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rability to washing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5초

펄감을 표현하는 스마트 헬스 의료기기용 고기능 전착기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High-functioning Electrodeposition Technology That Pearl-like Feeling Expressed for Medical Devices for Smart Health)

  • 장호경;이일봉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4호
    • /
    • pp.273-279
    • /
    • 2015
  • 최근에는 스마트 헬스 의료기기의 발전과 보급이 늘어나면서 빈번한 사용에 대한 내구성과 내열성 및 환경과 외장의 수려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상응하는 조건과 외장의 펄감을 표현하는 스마트 헬스 의료기기용 고기능 전착기술에 대한 산업적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전착도장으로 펄감을 가지는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착도료에 펄 분말을 첨가하여 도장하지만, 펄 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미려한 펄감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으로 스마트 헬스 의료기기용 고기능 전착 기술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적합한 Texture형성을 찾고, Dilution Recipe를 구하기 위해 안료(Pigment)인 ED-600과 ED-600S, ED-MX, ED-M를 이용한 실험에서 안료들의 조성물 배합비를 찾기 위해 각 안료들의 여러 농도로 실험하여 가장 적합한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ED-600과 ED-MX (15% 고형분)의 적합한 농도에서 가장 정착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착 시료를 여러 온도($20{\sim}40^{\circ}C$) 조건에서 수세 후 검사 및 테스트하여, 건조 과정의 실험 결과 $180{\pm}10^{\circ}C$$30{\pm}5min$ 건조 조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 지금껏 펄 분말을 첨가하여 미려한 펄감을 표현하는 스마트 헬스 의료기기용 고기능 전착방법을 전착도료에 펄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도 피도물의 표면에서 자연물에 의한 표현같은 느낌을 주는 감성품질을 나타내는 새로운 방식의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 기술을 얻게 되었으며, 아울러 제품의 경도 및 내열성과 내식성 등을 만족한 제품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글루타르알데하이드 고정 소심 낭막에서의 내피세포 증식에 대한 글루탕산 및 파라벤용액의 효과 (Effect of L-Glutamic Acid and Paraben Solution on the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in the Glutaraldehyde- Fixed Bovine Pericardium)

  • 김범식;이문환;유세영;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7-13
    • /
    • 1996
  • The conventional glutaraldehyde (GA) fixation method of tissue valves is considered to be responsible for accelerated valve degeneration. The release of toxic GA from the valve tissue is believed to limit endothelial cell (EC) ingrowth. Removal of toxic GA by reaction with L-glutamic acid and storage in a Paraben solution may offer good EC growth.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for endothelialization of tissue valves, the growth properties of ECs on the conventionally and alternatively treated pericardial tissue were compared. Conventional preparation included zero-pressure fixation for 72 hours in phosphated-buffered saline (PBS) solution containing 0.5% GA at 4$^{\circ}C$ and storage into PBS containing 0.2% GA(group I). Alternatively treated pericardial tissues were divided into three postfixation treatment groups : (1) storage in PBS solution containing Paraben(group II), (2) treatment with PBS containing 8$^{\circ}C$ L-glutamic acid(PH 7.35) and storage in PBS solution containing Paraben (g oup III), (3) treatment with L-glutamic acid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PH 3.5) (group IV). Pericardial tissue were transferred into the 24-well plate after storage for 4 weeks. ECs were harvested enzymatically from the bovine pulmonary artery and grown to confluence on culture flask surfaces. Detached ECs by trypsin were incubated into the each well of the 24-well plate including test pericardial tissues. Cells were detached by trypsin, 1, 2, 3, 5, 7 days after incubation and counted on the hemacytometer. Cell viability test was performed by frypan-blue exclusion method. Acute cell death in the group I were found even after prolonged washing. The group II showed prolonged cell survival compared with the group I. Both group III and group IV showed better cell growth than group II.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II and group IV method in terms of EC growth. This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by L-glutamic ac id and storage in a Paraben solution be a promising approach for improvement of durability of GA-treated tissue valves.

  • PDF

침지시간에 따른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정밀여과용 평막의 내화학적 특성 (Chemical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Microfiltration Flat-sheet Membrane with respect to Immersion Time)

  • 유재상;손재익;김희준;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19권4호
    • /
    • pp.324-332
    • /
    • 2009
  • 본 연구는 정밀여과용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CPVC) 평막의 화학약품 수용액 내에서 경과시간에 따른 내화학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화학약품으로는 막 세정에 주로 사용되는 유효염소 0.5 wt% NaClO 수용액과 산성인 HCl 1 wt%, pH 4 수용액 그리고 알카리인 NaOH 4 wt%, pH 10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수용액중에 CPVC 분리막을 1일, 3, 5, 10일 동안 5, 25, $50^{\circ}C$에서 침지시킨 후, 각각의 인장강도와 파단시 신장율을 측정하여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막 세정시 주로 사용되는 유효염소 0.5 wt% NaClO 수용액의 경우 $5^{\circ}C$ 조건에서는 인장강도 변화는 5% 이내이지만 25, $50^{\circ}C$에서는 17%까지 감소하였다. CPVC 분리막의 내화학성은 산성인 HCl 1 wt%와 pH 4 수용액에서 우수하였으나 NaOH 4 wt% 수용액에 대해서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세탁이 산림작업복 하의의 수축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peated Laundry on Shrinkage Rate of Chainsaw Protective Pants)

  • 정응진;박수규;한상균;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341-348
    • /
    • 2019
  • 본 연구는 체인톱에 의한 산림작업 안전사고 저감을 위하여 산림작업복 하의 4개 품목을 대상으로 작업복 17개 부위의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추가적으로 품목 및 반복세탁횟수에 따른 산림작업복의 하의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반복세탁을 통한 산림작업복의 사용권장 기간을 제시하였다. 산림작업복 하의 4개 품목의 반복세탁에 따른 수축률 결과, 대부분의 품목이 세탁 20회에서 수축률 기준인 6%가 초과되는 부위가 1개소씩 발생하였으며, 가로방향 측정부위가 세로방향 측정부위보다 더 크게 수축되었다. 또한 산림작업복 하의 수축률의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반복세탁횟수(p<0.05)와 측정부위(p<0.05)로 나타났으며, 측정부위별 수축율에 있어서 총 5개 부위(a, b, g, j, n)가 반복세탁횟수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p<0.05) 나타났다. 따라서, 산림작업복 하의의 사용 권장기간은 10개월 정도로 판단되며, 추후 반복세탁횟수와 측정부위와의 관계를 상세 분석하여 산림작업복 하의의 내구성에 대해 검토할 예정이다.

수면 무호흡증 관리를 위한 섬유센서 기반의 슬립 모니터링 스마트 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leep Monitoring Smart Wear based on Fiber Sensor for the Management of Sleep Apnea)

  • 박진희;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22권1호
    • /
    • pp.89-10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병으로서, 이를 위한 표준화된 수면다원검사가 고가이며 측정이 불편함을 고려하여, 환자가 익숙한 환경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스트레치 섬유센서를 이용한 무구속 상태의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의복과 일체화된 디자인으로 제품화하여 그 유용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성인 남성용 롱 슬리브 티셔츠 형태로 착용형 수면무호흡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를 개발하여, 수면무호흡 진단 지표 중 섬유형 센서를 기반으로 측정하는 호흡수(breathing rate)측정용 섬유센서,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 호흡기류(airflow)를 실시간 측정하였다. 최적의 조합비 샘플 4가지를 통한 gauge factor를 측정한 결과, gauge factor 20.3을 확인하였고, 3회 숨을 크게 내쉴 때 호흡유량이 최대 2048ml였다. 산소포화도 69.45%로 최소 측정 가능 산소포화도 70% 정도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세탁 후 인장에 따른 센서 성능 평가 결과는 전체적으로 gauge factor 18 수준의 값으로, 세탁에 대한 내구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효율이 떨어지고 여러 합병증을 동반하는 문제에 대해,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착용형 수면무호흡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를 개발하여 호흡수, 호흡유량, 산소포화도의 3가지 지표를 측정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저품질 골재가 동일 작업성 조건에서 콘크리트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quality Aggregates in the Same Workability Conditions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 민경철;한천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99-3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동일 작업성 조건에서 저품질 잔 굵은 골재가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 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럼프 및 공기량을 단위수량과 AE제 혼입량 변화로 동일하게 배합설계 하였다. 따라서, 양호한 품질의 골재를 사용한 배합에 비해 저품질의 골재 사용시 불량의 입도 및 미립자량 등의 영향으로 단위수량 및 AE제 혼입량이 각각 약 18%, 98%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압축강도의 경우는 양호한 품질의 부순 굵은 골재를 사용한 배합에 비해 저품질의 발파석 굵은 골재를 사용한 배합에서 특히, 발파석 마사토 및 해사와 같은 저품질 잔골재와 복합될 때 20~35% 까지 저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품질 잔 굵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인 경우는 압축강도뿐만 아니라 탄성계수와 내구성으로 동결융해, 건조수축, 탄산화 및 염해저항성 측면에서도 크게 저하하여 그 심각이 문제시 되었다. 따라서 저품질 골재를 순환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물씻기, 혼합골재에 의한 입도 조정 등 별도의 처리를 거쳐 사용하거나 혹은 사용을 철저히 규제하는 특별한 대책이 수립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