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Book metadat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전자책 라이브러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for eBook Library)

  • 하진희;김성혁;임순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6
    • /
    • 2003
  • 전자책 서비스업체는 전자책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도서관은 전자책의 목록정보를 도서관의 목록에 자동으로 다운로드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메타데이터 간의 호환성 및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자책 라이브러리를 위한 메타데이터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책 서비스업체에서 사용하는 메타데이터, KS X 6100 메타데이터, 더블린코어, MARC, TEI Header 등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의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공통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핵심 기술 요소로 정의하고, 그 외 전자책 고유 특성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요소를 상세 및 추가 기술 요소로 정의 하였다.

eBook 메타데이터 비교 및 한국전자책표준의 메타데이터 개발 (A Comparison of Electronic book metadata formats and Development of Electronic Book of Korea Standard metadata)

  • 김경옥;김성혁;임순범;최윤철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CALS/EC KOREA
    • /
    • pp.511-521
    • /
    • 2001
  • This paper is to develop metadata format for eBook document standard at Korea. Metadata formats of OEBF, JepaX and AAP were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criteria such as purpose, basic elements, characteristics, compatibility, extensibility and convertibility. EBKS metadata format based on Dublin Core was developed in terms of easy to use, resources descriptions and discovery, extensibility and compatibility between other metadata formats such as MARC and Dublin Core. Finally, research and revision direction of the eBook document standard were proposed for the future study.

  • PDF

한국전자책문서 표준(EBKS)의 DTD 사양 및 스타일 적용 (Specification of EBKS DTD and Implementation of Style)

  • 손원성;고승규;이경호;김성혁;임순범;최윤철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CALS/EC KOREA
    • /
    • pp.523-532
    • /
    • 2001
  • Despite the social interest in eBook and its advantages, as a result of each industry using different document formats, it is difficult to exchange or share eBook contents. And this hindered the activation of eBook market. The U.S. and Japan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setting a standard for eBook document format and have established eBook standard with government agencies and related industries and in Korea, also, through Working Group for Standardization Committee of EBK, eBook industry standard, EBKS, was established. EBKS provides more advantages than HTML or PDF and the basic format is XML. The objective of EBKS is exact exchange of eBook content, reflection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publication environment, simplicity in creating, and convertibility with other standards. Meanwhile, in the DTD aspect, EBKS includes static document structure, extension mechanism, vertical writing, multi-column editing and reflec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proverbs. For exchanging style, content and style are separated using XSL-FO and XSL-FO is recommended for printing. Also, EBKS metadata is composed of do-metadata that does not use qualifier and x-metadata for extension to provide easiness in usage and ability to exchange and convert.

  • PDF

국내 디지털 도서관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Digital Library Research Trends in Korea)

  • 강보라;김희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디지털 도서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 학술지 4종으로부터 최근 10년(2007년-2016년) 동안 발표된 디지털 도서관 관련 논문 272편을 대상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가 직접 부여한 영문키워드 578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etMiner V.4를 사용하여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 주제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E Book' 순으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 주제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의 확장성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Librarian'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원본 추적 모델 기반의 오픈 리소스를 지원하는 강의 교재 저작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Implement of E-textbook Authoring System Supporting Open Resource based on Original Contents Tracing Model)

  • 최자령;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50-658
    • /
    • 2016
  • This study proposes web-based authoring system for the lecturers who published textbooks by inserting external open resource. When lecturer publishes textbooks, the system makes it easier to utilize external resources by providing an open resource pool that the lecturer can search not only his own resources but external resources. In addition, we designed an open resource pool based on Original Contents Tracing Model to check whether the scrapped resource is changed or not in the future. Open Resource Pool allows inserting text, images and videos by searching multimedia, and stores metadata for the follow-up management. We made the system to determine the change of the resource using the metadata stored in the tracking system. Through this research, we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publish textbooks by utilizing a variety of open resources on the web and revise the book by tracing the scrapped resources.

한국 전자책 문서표준(EBKS)의 개발 (Development of Electoronic Book of Korea Standard)

  • 손원성;고승규;이경호;김재경;김성혁;임순범;최윤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55-272
    • /
    • 2001
  • 일반적으로 종이 책을 디지털화 한 것이나 디지털화 되어 종이 책의 형식과 비슷하게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전자 책이라고 한다.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과 디지털 정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전자 책은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주목되고 있다. 전자 책은 신속한 정보 전달이 가능할 뿐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고 멀티미디어 정보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 종이 책에 비해 효과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전자 책은 다양한 문서 포맷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그 결과 업체의 중복투자 및 시장 활성화의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선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 전자 책 문서표준(EBKS)를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명확한 논리구조를 정의하였으며, 국내 현실에 적합한 메타데이터, 원문 수준의 출력 결과를 보장하는 XSL-FO를 권고한다. 이러한 EBKS의 제정은 국내 전자 책 업계의 컨텐츠 및 관련기술에 대한 중복투자를 방지하여 전자 책 시장의 활성화에 매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