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νaluation factors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6초

최적임도배치계획(最適林道配置計劃)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lanning Method of Optimum Forest Road)

  • 차두송;이준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39-145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임과대학부속(林科大學附屬) 연습림(演習林)의 제(第)2임반(林班)을 대상으로 수치지형도(數値地形圖)를 이용, 임도개설목적(林道開設目的)에 따른 4개의 평가인자(評價因子), 즉 최단임도개설장(最短林道開設長),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 개발지수(開發指數) 및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 등을 설정하여 각각의 평가인자(評價因子)에 적합한 최적임도노선(最適林道路線)의 배치계획(配置計劃)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최단임도개설장(最短林道開設長)에 의한 노선배치(路線配置)는 총연장(總延長) 6035.6m, 임도밀도(林道密度) 12.73m/ha,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 279.9m, 개발지수(開發指數) 1.43,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15.7% 이다. 2.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에 의한 노선배치(路線配置)는 총연장(總延長) 7828.501, 임도밀도(林道密度) 16.52m/ha,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 198.4m, 개발지수(開發指數) 1.31,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 4.0%이다. 3. 개발지수(開發指數)에 의한 임도노선배치(林道路線配置)는 총연장(總延長) 7410.6m, 임도밀도(林道密度) 15.64m/ha,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 210.9m, 개발지수(開發指數) 1.26,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 5.0%이다. 4.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에 의한 임도노선배치(林道路線配置)는 총연장(總延長) 8307.1m, 임도밀도(林道密度) 17.53m/ha,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 184.9m, 개발지수(開發指數) 1.29,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 2.5%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