해 신생아 난청의 빈도를 파악하여 신생아 청력검사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방 법 : 2003년 5월 20일부터 2004년 5월 19일까지 좋은문화 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2,755명 중 부모의 동의를 얻은 1,718명을 대상으로 생후 1개월 이내 내간유발반응검사(AABR. ALGO-3)를 이용하여 35 dB의 소리를 주어 시행하였다. 난청의 위험요소가 있는 군과 위험요소가 없는 군으로 구분하였고 1차 청력검사에서 통과된 경우 'pass'군 통과되지 않는 경우 'refer'군으로 하였다. 생후 1개월내 청력검사에서 'pass'되지 않았으면 1개월 뒤에 재검사를 받도록 하였고 재검사에서 'refer'가 나온 경우 난청 클리닉에 의뢰하여 난청을 확진하였다. 결 과 : 총 1,718명 중 'pass'군과 'refer'군 사이의 분만형태 출생체중 재태연령에는 차이가 없었다. 1차 검사에서 'refer'가 나온 경우는 총 45명(2.6%)이었으며 이중 35명이 재검사를 받았으며 10명은 재검사를 거절하였다. 재검사한 35명 중 6명(17.0%)이 재검사를 통과하지 못하였고 모두 선천성 난청으로 진단되었다. 이는 전체 검사자 1,718명의 0.35%(1,000명당 3.5명) 해당되었다. 'refer'군에서 한 가지 이상 위험요소가 동반되는 경우는 45명 중 10명(22.2%) 'pass'군에서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는 1,673명 중 263명(15.7%)으로, 위험 요소가 있으면서 'refer'가 나온 군이 위험요소가 없으면서 'refer'가 나온 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아기의 난청의 빈도가 1,000명 당 3.5명으로 외국 통계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선천성 대사질환보다 월등히 빈도가 높으며, 태어나는 신생아에서 반드시 신생아 청력선별검사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판 노인불안도구(K-GAI)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Geriatric Anxiety Inventory(K-GAI))

  • 김지윤;박명숙;오두남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5-84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Anxiety Inventory (K-GAI). Methods: Two hundreds and thirty six elderly were participated to test K-GAI. Goldberg's short screening scale for anxiety was tested for criterion validit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analysis was used for measuring sensitivity and specificity. Results: The obtained internal consistency was 0.88.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est and retest results. K-GAI scor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oldberg's short screening scale for anxiety (r=.694, p<.001). We found that a score of seven and greater was optimal for a criterion of anxiety among elderly Koreans. At this cut point, sensitivity was 78.9% and specificity was 73.1%. Conclusion: The K-GAI displayed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This tool would be useful for early detection of anxiety among elderly Koreans with various situations including cognitive disorder, low education, or physical disability.

Stool-based MicroRNA for Early Diagnosis of Colorectal Cancer

  • Ji Hye Choi;Young-Seok Cho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95-99
    • /
    • 2013
  • MicroRNA (miRNA) dysregulations are associated with various types of human cancers, and miRNAs can function as tumor suppressors and oncogenes. Emerging evidence has shown that miRNA pathway is also altered during colorectal tumorigenesis. The detection of cancer-related miRNAs in stool samples may become useful diagnostic marker for colorectal cancer, because miRNAs in stool samples has high stability, and maintains a high portion of its original level.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stool-based miRNAs can offer mor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an currently used stool-based screening methods for CRC. In addition, unlike fecal occult blood test, sampling on consecutive dates and special dietary restrictions are not required. In this review, the authors discuss stool-based miRNA for the early diagnosis of CRC and perspectives on future application.

  • PDF

Random Forests 기법을 이용한 백내장 예측모형 -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 수검자료에서 - (A Prediction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Cataract Using Random Forests)

  • 한은정;송기준;김동건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4호
    • /
    • pp.771-780
    • /
    • 2009
  • 백내장 질환은 노령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사회, 경제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질병으로 조기 진단이 이루어진다면 발병률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질병이다. 본 연구에서는 백내장을 조기 진단하기 위한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자 1994년부터 2001년까지 연세대학병원에서 2회 이상 건강검진을 받고 의사진단을 통해 백내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30세 이상 남 녀 3,237명에 대한 건강검진 수검 자료를 활용하여 백내장 발생 위험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개발에는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Random Forests를 사용하였고, 기존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판별분석, 의사결정나무 모형(Decision tree), 나이브베이즈(Naive Bayes), 앙상블 모형인 배깅(Bagging)과 아킹(Arcing)을 이용하여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Random Forests를 통해 개발한 백내장 발생 예측모형은 정확도가 67.16%, 민감도가 72.28%였고, 주요 영향요인은 연령, 혈당, 백혈구수치(WBC), 혈소판수치(platelet), 중성지질(triglyceride), BMI였다. 이 결과는 의사의 안과검진 정보 없이 건강검진 수검 자료만으로 백내장 질환 유 무에 관한 정보를 70% 정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백내장의 조기 진단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인식에 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cogni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mong Infants and Toddlers by Childcare Teachers : With a Focus on Focus Group Interviews)

  • 이경숙;박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1-238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indicators and factors for identification of ASD(Autism Spectrum Disorder)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early screening of children with ASD by day care teacher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teachers by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authors. The findings are: 1) key problems and indicator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SD included problems with soci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restricted and unusual interests, outstanding ability in specific areas, insistence on sameness and ritualized patterns, problems with language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sensory abnormalities; 2) counseling with parents of children with ASD revealed a lack of recognition of parents, negative expressions of emotions and resistance, and difficulties in referral to and association with experts; 3) needs for ASD in the child care field included visiting by experts, provision of test scales, training of child care teachers and parents, and building cooperative systems; and 4) demands of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a Korean-style scale for early screening of children with A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