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arning performance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29초

농작물 질병분류를 위한 전이학습에 사용되는 기초 합성곱신경망 모델간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Base CNN Models in Transfer Learning for Crop Diseases Classification)

  • 윤협상;정석봉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38
    • /
    • 2021
  • Recently, transfer learning techniques with a bas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have widely gained acceptance in early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crop diseases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with reducing disease spread. The transfer learning techniques based classifiers generally achieve over 90% of classification accuracy for crop diseases using dataset of crop leaf images (e.g., PlantVillage dataset), but they have ability to classify only the pre-trained diseases. This paper provides with an evaluation scheme on selecting an effective base CNN model for crop disease transfer learning with regard to the accuracy of trained target crops as well as of untrained target crops. First, we present transfer learning models called CDC (crop disease classification) architecture including widely used base (pre-trained) CNN models. We evaluate each performance of seven base CNN models for four untrained crops.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show that the DenseNet201 is one of the best base CNN models.

고등학생의 모바일 러닝 실태 및 인식 분석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Mobile Learning)

  • 조규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53-64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모바일 러닝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모바일 기기와 모바일 러닝에 대하여 현 실태와 인식을 독립변인(성별, 학년별, 계열별)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였고, 통계는 백분율과 t/F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모바일 기기와 모바일 학습의 실태에 있어서 독립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결과가 있었다. 또한 2010년은 모바일 러닝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 연도가 될 수 있으며, 고등학생들은 자투리 시간에 모바일 러닝을 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학습방법에 있어서는 아직 앱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하는 방식은 아직 보편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바일 러닝에 대한 인식도에 있어서는 사용능력 측면에서, 학습 수행력 증진 측면에서, 모바일 기기의 지속적 관심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유비쿼터스 컴퓨팅 학습의 교육환경 설계 (The Desig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Ubicomp Learning)

  • 문승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031-203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학습의 개념과 e-Learning과 u-Learning의 학습환경 및 유비쿼터스 학습환경의 설계, 그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발전방안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최근 정보통신 및 컴퓨터의 기술발전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쉽게 원하는 학습을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컴퓨팅학습의 요구와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WiBro, WCDMA와 같은 고속 이동 데이터 통신망의 등장과 소형의 DMB단말기, PDA, 고기능/고성능 휴대폰의 일반화는 유비쿼터스컴퓨팅 학습의 발전가능성을 더욱 촉진시킬 것이다.

감정적 요소를 고려한 반응학습 추론 시스템 (Reactive Learning Inference System Considering Emotional Factor)

  • 심정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107-1111
    • /
    • 2004
  • As an information technology is developed, more intelligent system considering emotional factor for implementing the personality is required. In this paper, Reactive Learning Inference System considering emotional factor is proposed. Emotional Facter(E) is defined for a criterion for representing the personal preference. This system is designed to have functions of Reactive filtering by Emotional factor, Incremental learning, perception & inference and knowledge retrieval. This system is applied to the area for analysis of customer's tastes and its performance is analyzed and compared.

초등학생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콘텐츠 개발 (e-Learning Contents for Improving Writing Ability of the Elementary Students)

  • 이은권;이자희;이만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72-381
    • /
    • 2009
  • 최근 농촌에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증가하고 있고 도농간 학력격차는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에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만 있으면 아동 스스로 학습 할 수 있는 이러닝 학습콘텐츠 개발은 도농간 학력격차 해소에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법 중의 하나로 초등학교 글쓰기 기초능력을 향상을 위해서 문장부호 및 원고지 사용법에 관한 애니메이션 학습콘텐츠를 개발하였고, 초등학생들에게 개발된 학습도구를 적용한 결과 기존의 교재 중심 학습 및 텍스트로 설명된 웹 자료보다 학습의 흥미도와 학습의 만족도 그리고 학습의 성취도에서 모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다문화가정의 자녀뿐만 아니라 언어능력이 뒤처지는 한국의 초등학생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방법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협업적 이러닝 콘텐츠 평판시스템 연구 (A Collaborative Reputation System for e-Learning Content)

  • 조진형;강환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5-24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정보원천 신뢰도 이론(source credibility theory)을 기반으로 비개인화된(non-personalized) 추천시스템의 일종인 평판시스템(reputation system)을 위한 평판 순위결정기법을 제안하고, 이러닝 콘텐츠 서비스에 적합한 평판시스템 모형을 제시하였다. 정보원천 신뢰도 요인 중 온라인 구전에 적합한 두 가지 요인(expertise, co-orientation)을 기반으로 사용자 평판정보를 암묵적으로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즉, 사용자의 과거 이러닝 콘텐츠 평가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두 가지 신뢰도 요인을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정의하고, 사용자중 높은 신뢰도를 가진 소수 평가자의 정보만을 가지고 전체 사용자의 콘텐츠 평판정보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콘텐츠 평판정보를 예측하는 단계에 있어, 정보원천 신뢰도 이론이 반영된 수정된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한편, 다양한 평판기법들과의 성능 비교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평판시스템 모형이 명시적인 사용자 평판정보가 부족한 기업대 소비자간(B2C) 이러닝 콘텐츠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사회복지교육 이러닝 콘텐츠 개발과 운영전략을 위한 탐색적 사례연구 (Exploratory Case Study for Developing Content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e-Learning on Social Welfare Education)

  • 서상현;김교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104-113
    • /
    • 2007
  • 본 연구는 사회복지분야에서의 효과적인 이러닝 구축과 개발을 위한 사례연구이다. K-이러닝센터에서 2006년도부터 1, 2학기 2007년도 1학기 운영된 [사회복지개론]과목과 관련된 전체 운영참여자(교수, 학생, 이러닝 전문가, 학습관리시스템운영자, 사례이러닝 운영자)가 자료수집에 참여하였다.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e-Learning 커스터마이징화를 위하여 질적, 양적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개론 이러닝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체계적 준비과정, 현장중심 학습내용, 시간 효율적인 학습관리,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효과증진, 과제를 통한 과정평가 중심의 평가방법, 기술적 지원과 교육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상호작용 학습모형 개발, 커스터마 이징화된 모형개발, 운영과정의 표준화와 체계화, 교수자들의 정보교환, 과제중심 과정평가체계구축, 운영 참여자의 협력적 작업시스템 기회의 정규화 등이 제시되었다.

평생학습 시스템이 세계의 지배적인 조직에 미치는 주요 영향 (Life long learning system crate major impact on dominant organizations in the world)

  • 메타 제이딥 챈드라칸드
    • 산업진흥연구
    • /
    • 제4권1호
    • /
    • pp.57-66
    • /
    • 2019
  • 현존하는 연구 문헌은 조직이 실제로 평생 학습 관행과 정책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알려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평생 학습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설명하는 데에 있다. 우리는 캐나다, 미국, 인도, 그리고 한국에서 온 많은 일류 기업들과의 인터뷰를 기초로 개발된 새로운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소개함으로써 이를 수행한다. 우리의 모형의 핵심과 효과적인 평생학습 시스템은 성과관리 시스템이다. 성과관리 시스템은 도전적인 성과와 학습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관리자와 직원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한다. 그 계획들은 세 가지 유형의 학습 활동을 포함한다. 첫째, 직원들은 공식적인 학습에 참여하도록 장려될 수 있다. 이것은 사내에서 제공할 수도 있고, 직원이 휴직을 하고 학교로 돌아갈 수도 있다. 둘째, 관리자는 새로운 업무 기반 학습 기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부하 직원을 다른 부서나 팀에 배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원들은 스스로 배우도록 권장받을 수 있다. 이는 e-러닝 과정과 같은 다섯가지의 확고한 지원을 받는 프로그램을 통해 조직 시간 후에 학습하는 것을 의미한다. 성과 관리 시스템에 의해, 우리는 이 세가지의 학습 출구가 조직에서 효과적인 평생 학습으로 이어진다고 가정한다.

Comparative Study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Commonly U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 kumar, Neeraj;manhas, Jatinder;sharma, Vinod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6권2호
    • /
    • pp.75-80
    • /
    • 2019
  • In machine learning,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depends upon the nature of input data.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improves when the behavior of the input data changes from un-normalized to normalized form. This paper experimentally demonstrated the performance of KNN, SVM, LDA and NB on Alzheimer's dataset. The dataset undertaken for the study consisted of 3 classes, i.e. Demented, Converted and Non-Demented. Analysis shows that LDA and NB gave an accuracy of 89.83% and 88.19% respectively in both the cases whereas the accuracy of KNN and SVM improved from 46.87% to 82.80% and 53.40% to 88.75% respectively when input data changed from un-normalized to normalized state.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KNN and SVM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in classification accuracy on normalized data as compared to un-normalized data, whereas LDA and NB reflect no such change in their performance.

A Study of Situated Cognition and Transfer in Mathematics Learning

  • Park, Sung-S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3권1호
    • /
    • pp.57-68
    • /
    • 1999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two kinds of instructional methods in transfer of mathematics learning: one based on the situated cognition, i.e. situated learning (SL) and the other based on traditional learning (TL). Both classes (of grade 2) studied addition and subtraction of 3-digit numbers. After that, they completed two written tests (Written Test 1 included computation problems, Written Test 2 included computation problems and story problems) and a real situation test. As 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performance on computation skill in Written Tests 1 and 2. But the SL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performance of story problem and real situation test than TL group.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SL made improvement in transfer of mathematics learning. As a result of interviews with 12 children of the SL group were able to use contextual resources in solving real situation as well as story probl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