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warf bamboo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6초

고도와 수관부 유무가 제주조릿대 군락과 소비자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ion and canopy openness on a dwarf bamboo (Sasa quelpaertensis Nakai) vegetation and their consumer communities)

  • 이진;이재영;장범준;정길상;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249-259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한라산을 포함한 제주도 전역에서 높은 밀도로 자라고 있는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Nakai)가 서식지 고도와 수관부 개폐 여부에 따라서 나타나는 식물의 생태학적 특성과 소비자 군집 다양성 변화에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았다. 고도와 상부 식생의 유무에 따라 제주조릿대 군락 네 지점을 선정한 후 각 지점에서 자라고 있는 제주조릿대 식물 특성 그리고 소비자 군집 다양성을 통하여 삼중영양 상호작용(Tritrophic interaction)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고도가 증가하면서 상부 식생이 없어지고 제주조릿대의 잎 면적, 수분함량, 질소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밀도와 C/N함량은 증가하였다. 상부 식생이 존재할수록 제주조릿대의 생육특성은 더 좋아졌으며 이를 기주로 하는 초식곤충과 포식자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제주조릿대의 생육조건은 고도에 따른 주변 수관부 개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조건은 소비자 군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의 구상나무숲 내 주요 하층식물이 구상나무 유묘 발생에 미치는 상관성 분석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ccurrence of Seedlings of Korean fir (Abies koreana E.H. Wilson) and Understory on the Eastern Slope of Mt. Halla)

  • 이종원;이수홍;임원택;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91-501
    • /
    • 2021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에 위치한 구상나무숲에서 구상나무의 유묘 및 치수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6년 6 ~ 8월 사이에 5 × 5m 방형구 125곳을 대상으로 계통추출법을 적용하여 임황, 지황, 구상나무 유묘와 치수 발생 현황과 발달 상황 및 제주조릿대를 비롯한 하층식생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한 전체 125개 방형구 중에서 유묘가 나타난곳은 43.2%인 54개 방형구에서 616개체 발견되었다. 71개 방형구에서는 유묘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각 방형구의 유묘 개체수는 평균4.9개로, 치수발생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전체 125개 방형구 내의 주요 식물종은 31과 44속 56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상층목으로는 구상나무, 마가목, 산개벚지나무, 주목 등이 주요 우점종으로 파악되었다. 주요 하층식생은 제주 조릿대, 뱀톱, 다람쥐꼬리 및 등수국 등이 조사되었다. 이들 식물 중에서 구상나무 유묘의 빈도와 피도에 대해서 높은 양의 상관이 있는 식생은 제주조릿대, 뱀톱, 다람쥐꼬리 순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 유묘의 빈도 및 피도는 제주조릿대의 빈도 및 피도와 양의 상관이 있는 것이었는데, 이는 구상나무의 유묘는 제주 조릿대의 피도가 높은 곳에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 구상나무숲 내에서 구상나무 유묘의 발생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치수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교란이 일어나는 것이 파악되었고, 구상나무 유묘 발생 및 치수 발달에 교란을 야기하는 한 가지 요인으로 유제류에 의한 섭식일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제류 섭식 등의 연구를 추후 한라산 전반에 걸쳐 유묘 및 치수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식생 천이와 생태계 발달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그 교란 원인을 파악하여, 구상나무의 천연갱신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것은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구상나무를 보전함에 핵심적으로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Transport and Decomposition of Leaf Litter as Affected by Aspect and Understory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 Yoo, Gayoung;Park, Eun-Jin;Kim, Sun-Hee;Lee, Hye-Jin;Kang, Sinkyu;Lee, Dow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5권4호
    • /
    • pp.319-325
    • /
    • 2001
  • Transport of colored papers and decomposition of leaf litter of Quercus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Kalopanax pictus were investigated on three patches differentiated by aspect and understory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Two patches are represented by dwarf bamboo (Patch SS) and herbaceous plants (Patch S), respectively, Iying on a south-west-facing slope. The other patch (Patch N) is located on a northeastfacing slope with herbaceous plants. Colored papers were placed on the patches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litter movement on the ground. Papers were move dispersed in Patch S than in the other two patches. Some of the colored papers placed in Patch S moved upwar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itter movement is affected by aspect and that the leaf litter is retained by dwarf bamboo in Patch SS. Decay constant of Q. mongolica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ose of K. pictus and A. pseudo-sieboldianum. Decay rates of Q. mongolic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atches N and S and between Patches SS and S (p<0.05). On the other hand, decay rates of the other spec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patches. The results suggest that aspect and understory exert an influence on redistribution and decomposition of leaf litter and that the effects could be different among the plant species.

  • PDF

Distribution, abundance, and effect on plant species diversity of Sasa borealis in Korean forests

  • Cho, Soyeon;Lee, Kyungeun;Choung, Yeons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2호
    • /
    • pp.70-76
    • /
    • 2018
  • Background: Sasa borealis (Hack.) Makino, a clonal dwarf bamboo, is widespread in Korean forests. Although S. borealis is native to that country, its growth habit can cause considerable harm when occupying particular areas where it dominates and influences those forested communities. However, few reports have described the extent of its inhibitory effects on the vigor of co-existing plant specie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bundance, and diversity of other plant species in the communities where this plant occurs in the east-central forests on the Korean Peninsula. Results: S. borealis was most commonly found at an elevational range of 800 to 1,200 m, on gentle, usually lower, and near valley northern slopes. Out of the 13 forest communities based on 447 forest stands that we surveyed, S. borealis was detected in eight communities, mostly where Quercus mongolica dominates. In particular, it was more common in late-successional mixed stands of Q. mongolica, other deciduous species, and the coniferous Abies holophylla. Because of their ability to expand rapidly in the forest, this plant covered more than 50% of the surface in most of our research plots. Species diversity declined significantly (F = 78.7, p = 0.000) as the abundance of S. borealis increased in the herb stratum. The same trend was noted for the total number of species (F = 18.1, p = 0.000) and species evenness (F = 91.5, p = 0.000). Conclusions: These findings clearly demonstrate that S. borealis is a weed pest and severely hinders species diversity. Authorities should be implementing various measures for ecological control to take advantage of declining chance after the recent synchronized massive flowering of S. borealis.

벌채적지에서 조릿대 임분의 식생 구조 및 산림식생 발달에 미치는 조릿대의 영향 (Vegetational Structure of Dwarf Bamboo and Its Effects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Deciduous Forests in Clearcutting Sites)

  • 차윤정;전승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9-159
    • /
    • 2002
  • 산림발달에 따른 조릿대 임분의 구조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전남 광양의 백운산 지역내 천연임분과 1987년 벌채임분, 1993년 벌채임분에서의 조릿대 발생임분과 비발생 임분에 대해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상층 수목의 생장에 대한 조릿대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조릿대가 분포하는 임분과 분포하지 않는 임분에서 공통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에 대한 연륜 생장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연구지역의 식생형은 조릿대 우점 식생형과 조릿대 소점 또는 무점 식생형으로 크게 분류되었으며. 전자의 경우 졸참나무-서어나무/조릿대 군락, 때죽나무-쪽동백나무/조릿대 군락, 층층나무-산뽕나무/조릿대 군락, 느티나무-조릿대 군락 등 4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고, 후자의 경우는 졸참나무/비목군락, 층층나무/비목 군락, 졸참나무/당단풍/물참대 군락, 물푸레나무-졸참나무/비목/회잎나무 군락, 산딸기-산수국 군락, 산딸기-싸리 군락 등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임분발달 단계에 따라서는 천연임분의 경우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중심의 낙엽활엽교목과 하층식생으로서 조릿대가 우점하는 반면, 벌채임분의 경우 하층식생으로서의 조릿대 출현밀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의 초기생장기에는 조릿대가 발생하지 않은 임분에서 자라는 개체들의 연륜폭이 조릿대 발생임분에서 자라는 개체들의 연륜폭보다 넓었으나 약 30년을 전후하여 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조릿대에 의한 생장감소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나무류(類)의 유관속초(維管束鞘)에 의(依)한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Morphological Study of Bamboos by Vascular Bundle Sheath)

  • 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47
    • /
    • 1975
  • 대나무류(類)는 열대방지(熱帶方地)에서 총생(叢生)하는 대형(大型)의 대나무가 많고, 온대(溫帶)가 되면 소형(小型)의 세류(笹類)로 퇴화(退化)하여, 그 종류(種類)는 세계(世界)에 50속(屬) 1,000여종(餘種)이나 있다고하여 그 종류수(種類數)는 대단(大端)히 많다. 이와 같은 대나무는 동양(東洋)에서는 건엽용(建葉用)과 공예용(工藝用)으로 이용(利用)되고있으며, 또한 죽순(竹筍)은 식용(食用)으로서 특유(特有)한 맛이있어 상용(賞用)되고있을 뿐만아니라 최근(最近)에는 세류(笹類)의 액즙(液汁)이 암(癌)에도 효과(効果)가 있다고 하여 중요(重要)한 산업(産業)으로서 발달(發達)하게되었다. 그리고 동남아(東南亞)에서는 삽목(揷木)으로서 용이(容易)하게 증산(增産)하여 pulp재(材)로 사용(使用)하게되여 대단(大端)히 중요시(重要視)하고있다. 이와같이 대나무는 인류생활(人類生活)에 필요부가결(必要不可決)한 목본식물(木本植物)이지만 아직까지 그 형태(形態)의 분류(分類)가 명확(明確)하게 되어 있지 않고 지연되여 있는 형편이다. 18세기(世紀) 중반기(中半期)의 Linne시대(時代)에 들어와서 생식기관(生殖器管)을 주체(主體)로 한 그 형태(形態)의 분류체계(分類體系)가 만들어진 이래(以來) 수정(修正)이 거듭되여온 바 있으나 대나무는 개화(開花)가 일정(一定)한 주기(周期)가 있어서 60-120년(年)의 기나긴 세월(歲月)이 소요(所要)되기 때문에 그의 형태적(形態的) 분류체계(分類體系)를 완성(完成)하는일은 극(極)히 어려운 일이었다. 오늘날까지 대나무에 관(關)한 많은 문헌(文獻)이 있기는 하나 그 시료(試料)가 적기때문에 불확실(不確實)한 기재(記載)도 많이있었고 속(屬)이 변경(變更)된것도 간혹(間或)있어서 그것을 공인(公認)할수 없는 것이 많이 있다. 그래서 내부(內部)의 형태적(形態的)인 분류(分類)에 관(關)하여는 근년(近年)에 이르러 중국(中國)의 Liese씨(氏)에 의(依)하여 겨우 시작(始作)이 되였으며, 또한 독일(獨逸)의 Grosser씨등(氏等)이 유관속(維管束)의 형태(形態)에 착안(着眼)하여 새로운 형태(形態)의 분류(分類)를 시도(試圖)한바있다. 그러나 이들의 이 형태(形態)에 관한 분류(分類)는 Holttum의 자방(子房)의 형태(形態)에 의(依)한 분류(分類)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는것 뿐이었다. 따라서 필자(筆者)는 유관속초(維管束鞘)의 형태(形態)에 의(依)해 자유중국산(自由中國産)의 대나무 11속(屬) 26종류(種類)를 재료(材料)로하여 대나무의 형태(形態)에 관(關)한 분류체계(分類體系)에 대(對)하여 재고(再考)를 시도(試圖)하여 보았다. 그 결과(結果) Grosser씨(氏) 등(等)의 형태(形態)의 분류(分類)와 일부(一部)는 일치(一致)하였으나, Bambusa와 Dendrocalamus는 분류(分類)하기가 곤란(困難)하였던 것을 고립유관속초(孤立維管束鞘)의 존부(存否)로서 명확(明確)히 구별(區別)할수있었고 또한 종류(種類)가 많은 Bambusa를 2개(個)의 형(型)으로 나눌수가 있었다. 따라서 이 결과(結果)는 앞으로 아속(亞屬)이나 혹(或)은 절(節)로서의 분류(分類)로서 고려(考慮)되여야 할 문제(問題)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 근거(根據)는, 죽간(竹稈)의 최외층(最外層)에서 최내층(最內層)으로 향(向)하여 변화(變化)하고있는 형태(形態)에 착안(着眼)하여, 그 분화적(分化的)인 면(面)을 관찰(觀察)하였기 때문이다. 이 형태적(形態的)인 분화(分化)에 관(關)한 관찰(觀察)은 형태분류(形態分類)의 철칙(鐵則)인 "간단(簡單)한 것에서 복잡(複雜)한 것으로 진화(進化)한다"라고하는 철칙(鐵則)에 있어서도 충분(充分)히 조사(調査)하여 보았는데, 그 결과(結果)는 생식기관(生殖器官)의 형태적분류(形態的分類)와 대조(對照)하여 결정(決定)되어야 할 것이며, 금후(今後)의 문제(問題)로서 계속연구(繼續硏究)할까 생각한다.

  • PDF

Significance of Aspect and Understory Type to Leaf Litter Redistribution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 Lee, Do-Won;Yoo, Ga-Young;Oh, Sung-Jin;Shim, Jee H.;Kang, Sin-Kyu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2호
    • /
    • pp.143-147
    • /
    • 1999
  • Annual production and redistribution of leaf litter were compared among three distinct understory patches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Kalopanax pictus,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cordata. Two patches were located on a southwest-facing slope: one with an understory dominated by herbaceous plants (Patch S), and the other covered with evergreen dwarf bamboo, Sasa borealis (patch SS). The third patch was on the opposite slope with an understory dominated by herbaceous plants (Patch N). Annual leaf litterfall was averaged 330 g m$^{-2} yr$^{-2}$ in the three patches from 1994 to 1998. From mid-September 1996 to mid-September 1997, net transport of leaf litter over patch bound-aries was 1,824g m$^{-1}$ from Patch S to SS, 1,465g m$^{-1}$ from Patch S to N, and 886 g m$^{-1}$ from Patch SS to N. The amounts moving downslope out of Patch S, SS, and N were 2,548, 471, and 588g m$^{-1}$, respectively. When a mass balance approach was employed for the data of leaf litter transport, the results were relatively consistent with 216, 631, and 724g m$^{-2}$ of leaf litter stores in Patch S, SS, and N, respectively, in April 1997. This study suggests that leaf litter redistribution is largely regulated by aspect and understory type and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carbon processes in the forest ecosystem.

  • PDF

시경(詩經)에 나타난 식물 소재의 문화적 해석 - 상징요소와 경관조성요소의 관점에서 - (A Study on Cultural Interpretation of the Plants in "The Book of Songs" - Based on Symbolic Elements and Landscape Elements -)

  • 윈쟈옌;손용훈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96-109
    • /
    • 2014
  • 본 연구는 시경(詩經)에 등장하는 식물들을 도출하고 분석하여, 상징요소와 경관조성요소의 관점에서 기원전 3~11세기 식물들에 담겨 있는 문화적인 의미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경에 등장하는 식물명칭은 총 147개, 종류는 총 136개로 기원전에 이미 이런 종류의 식물이 존재했고 생활 속에서 향유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식물 소재에 대한 문화적 해석을 통해 연인을 상징하는 식물은 부들과 연꽃 등이 있고 이별을 상징하는 식물에는 작약과 수양버들 등이 있고, 군자를 상징하는 식물은 대나무가 있고, 다산(多産)을 상징하는 식물은 화초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식물 소재와 풍경에 대해서 시경에 언급된 경관에 대한 묘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황철나무와 비술나무 등은 사랑의 장소를 묘사하는데 사용되고, 갈대와 원추리 등은 우수의 장소를 조성하는 식물로 등장하며, 개암나무와 약밤나무 등은 권위의 장소를, 미나리, 춘재 등은 학문의 장소에 사용된 식물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경에 대한 고찰을 통해 춘추전국시대에 주로 사용된 식물 소재와 각 식물에 담겨 있는 문화적 의미를 알 수 있었다. 또한 몇몇 식물은 현재에도 유사한 의미와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isturbance in seedling development of Korean fir (Abies koreana Wilson) tree species on higher altitude forests of Mt. Hallasan National Park, the central part of Jeju Island, Korea

  • Kim, Eun-Shik;Lee, Jong-Won;Choi, Im-Joon;Lim, Wontaek;Choi, Junghwan;Oh, Choong Hyeon;Lee, Sung-Hoon;Kim, Young-S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6호
    • /
    • pp.152-164
    • /
    • 2017
  • Background: Natural regeneration of seedlings as well as saplings of Korean fir has been significantly impacted by the browsing from the early stages of their development, potentially, by roe deer for the last two to three decades at the study site since late 1980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the disturbance in the seedling development of Korean fir (Abies koreana) on Mt. Hallasan, Jeju Island, Korea. Methods: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during June and August in 2016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site and understory vegetation by applying systematic sampling to 125 plots of $5m{\times}5m$ quadrat located on 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o the variables quantified from the data sets using the SAS software. Results: No saplings with their diameters at breast heights smaller than 5.0 cm were found at the study site indicating the serious disturbance in the natural regeneration of Korean fir at the study site. No seedlings with their heights taller than 36.0 cm were found at the study site indicating even more serious disturbance during earlier stage of the natural regeneration of Korean fir at the study site. A total of 616 individuals of the seedlings of Korean fir were found at 54 out of 125 sampling plots. One hundred thirty-eight seedlings (22.4%) out of 616 individual seedlings have the vestiges for being grazed, potentially, by roe deer. Conclusions: Due considerations should be given to the effects of browsing of the seedlings by roe deer to promote the natural regeneration of Korean fir, ultimately to restore Korean fir. It is needed for the managers of the forest to install fences around the forest area. Exclosure experiments as well as enclosure experiments of different densities of browsing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treatment with different densities of Jeju dwarf bamboo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experiment on Mt. Hallasan National Park, Jeju Island,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