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extbook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19초

스마트 교육기반 협력 학습에서 디지털 교과서의 잉킹 효과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of Digital Inking in the Collaboration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

  • 손원성;윤민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9-1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 6학년 24명을 대상으로 협력학습에서 디지털 잉킹을 활용하였을 경우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집단은 디지털교과서의 기본 콘텐츠와 디지털 잉킹기법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은 디지털교과서의 기본적인 콘텐츠를 활용하였다. 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디지털 교과서의 디지털 잉킹 기능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향후 스마트교육 및 e-교과서 연구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 PDF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와 현장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principles for the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and th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 권오남;주미경;박정숙;박지현;오혜미;조형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49-26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육에서 스토티텔링의 의미와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를 문헌을 통해 도출하고, 개발된 교과서의 현장적용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는 학생들이 수학을 흥미 있고 의미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한 교과서이다. 교과서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개발 원리로 맥락성의 원리, 과정지향성의 원리, 소통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를 제안하였다. 또한 수학 모델 교과서의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현장적용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과 면담분석을 통해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가 교수 학습 방법에서 의미 있는 시도이며 수학을 흥미 있게 학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함의점을 제안하였다.

중학교 "기술.가정" 2 교과서 의생활영역의 교과 내용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Clothing-Related Contents in Middle School Textbook "Technology.Home Economics" 2 - Based on The Revised 2009 Curriculum -)

  • 이희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37-156
    • /
    • 2014
  • This study focuses on the middle school textbook Technology Home Economics 2, revised in 2009, and aims to analyze the clothing-related contents within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All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a have evolved through a number of changes and repeated revisions from their first versions, and reached their current seventh revised edition in 2009. Over this process, subjects connected to home economics have formed the following structure: Practical Courses in elementary school (5thand6thgrade)an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middle and high school. The curriculum contents of the subjec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re divided into Development and Family, Clothing, Dietary Life, Habitation, Home Management and Consumption. Each curriculum teaches the students about its respective contents, e.g. Clothing brings the students in contact with clothing-related matters. Curricula and education methods help students find their own interests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Their school studies determine what majors they are seeking to choose in college and university. There are diverse university programs in Korea that are related to clothing. The above-mentioned textbook deals with clothing in the chapter Eco-friendly Clothing and Mending Habi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all help the development of the constantly changing textbook curricula, and furthermore become a reference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spire a practical and creative clothing education.

  • PDF

'수학사탐구형' 고등학교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 사례 (Development of the model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 the case of 'Inquiry into History of Mathematics' type)

  • 권오남;박지현;조형미;김미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21-248
    • /
    • 2013
  • 수학사탐구형 스토리텔링 교과서는 수학의 발달 과정에서 드러나는 발견의 논리를 교과서의 구성 원리와 내용 전개에 적용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지식이 만들어져 가는 과정에 학생들이 흥미롭게 접근하도록 하여 수학이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지식이며, 인간의 창의적 사고로 인해 만들어지는 지식임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학습 내용 이면에 숨어있는 수학적 통찰과 논리를 이해할 수 있게 하고 그것을 활용하여 새로운 수학적 지식을 만들어갈 수 있는 맥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학사탐구형으로 개발된 '복소수와 이차방정식'단원의 개발 절차와 사례를 통해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현장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며 앞으로의 스토리텔링 교과서 개발에 있어 함의점을 제공한다.

독립교과로서의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서의 새 모형 모색 (Finding New Model of Computer Textbook as Independent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 김수환;한선관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04-510
    • /
    • 2004
  • 정보 사회의 급속적인 발달로 인해 컴퓨터 교과가 독자적인 교과로 채택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서는 기능위주의 교과서로 구성되어 있어서 독립교과로서의 컴퓨터 교과서로는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독립교과로서의 컴퓨터 교과서의 새로운 단원 구조를 제시해보고 그 예시안을 제안하며, 컴퓨터 교과서의 형태 측면에서 보조교과서의 형태 방향과 e-textbook의 형태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직선 활용과 문제점 (The utilization and problems of number line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 홍진곤;김양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353-37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수 개념 학습과 관련하여 수직선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현재 교과서의 수직선 활용과 관련된 문제점을 자연수와 유리수(분수, 소수)의 개념 학습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수직선의 도입 시기, 도입 내용, 활용 방법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수직선 활용 방안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수학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 2006년부터 2011년에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11 in Domestic Journals -)

  • 방정숙;황현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3호
    • /
    • pp.247-26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xtbook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extbook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90 out of 1121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11 in seven prestigious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The papers dealing with only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by school levels (i.e., elementary or secondary), mathematics content areas, analytic methods, and implications. The papers comparing our mathematics textbooks with foreign counterparts were analyzed by reasons for the comparison, school levels, subjects for analysis, and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urge us to pay more attention to secondary mathematics textbooks, least studied content areas, and various but inconsistent analytic methods. This paper also suggests close connections between textbook analysis and textbook development.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화학II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Chemistry II Textbook by Using 3-Dimensional Analysis Framework)

  • 이석희;김용권;문성배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91-400
    • /
    • 2003
  • 본 연구는 제6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탐구활동을 탐구내용, 탐구과정, 탐구상황의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하여 화학II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탐구활동의 탐구내용을 보면, 각 교과서마다 탐구활동이 관찰, 실험, 측정, 토의, 자료해석, 기본조작 등의 다양한 용어로 분류되어 있으며, 교과서마다 분류 기준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각 교과서의 탐구내용에 수록된 탐구활동의 수는, 7개 교과서 모두 25개에서 35개 정도로 수록되어 있었다. 각 교과서의 탐구내용에 있는 탐구활동의 평균수는 각 단원에서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30${\%}$로 분포되어 있었다. 또한 탐구과정 영역은 평균적으로 ''관찰 및 측정''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자료해석 및 일반화'', ''문제발견 및 해결방안'', ''이론모델셩성, 검증 및 수정''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탐구상황 영역은 과학적 상황요소가 90.5%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외에 개인적 상황요소, 사회적 상황요소, 기술적 상황요소가 약 5%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볼 때, STS(과학-기술-사회)의 상호관련성을 강조한 내용이 아직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 for Decision-Making based on Storytelling)

  • 주미경;박정숙;오혜미;김영기;박윤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05-220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유형 중 의사결정형에 초점을 맞추어 의사결정과 스토리텔링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개발한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의 개발 원리 및 개발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사결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의사결정의 의미를 정립하고 의사결정에 관련된 주요 단계를 정리하여 스토리텔링이 학생의 의사결정 역량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수단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로 '맥락성의 원리', '과정지향성의 원리', '소통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내용 전개를 위한 틀에 해당하는 (1) 문제 제기 (2) 수학적 개념 탐구 (3) 문제해결 (4) 판단과 정당화 그리고 (5) 성찰의 다섯 단계로 이루어졌다. 이들 개발 원리와 의사결정 단계가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에 적용된 사례를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예시를 통해 서술하였으며 제시하면서 향후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수학 교과서의 개발 가능성 및 방향에 대하여 탐색할 것이다.

Empirical Analysis of Learning Effectiveness in u-Learning Environment with Digital Textbook

  • Lee, Bong-Gyou;Kim, Seong-Jin;Park, Keon-Chul;Kim, Su-Jin;Jeong, Eui-Su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3호
    • /
    • pp.869-88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nnovative approaches for u-Learning environment in public education with Digital Textbook.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making efforts to introduce the u-Learning environment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in public education with Digital Textbook.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that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u-Learning environment and Digital Textbook.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u-Learning environment in Korea and analyzes the satisfaction level with Digital Textbooks. The first survey regarding technological factors was collected from 197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has declined over a year. The weakness of the study is that the sample frame is insufficient and survey questions did not reflect diverse factors of learning effectiveness. To supplement these shortcomings, 2,226 students were asked about learn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Digital Textbook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paper textbooks. However, this paper is limited to u-Learning environments in public education. Therefore, research needs to be improved by reflecting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of education in following studies. This paper suggests useful guidelines to educators in improving their u-Learning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