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proterozoic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옥천대(沃川帶)에서의 화성활동(火成活動) -특(特)히 옥천대동북부(沃川帶東北部)에서의 화성활동(火成活動)- (Igneous Activity in Ogcheon Geosynclinal Zone,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Igneous Activity in its Northeastern Part-)

  • 이대성;김용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1호
    • /
    • pp.23-39
    • /
    • 1985
  • The northeastern part of Ogcheon zone which consisted mainly of Cambro-Ordovician arenaceous, argillaceous and calcareous formations and Carboni-Triassic arenaceous and argillaceous formations is delineated as the eastern mass of a thrust fault along Choongju-Moongyong-Cheongsan in the middle of the zone.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geotectonic line, Imgye-Samchog fault(see, figure 1) which divides the northeastern part into two blocks, Hambacksan block in the west and East coast block in the east. The igneous rocks in the Hambacksan block ranging from granite to gabbro are distributed in a symmetrical zones parallel to general direction of Ogcheon zone as follows (Fig. 2 and Table 2). Southeast igneous rock zone: it aligns Jurassic granites in its south and Precambrian leucocratic granites in its north. Central igneous rock zone: it aligns Cretaceous granites in its south and Jurassic granites, and some of diorite and gabbro in its north. Northwest igneous rock zone: aligns Jurassic granites in its south and huge batholithic granodiorite in its north. The distribution of the igneous rocks in the East coast block shows an entirely different features from those of Hanbacksan block. In the southern part of the block they assemble in a narrow area ranging in age from Early Proterozoic, through Middle to Late Proterozoic, Devonian, Jurassic, Cretaceous to Tertiary, whereas, the igneous rock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lock gathered to a restricted area, in ages of Middle Proterozoic and Cretaceous. The assemblage of the igneous rocks in the studied area shows a compositionally restricted, mixed S-type and I-type granites, $^{87}Sr/^{86}Sr$ > 0.706, rare volcanics and shortening with upright folding. These lithologic and structural features suggest that the igneous activity in this part related intimately to Hercynotype Orogeny of Pitcher(1979). Chronological episodes of igneous activity from Early Proterozoic to Early Tertiary in the northeastern part are figured.

  • PDF

내몽고 다큉샨내의 초기원생대 모이아이트계열 : 특성과 지구조, 마그마 그리고 열역학적 모델 (Early Proterozoic Moyitic Series in Daqingshan, Inner Mongolia : Their Characteristics and Tectonis, Magmatic and Thermodynamic Model)

  • Lin CAO;Wei JIN
    • 암석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7-85
    • /
    • 1997
  • 내몽고 다큉산일대에는 초기원생대의 선캠브리아대 고변성암대가 존재한다. 이들은 대규모 연성 변형대로 북쪽으로 급경사진 엽리와 $340^{circ}-30^{\circ}<45^{circ}-50^{\circ}$ 방향의 선구조가 보이는 나페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섭업/팽창동안 북쪽지역이 남쪽지역 위로 드러스트에 의해 올라갔음을 지시한다. 남쪽의 침강된 지역은 전 진 변성의 특정을 보여준다. 북쪽의 드러스트 된 지역은 압력 감소와 온도 상승에 따른 후퇴 변성의 증거들 이 나타난다. 초기원생대 모이아이트질 암상은 소저반상을 이루는 흑운모 아다멜라이트, 섬장화강암과 맥상 의 알카리-장석 화강암으로 구성되어있다. 혹운모 아다멜라이트는 시생대와 초기원생대의 암석과 정이적인 접촉을 보이며, 변성암의 포유울을 다량 함유하여 아나택시스기원을 지시한다. 모이아이트질 암석의 지화학 적 특성은 전형적인 아나텍시스기원을 보인다. 초기원생대의 중기에서 후기에 대륙-대륙 충돌은 대규모 드 러스트와 시생대 기저암의 인편상 작용(imbrication)을 일으켰다. 광물조합과 Paria et a1.(1988)의 지온지 압계를 이용하여 P-T 환경은 다음과 같다: 상부블록; $700-710^{\circ}C$, 0.72-0.78 GPa(초기상태)와 $600^{\circ}C$, 0.44 G GPa(후기상태), 하부블럭: $620-840^{\circ}C$, 0.64-0.45 GPa(최대변성작용), $620-630^{\circ}C$, 0.35 GPa(후기상태). 이 결과는 시계방향의 압력-온도-시간경로를 지시한다(Jin et ai., 1991, 1994). 횡압력하의 섭입시 깊야-온도모델과 Wyllie et ai.(1983)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섭입대-연성대 내에서 발생하는 변성작용과 아나텍시스 작용에 대한 지구조-마그마-열역학적모댈은 제시하였다.

  • PDF

옥천 각섬암의 Sm-Nd 동위원소연구 : 예비보고서 (Sm-Nd Isotopic Study of the Ogcheon Amphibolite, Korea: Priliminary Report)

  • 권성택;남정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3호
    • /
    • pp.277-285
    • /
    • 1991
  • We applied Sm-Nd isotopic system to so-called amphibolites occurring within the Ogcheon group to provide constraints on the age of the metasedimentary rocks and to characterize tectonic environment of basaltic magmatism. An internal mineral isochron age of $677{\pm}91Ma({\sigma})$ was obtained from a coarse-grained, intrusive, amphibolite near Mungyeong.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on the age of the Ogcheon group, we interpret that the isochron represents either early metamorphic or emplacement age. The depositional age of the metasedimentary rocks intruded by the amphibolite would be prior to late Proterozoic. The present study and Cambro-Ordovician fossil evidences of previous workers suggest that both Precambrian and Phanerozoic rocks are present in the Ogcheon group. Positive ${\varepsilon}$ Nd values(+2.4 to +3.5) of four whole rocks indicate mantle origin for the amphibolite. These isotopic data, along with published immobile trace element data of Cluzel et al.(1989), strongly suggest that parental rocks of the amphibolite formed in an intraplate environment rather than in island arc or midocean ridge. The age and tectonic environment of amphibolites in the Ogcheon belt suggest that the basaltic magmatism may be related to the late Proterozoic break-up of a presumed supercontinent, but not to the Triassic(?) coll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China continents.

  • PDF

The Jinsan Gold Mine, Korea : A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y

  • Youn, Jeong-Su;Lee, Kyeong-Yong;So, Chil-sup;Koh, Yong-Kwon
    • 자원환경지질
    • /
    • 제21권1호
    • /
    • pp.17-27
    • /
    • 1988
  • The Cretaceous Jinsan gold-bearing hydrothermal veins occur within the Late Proterozoic to Mid Ordovician metasedimentary rocks, intruded by Early Cretaceous pink-feldspar granite($142{\pm}2.0m.y.$). Electrum-galena-sphalerite mineralization was deposited in three stages of quartz and calcite veins. Quartz sulfide-bearing stage I and II evolved from initial high temperatures (near $360^{\circ}C$)to later lower temperatures(near $220^{\circ}C$)from lower salinity fluids(1.0 to 3.2 wt.% NaCl eq.). Fluid inclusion data from the post ore carbonate stage reflects much cooler($110^{\circ}$ to $180^{\circ}C$). Evidence of boiling indicates pressure of<85 bars, corresponding to depths of 400m to 1050m assuming lithostatic and hydrostatic loads. Au-deposition was likely a result of boiling, coupled with declining temperatures. The ${\delta}^{34}S$ $H_2S$ values calculated for sulfides are consistent with an igneous source of sulfur with a ${\delta}^{34}S_{{\Sigma}S}$ value near 4.0‰.

  • PDF

옥천지향사대(沃川地向斜帶) 동남대(東南帶)에서의 화성활동(火成活動)(I): 남원(南原)-거창(居昌)-상주(尙州)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The study on the Igneous Activity in the Southeastern Zone of the Ogcheon Geosynclinal Belt, Korea(I) with the Igneous Activity in Namweon-Geochang-Sangju Area)

  • 김용준;박영석;주승환;오민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22권4호
    • /
    • pp.355-370
    • /
    • 1989
  • Igneous rocks of study area consist of Pre-Cambrian orthogneiss, Devonian granite, Triassic foliated granites and Jurassic granites distributed along the southeast margin of Ogcheon Geosynclinal belt(SE-zone), and irregular shaped granitic stocks in the central part of the belt(C-zone). Anorthosite and gaabbro are also present in southern part of the SE-zone in the belt and intruded into gneiss complex of Ryongnam massif. Distribuition of foliated granites shows three linear arrangements which are composed of hornblende-biotite foliated granodiorite, porphyritic foliated granodiorite, biotite foliated granodiorite, leuco foliated granite and two mica foliated granite. Foliated granites generated by dextral strike slip movement at deep level. Jurassic granites composed of several rock facies are considered to be formed by differentiation of magma during Daebo Orogeny. A general trend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se igneous rocks in study area suggests that most of them corresponding to calc-alkaline rock series was affected under orogeny and I-type granite except for two mica foliated granite. In chondrite normalised REE pattern of these igneous rocks, LREE shows more variable range and strong (-)Eu anomaly than HREE. Geochronological episodes of igneous activity from early Proterozoic to Cretaceous in SE-zone of Ogcheon Geosynclinal belt are two more Pre-Cambrian Orogeny, Devonian Orogeny(Variscan), Songrim Disturbance, Daebo Orogeny and Bulkuksa Disturbance.

  • PDF

함백익지(咸白益地) 기반지역(基盤地域)에 분포(分布)하는 선(先)캠브리아 화강암질암류(花崗岩質岩類)의 암석화학적(岩石化學的) 연구(硏究) (Petrochemical Study on the Precambrian Granitic Rocks in the Basement Area of Hambaeg Basin)

  • 윤현수;이대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19권1호
    • /
    • pp.35-55
    • /
    • 1986
  • The area of this study is located in the Sang dong district, Youngwol Gun, Kangwon Do, where the Ogcheon fold bel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yongnam massif. The area is covered by the Precambrian metasedimentary rocks of Yulri Group in the south from the line of Ungyosan-Maebongsan-Jansan-Taebaegsan Mountains and by the Cambro-Ordovician sedimentary rocks of Choseon Supergroup in the north. The Choseon Supergroup unconformably overlies the Yulri group. Several granitic intrusives occur in the Precambrian and Cambro-Ordovician terr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geochronology, mineralogical compositio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petrogenesis and tectonic settings of the Precambrian granitic rocks, and to evaluate the P.T. conditions of granitic intrusions. The K/Ar ages obtained from the muscovite of Nonggeori Granite, Naedeogri granite and pegmatite intruded into the Yulri Group are Early Proterozoic ($1805{\pm}18Ma$ to $1642{\pm}23Ma$), and those from the migmatitic pegmatite are Late Carboniferous ($305{\pm}4Ma$), respectively. The Precambrian granitic rocks a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muscovite, tourmaline and grey feldspar with faint lineation of mafic minerals. In terms of mineralog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the granitic rocks are felsic, calc-alkalic, peraluminous and S-type (ilmenite-series).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and trace elements indicate that the granitic rocks belong to syn-collision setting at the compressional plate margin. They were formed by progressive melting of relatively homogeneous crustal materials under 1~3kb and $670^{\circ}{\sim}720^{\circ}C$ in aqueous fluid conditions, and the Naedeogri granite was more fractionated than the Nonggeori granite. During the Taebaeg disturbance, Nonggeori granite, Naedeogri granite and pegmatite were intruded and emplaced into the Yulri Group. Migmatitic pegmatite occurring in the southwestern area, however, gave much younger muscovite age than the pegmatite intruded into the Yulri Group in rest of the area did, that might be due to the regional metamorphism of the Post-Choseon disturbance. The Geodo granitic mass and the Imog granite were intruded during the Bulgugsa disturbance.

  • PDF

북한 압동 니오븀-탄탈륨(Nb-Ta) 광산의 지질 및 광상 (Geology and Ore Deposit of the Apdong Nb-Ta Mine, North Korea)

  • 이재호;김유동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6호
    • /
    • pp.407-413
    • /
    • 2003
  • 알칼리 교대암내에 배태되는 압동 Nb-Ta 광상의 지질은 상부원생대의 퇴적암류와 이를 관입분포하는 고생대 후기에서 중생대 초기의 평강암군에 속하는 호암산 관입암체(알칼리 섬장암류), 쥬라기의 흑운모화강암 및 제4기의 현무암으로 구성된다. 알칼리 섬장암류는 각섬석-휘석 섬장암, 각섬석-흑운모 섬장암, 흑운-하석 섬장암, 흑운모 섬장암 및 석영-각섬석-휘석 섬장암 등을 포함한다. 후기 마그마 단계에서 수반되는 알칼리 교대작용에 의해 형성된 알칼리 교대암은 호암산 관입암체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띠모양이나 불규칙한 맥상 및 렌즈상으로 Nb-Ta 광체를 이루고 있다. 산출되는 광석광물은 파이로크롤과 저어콘을 비롯하여 극소량의 콜럼바이트, 퍼규소나이트, 자철석, 형석, 휘수 연석, 티탄철석, 티타나이트, 인회석 및 모나자이트 등 이다. Nb, Ta, 희토류 및 방사성 원소(Th, U)를 함유하는 파이로크롤은 (1) 부화된 Ta, U 및 Ce, (2) 낮은 함량의 Ta 및 F (3) Th 또는 Ba의 부화 등으로 특징된다. 지화학적 특징과 광석의 구조 및 광물의 산출 특성으로 미루어 광화작용이 알칼리성 광화유체의 교대작용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다.

3차원 속도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북한지역의 지각구조 연구 (Study of Crustal Structure in North Korea Using 3D Velocity Tomography)

  • So Gu Kim;Jong Woo Shin
    • 지질공학
    • /
    • 제13권3호
    • /
    • pp.293-308
    • /
    • 2003
  • 북한 지역 60km 하부 지각구조에 관한 새로운 결과를 토모그래피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한반도와 주변에서 얻어진 1013개의 P파와 S파 주행시간이 사용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 토모그래피 알고리즘에 의해서 모든 지진의 진원이 재결정 된다. 속도구조의 파라미터화는 지진파 밀도에 따라 분포된 Node에 의해서 결정된다. 4개 Level의 120 Node가 각각 P파와 S파의 속도 구조에 적용된다. 연구 결과로 깊이 8Km의 량림 육괴의 깊이에서 P파와 S파 속도 이상변화는 각각 높고 낮게 나타났다. 그 반면에 평남분지의 P파와 S파 속도는 24km 깊이까지 모두 낮게 나타났다 그것은 량림 육괴는 지하수나 온천 등으로 포화 된 단층 및 파쇄대를 많이 갖고 있는 시생대-초기 하부 원생대육괴로 되어 있고, 반면에 평남분지의 평양-사리원 일대는 상부 원생대, 실루리안, 상부 고생대와 하부 중생대 기원의 퇴적층으로 채워진 내부 플렛트 폼 함몰로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백두산 하부 8, 16. 24km 깊이에서 높은 P파와 5파의 속도이상은 고결된 마그마 물체의 천부 도랑일지 모른다. 그러나 38km에서 낮은 P파와 S파 속도이상은 용융상태의 저속도 마그마방과 관련 된 것으로 본다. 우리는 또한 사리원을 포함한 옹진 분지에서 Moho불연속면이 약 55km임을 발견하였다. 백두산의 모호불연속면은 38km가량 된다. 특히 백두산 Moho에서 V/sub p//V/sub s/의 높은 비율은 지각과 맨틀 경계에서 용융물체가 있는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본 연구는 또한 량림육괴 순상지(Shield)의 끝 가장자리인 묘향산 지역 하부 40km에서 매운 높은 P파와 S파 속도 구조를 갖는 물체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단양 천동리 지역 옥천대/영남육괴의접촌관계와 소위 화강암질 편마암의 Pb-Pb 연대 (Nature of contact between the Ogcheon belt and Yeongnam massif and the Pb-Pb age of granitic gneiss in Cheondong-ri, Danyang)

  • 권성택;이진한;박계헌;전은영
    • 암석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4-152
    • /
    • 1995
  • 단양에서 동남동으로 약 6km 떨어진 천동리 지역에는 조선누층군의 최하부층인 장신규암과 영남육괴의 선캠브리아기로 추측되어온 엽리상 화강암(소위 화강암질 편마암)이 직접 접하고 있다. 이들의 관계는 전통적으로 장산규암이 엽리상 화강암을부정합으로 피복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장판 규암의 하부에 관찰되는 소위 기저역암은 주로 규암으로 엽리상 화강암의 역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아 두 암석 단위의 경계를 부정합으로 보기는 힘들다. 반면, 이지연의 최근 구조지질학적 연구는 이 경계가 여성전단운동에 의한 단층접촉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전단대의 전단감각과 운동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우리는 옥동 단층의 일부인 천동리 지역 반취성전단대(semi-brittle shear zone)에서 나타나는 엽리상 패쇄암(foliated cataclasite)과 천매압쇄암(phyllonite)의 중구조 및 미구조 관찰하였는데, 이들은 북서측의 장산규암층이 남동측의 엽리상 화강암에 대해서 북동측으로 이동한 전단감각(top-to-the-northeast shearing)을 나타낸다(즉, 우수 주향이동), 전단운동의 시기를 제한하는 한 방법으로, 전통적으로 선캠브리아기루 추정되나 그 관입시기가 확인되지 않는 엽리상 화강암에 대하여 Pb-Pb 연대측정을 시도하였다. 즉, 구조운동을 받은 화강암체의 관입시기는 구조운동 시기으 l상한을 지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엽리상 화강암의 전암 및 장석과 포획암의 전암에 대한 Pb 동위원소 자료는 $^{207}Pb/^{204}Pb-^{206}Pb/^{204}Pb$ 그림에서 $2.16{\pm}0.15$ Ga ($2{\sigma}$;MSWD=4.4)의 연대를 정의한다. 이 연대는 엽리상 화강암의 관입시기로 해석되는데, 보고된 영남육괴의 화성활동 시기와 잘 일치한다. 이 원생대 초기의 관입시기는 전통적인 생각기 옭음을 확인해 주며 전단운동의 시기를 알기위해서는다른 방법이 시도되어야 함을 지시한다.

  • PDF

베트남 짜봉(Trabong) 지역의 열수 금 광화작용 : 광물 및 지화학적 연구 (Hydrothermal Gold mineralization of the trabong district, vietnam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y)

  • 한진경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2호
    • /
    • pp.129-139
    • /
    • 1999
  • 베트남 짜봉 지역의 열수 금광상은 단일 광화 시기의 석영$\pm$방해석 맥으로 산출되며, 원생대의 Chulai Complex와 Kham Duc Formation을 이루는 ga 흑연 편마암 및 편암 내의 단층 열극을 충진하고 있다. 광석의 금 품위는 1.3~92.4g/ton 이다. 광석 광물은 매우 단순하여 주로 황철석 및 미량의 base-metal 황화물과 에렉트럼으로 구성된다. 금은 다음과 같은 두 유형의 공생군에서 산출된다. :1) 함철량이 풍부함 섬아연석+엘렉트럼 공생군으로서 황철석 내의 내포물로 산출되며 초기에 해당;2) 함철량이 낮은 섬아연석+방연석+엘렉트럼 공생군으로서 황철석의 단열을 따라 산출되며 후기에 해당. 유체포유물자료 및 공생광물군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에 의하면, 광화작용은 H\sub 2\O-CO\sub2\(-CH\sub 4\)-NaCl 계 유체로부터 230~42$0^{\circ}C$의 고온에서 진행되었으며 광화 유체의 황 분압은 10\sup -6\-10\sup -10\atm 이었다. 광석 광물의 침전은 주로 CO\sub 2\ 개스의 일탈을 수반한 유체 불혼화에 의해 진행되었다. 광화 유체 중 물의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조성과 황화광물의 황 도위 원소 조성 및 유체포유물 CO\sub 2\ 의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본 연구 지역의 중-고온형 금 광화작용이 마그마성 유체로부터 진행되었음을 지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