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dicine

검색결과 9,068건 처리시간 0.044초

소아청소년 체중상태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 및 비만과의 연관성 분석 (Assessment of Diet Quality by Weight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양시원;이향숙;김지은;김윤명;서영균;박경희;장한별;이혜자;박상익;임현정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3호
    • /
    • pp.263-273
    • /
    • 2017
  •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quantifying dietary intake according to the weight statu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owever, studies on differences in quality among diets remain scarce. This study compared diet quality by weight status and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diet and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wo hundred fourteen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between 9 and 18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Normal weight n=104, Obesity n=110). The data related to food intake were investigated by dietary records,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and Nutrition Quotient (NQ) and then compared with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KDRIs). In DQI-I, moderation factor (control of unhealthy foods) score was 21.7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19.5 in the obesity group. The normal weight group showed a higher score for moderation factor than the obesity group (P<0.001). Compared with KDRIs, vitamin $B_6$, folate, vitamin C, vitamin E, calcium, potassium, and zinc intakes were insufficient in both group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QI-I moder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obesity (OR=0.77, 95% CI 0.69-0.87) after adjustment for age, gender, income, and total energy intake. Our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require nutritional education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vitamin and mineral consumption. Especially,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besity needs to emphasize moderation of nutrient intake that can cause diseases with hyper-ingestion such as sodium and high calorie-low nutrition foods.

The Effects of Coordinated Upper-limb Postures of Back, Shoulder, and Elbow Flexion Angles on the Subjective Discomfort Rating, Heart Rate, and Muscle Activities

  • Kong, Yong-Ku;Lee, Soo-Jin;Lee, Kyung-Suk;Seo, Min-Tae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95-703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rdinated upper-limb body postures on the subjective discomfort rating, heart rate, and muscle activities. Background: Although generally many checklists such as OWAS, RULA, and REBA were applied to evaluate various body postures, the body postures were might b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because each body part(i.e., back, shoulder, and elbow etc.) was evaluated separately, and then added all rates of individual body parts to assess an overall risk level for the body posture in these methodologies. Methods: A total of 20 participants maintained 14 postures which were combinations of back, shoulder, and elbow flexion angles and then muscle activities, subjective discomfort, and heart rates were collected every three minute during a sustained 15 minute and 0.5kg weight holding task. Four muscle groups were investigated: erector spine, anterior deltoid, upper trapezius, triceps brachii. Results: Results showed that subjective discomfort was the lowest when the angle of back and shoulder were both $0^{\circ}s$, while the body posture with $45^{\circ}$ of back angle and $45^{\circ}$ shoulder angle was rated as the most subjective discomfort posture. In general, the subjective discomfort ratings increased as back and shoulder flexion angles increased. It was noted that, however, the subjective discomfort of body posture with a $45^{\circ}$ back angle and $45^{\circ}$ shoulder flexion angle was lower than that of body posture with a $0^{\circ}$ back and $45^{\circ}$ shoulder flexion angle. The research findings of heart rates and muscle activities showed similar results for the analyses of subjective discomfort ratings. Conclusions: The possible limitations of the current ergonomics evaluation techniques which assessing a body posture with summing all body part score after individually analyz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es of subjective discomfort, heart rate, and muscle activities, it was recommended that a use of effects of coordinated upper-limb body postures would be considered when one evaluates work-load for various working postures. Application: These findings can be used for developing a more accurate assessment checklist for working posture as well as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workers in workplaces.

호르텐스극구흡충을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흰쥐에서 IgG/IgM 항체가 변화 (Detection of Serum IgG and IgM Antibody in Ra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Echinostoma hortense)

  • Ji-Sook Lee;Yong-Suk Ryang;Kyu-Jae Lee;Jang-Keun Ryu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7-153
    • /
    • 1999
  • 본 연구는 흰쥐에 호르텐스극구흡충 피낭유충을 흰쥐에게 실험적으로 감염시켜 감염기간에 따른 항체 생산 유무를 규명하였다. 감염 흰쥐의 혈청을 기간별로 채취하여 IgG및 IgM 항체가를 ELISA 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또한 이의 진단적 이용가치를 평가하고 이들에 대한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기간별 특이 IgG 항체가는 0.13$\pm$0.014 (mean$\pm$S.D.)에서 0.4803$\pm$0.073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 감염 제 28일에 최고치 (0.4803$\pm$0.073)를 보였다 (p<0.05). 호르텐스극구흡충에 감염된 백서를 통해 매주 얻은 특이 IgM 항체가는 0.16$\pm$0.034 (mean$\pm$S.D.)에서 0.4093$\pm$0.084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 감염 제 7일에 증가하여 감염 제 14일에 최고치 (0.4093$\pm$0.084)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호르텐스극구흡충 감염시 흰쥐 혈청의 IgM은 감염 초기에 급속한 증가를 보였으나 IgG는 감염 이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인체각질형성세포에서 Fructose 1,6-diphosphate의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Cyclooxygenase-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억제기전 (Fructose 1.6-diphosphate Prevents Cyclooxygenase-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Expression by Inhibition of UVB-induced Signaling Cascades in HaCaT Keratinocytes)

  • Soo Mi, Ahn;Ji Hyun, Kim;Byeong Gon, Lee;Soo Hwan, Lee;Ih Seoup, Cha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7-251
    • /
    • 2004
  • 자외선은 피부에 염증반응이나 광노화와 같은 다양한 반응을 야기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해 손상을 받은 피부는 콜라겐의 양이 감소되어 있는데, 이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 내에서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MMP,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왔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피부에서 염증반응이 유발되는데, 이러한 반응은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에 의해 매개되며, 이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해서도 MMP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6개월의 임상실험을 통해 광노화된 피부에서 주름형성억제효능이 뛰어난 FDP(fructose 1.6-diphosphate)의 작용기전을 인체각질형성 세포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인체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프로스타글란딘, COX-2(cyclooxygenase-2), MMPs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며, 이는 FDP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자외선에 의해 인체각질형성세포에서 발생하는 신호전달과정을 억제함으로써 일어나는 효과임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FDP는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 내 신호전달과정을 억제하며, 이로 인해 야기되는 프로스타글란딘, COX-2, MMPs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광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원료로 여겨진다.

Potential Antitumor ${\alpha}$-methylene-${\gamma}$-butyrolactone-bearing nucleic acid bases. 2. synthesis of $5^I-Methyl-5^I$-[2-(5-substituted uracil-1-yl)ethyl]-$2^I-oxo-3^I$-methylenetetrahydrofurans

  • Kim, Jack-C.;Kim, Ji-A;Park, Jin-Il;Kim, Si-Hwan;Kim, Seon-Hee;Choi, Soon-Kyu;Park, Won-W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53-258
    • /
    • 1997
  • Ten, heretofore unreported, $ 5^I-methyl-5^I-[2-(5-substituted uracil-1-yl)ethyl)]-2^I-oxo-3^I$-methylenetetrahydrofurans (H, F, Cl, Br, I, $ CH_3$,$CF_3$,$CH_2CH_3$,$ CH=CH2$, SePh) (7a-j) were synthesized and evaluated against four cell lines (K-562, FM-3A, P-388 and U-937). For the preparation of ${\alpha}$-methylene-${\gamma}$-butyrolactone-linked to 5-substituted uracils (7a-j), the convenient Reformasky type reaction was employed which involves the treatment of ethyl ${\alpha}$-(bromomethyl)acrylate and zinc with the respective 1-(5-substituted uracil-1-yl)-3-butanone (6a-j). The 5-substituted uracil ketones (6a-j) were directly obtained by the respective Michael type reaction of vinyl methyl ketone with the $K_2CO_3$(or NaH)-treated 5-substituted uracils (5a-j) in the presence of acetic acid in the DMF solvent. The .alpha.-methylene-.gamma.-butyrolactone compounds showing the most significant antitumor activity are 7e, 7f, 7h and 7j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ranging from 0.69 to $2.9 {\mu}g/ml$), while 7b, 7g and 7i have shown moderate to significant activity. The compounds 7a, 7c and 7d were found to be inactive. The synthetic intermediate compounds 6a-j were also screened and found marginal to moderate activity where compounds 6b and 6g showed significant activity $(IC_50:0.4~2.8 {\mu}g/ml)$.

  • PDF

인간 무세포성 진피기질 위에 배양한 가토 구강각화상피세포의 중충화와 기저막 형성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STRATIFICATION OF RABBIT ORAL KERATINOCYTES CULTURED ON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 김용덕;안강민;염학렬;정헌종;김성민;장정원;성미애;박희정;황순정;이종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6호
    • /
    • pp.510-522
    • /
    • 2005
  • To assess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bio-artificial mucosa which was made with autologous oral keratinocytes and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the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stratification of oral keratinocytes were evaluated. Six New Zealand white rabbits (around 2kg in weight) were anesthetized and its buccal mucosa was harvested (1.0 $\times$ 0.5cm size). Oral keratinicytes were extracted and cultured primarily with the feeder layer of pretreated NIH J2 3T3 fibroblast. These confluent cells were innoculated on the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and cultured in multiple layer by air-rafting method. After 3, 5, 7, 10, 14 days of culture, each cultured bio-artificial mucosa was investigated the number of epthelial layer of by H&E stain and toluidine blue stain. The immuhohistochemical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the cell division capacity, the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it's property of specific cells (PCNA, cytokeratin 14, laminin). Transmission electromicroscopy was used for the attachment between cells and matrix with the number of hemidesmosome. In result, the numbers of layer of stratified growth of oral keratinocyte cultured on the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and the number of hemidesomal attachment between epithelial cells and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were similar to the layers of normal oral mucosa after 10 days of culture. The cell division rate, basement membrane formation and proliferation rate increased as culture period increased. With these results, bio-artificial mucosa with autologous oral epithelial cells cultured on the acellular dermal matrix had clinically adaptable properties after 10 days' culture and this new bio-artificial mucosa model with relatively short culture time can be expected clinical applicability.

신(新) 감미(甘味) 자원(資源) Stevioside의 안전성(安全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afety of Stevioside as a New Sweetening Source)

  • 이상직;이갑랑;박정융;김광수;채범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24-231
    • /
    • 1979
  • 감미(甘味) 식물(植物) stevia의 추출물(抽出物)(주(主) 감미(甘味) 성분(成分),stevioside)을 흰쥐에 투여함으로써 본 감미 성분의 안전성(安全性)을 검토하였다. 복강내(腹腔內) 주사(注射)로 치사(致死)를 $LD_{50}$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抽出物)로 보아서는 3,400 mg/Kg이고 stevioside로 보면 1,700 mg/Kg이었으며, stevia 추출물의 56일간에 걸친 다량(多量) 구광(口腔) 투여(投與)$(2.5{\sim}5.0\;g/Kg{\cdot}day)$에도 실험 동물의 성장(成長)에 아무 장애(障碍)가 초래되지 않았다. 56일간 구강 투여 후의 전혈(全血) 검사(檢査)(RBC, WBC, Hb 및 Hct), 혈청(血淸) 성분(成分) 분석(分析)(총 단백질, 혈당(血糖), 콜레스테롤 및, GOT 등 17개 조사 항목) 및 간(肝) 조직(組織) 검사(檢査)(간 세포 핵퇴폐(核頹廢)), Kupffer 세포의 증식(增殖), 문맥성(門脈城) 섬유화(纖維化) 등 11개 소견(所見))는 총 33개 항목인데, 그 중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대조군(對照群)과 시험군(試驗群) 사이에 유의차(有意差)를 볼수 없었다. 상기한 실험 결과에 입각하여 stevia 추출물 및 stevioside는 흰쥐에 대하여 급성(急性) 및 아급성(亞急性) 독성(毒性)을 발현(發現)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부추 당침액의 유산균 발효에 따른 항산화 및 ACE저해활성 (Antioxidant and ACE Inhibiting Activities of Sugared-Buchu (Allium ampeloprasum L. var. porum J. Gay)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이중복;배정식;손일권;전춘표;이은호;주우홍;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71-676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국민들이 많은 관심을 갖는 식물발효 효소액 중 부추 당침액(부추:설탕 1:3)을 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 AML 0422, Lactobacillus brevis HLJ 59, Lactobacillus helveticus AML0410,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발효를 통해 발효 부추액의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과 항고혈압활성 등의 기능성을 발효 전 후의 유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발효 부추액은 S. aureus KCTC 1916에 대해 31.43 mm의 높은 항균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총 폴리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활성 소거능이 160.8-178 mg/ml, 100-108 mg/ml, 82.8-93.5%로 각각 조사되었다. DPPH 활성 소거능에 있어서는 Vitamin C 50 ppm과 유사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질환 및 뇌혈관질환 등 고혈압과 관련이 깊은 ACE 저해활성은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50.4-67%로 발효전인 32.6%보다 좋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유용 유산균을 이용한 부추 당침액의 발효산물은 항균활성, 항산화활성과 ACE 저해활성 등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초등학생 대상의 건강 효능감과 지식을 중심으로 한 심혈관 건강증진 중재 효과 (Intervention Effect on Health Efficacy and Knowledge in Cardiovascular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Children)

  • Tak, Young-Ran;Yun, E-Hwa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97-113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 대상의 건강 효능감과 지식을 중심으로 한 심혈관 건강증진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반복측정 설계를 적용한 단일군 사전사후 연구 설계로 219명의 초등학생들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심혈관 건강증진 중재는 학교 수업을 기반으로 하는 주1회, 4주 교육으로 구성된 1차 중재와 부모에게 1차 중재 내용을 가정통신문의 형태로 전달하여 학생들의 건강 생활습관 유지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는 2차 중재로 구성되어 있다. 건강 효능감, 지식,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모니터링에 대해 중재 전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1차 중재 및 2차 중재 후 각각 실시하였다. 결과: 정신 건강 자아 효능감은 조사 시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F = 32.88, p < 0.0001). 1차 및 2차 중재 후 신체 건강 자아 효능감의 경우 사전 조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F = 50.51, p < 0.0001), 부모 중재 기간 동안에는 건강 자아 효능감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지식수준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F =10.23, p < 0.0001), 부모 중재 후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반적인 자아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 모니터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기반의 심혈관 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건강 자아 효능감과 지식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기존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 외에 학령기 아동의 건강 생활 습관 유도를 목적으로 건강 자아 효능감과 지식수준 향상을 위한 중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부모의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공황장애 환자의 성격특성과 임상적 의의 (Personality Trait in Panic Disorder Patient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 채영래;이정태;김보연;이성필;홍승철;김종우;계윤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3권2호
    • /
    • pp.139-146
    • /
    • 1995
  • 공황장애 환자에서 동반되는 인격장애의 양상을 조사하고, 인격장애 특성의 과다(過多)에 따른 공황증상의 심각도, 만성도, 전반적인 정신병리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자기보고형 측정도구인 Personality Disorder Questionnaire-Revised(PDQ-R)와 간이 정신상태검사(SCL-90-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대상은 전형적인 공황장애 환자 45명과 성별. 나이, 교육정도를 조합한 건강대조군 45명이었으며 이들에게 PDQ-R을 실시하여 공황장애 환자군과 대조군의 인격장애 양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공황장애 환자만을 대상으로 공황증상의 심각도와 함께 SCL-90-R로 인격장애 동반여부에 따른 증상의 차이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황장애 환자들은 대조군에 비하여 전체 PDQ-R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차이가 있었다. 공황장애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편집성, 의존성, 회피성 인격의 특징과 함께 반사회성, 경계성 경향을 나타내었다. 2) PDQ-R총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사이에 광장공포증상과 불안증상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공황발작 빈도, 공황증상의 최근 심각도, 공포증상으로 인한 사회적 기능장애, 만성도 여부, 광장공포증 때 회피 및 공포증상의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SCL-90-R을 이용하여 동반증상을 알아본 결과 PDQ-R총점이 높은 군은 낮은 군에 비하여 모든 증상 항목이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PDQ-R을 이용한 인격장애 측정시 동반증상이 영향을 미쳐 혼합되어 나타났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겠으며 앞으로 더욱 체계적인 조사방법과 함께 추적조사를 통하여 치료에 따른 인격장애의 변화를 관찰해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