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ne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32초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habitat on the coastal sand dune ecosystem

  • Lee, Jeom-Sook;Jeon, Ji-Young;Ihm, Byung-Sun;Myeong, Hyeo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3호
    • /
    • pp.167-175
    • /
    • 2012
  • Coastal sand dune systems are particularly fragile and threaten the environment. However, these systems provide fundamental ecosystem services to the nearby urban areas, acting, for example, as protective buffers against erosion. In this paper, we attempt to classify the biotope types of coastal sand dune ecosystems and select an index for the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value. The types of biotopes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vegetation map; floras are examined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s of hinterlands on coastal sand dunes. In addition, a naturalization rate and an urbanization index for each biotope type in hinterlands are analyzed. In the ecosystem of coastal sand dunes,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shows a higher value in sand dunes with areas of road, residential, and idle land in farm villages, rice fields, and fields. On the contrary, a lower value in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is present when typical biotope types, such as sand dune vegetation and natural Pinus thunbergii forests, are widely distributed. Based on these results,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should be used as critical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the ecosystem of costal sand dunes.

한국 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 남해안의 사구식물군락의 종조성과 현존량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Floristic Compositon and Standing Crop of the Sand Duen on the Southern Coast)

  • Lee, Woo Tchul;Sand-Keun Ch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3호
    • /
    • pp.177-186
    • /
    • 1983
  • Vegetation types and their standing crop in the sand dune on the south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by the method of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types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also analyzed. The dominant species in the vegetations of the south coast sand dune were Carex pumila, Calystegia soldamella,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Vitex rotundifolia, Ixeris repens, Carex kobomugi, Zoysia macrostachya. The species density in the sand dune vegetation in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coast, psammophyte and rhizome psammophyte de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coast but other plants increased. The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vegetatiion was average $53.79g/m^2$. An individual standing crop of Vitex routundifolia and Carex kobomugi varied with the curve of secondary degree. The salt content of the sand dune soil from 2.95 to 11.78 mg %, and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ands, but it was varied with the distance form the coas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warmth index and aboveground standing crop was found and the formula y=283.8886 - 2.4910X could be estimated.

  • PDF

Complexities of interpreting aeolian linear dune depositional history using luminescence chronology: a case study from the Kalahari

  • Munyikwa, Kennedy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45
    • /
    • 2003
  • Linear dunes are the most ubiquitous of all desert dune types ( Lancaster, 1982: Pye and Tsoar, 1990; Bristow et al., 2000) and occur as aeolian bedforms that cover no less than 40 % of the world's desert sand dune areas (Bullard et al., 1995). Despite their omnipresence, however, their origin and long-term development remain inadequately understood (Tseo, 1993; Bullard et al., 1995; Bristow et al., 2000, Wang et al., 2002). (omitted)

  • PDF

시계열 분석을 통한 송도해안의 해안사구 이동경로 분석 (Analyzing Sand Transfer Path by Songdo Beach Using Time Series Analysis)

  • 한충목;김용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84-391
    • /
    • 2009
  • 국토의 형상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해안 지역은 그 형태와 특성이 변화하는 모습을 가지고 있다. 대규모매립 공사와 크고 작은 해안 지역 개발 등으로 인하여 적절한 이용계획을 수립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 중에서 해안사구는 관광 및 생태학적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대상의 지역적 범위를 부산 송도해안으로 결정하였으며, 다년간의 RTK-GPS 측량 자료를 근거로 시계열적 분석을 통하여 해안사구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자 한다. 송도해안의 경우, 해안선의 길이는 평균 약 620m, 면적은 약 $31,846m^2$으로 나타났다. 송도 해안은 좌우측에 방파제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모래의 유실을 최소화 할 수 있었으며, 매년 일정양의 양빈으로 인하여 꾸준히 해안 사구가 퇴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회 측정 결과 해안사구는 좌우측면이 침식되고 중앙부분이 퇴적되어 해안 사구가 전반적으로 앞으로 전진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항공사진의 질감 분석을 통한 김녕사구지역의 지형지물 추출 (Feature Extraction in an Aerial Photography of Gimnyeong Sand Dune Area by Texture Filtering)

  • 장은미;박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9-149
    • /
    • 2006
  • 국내에서 해안사구의 생성과정 및 생물지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누적되어 왔지만 원격탐사방법을 이용한 분석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수준으로 시각적 분석을 수행한 것이 대부분이다. 사구지역 범위 추출을 위한 적합한 질감분석방법을 찾아보기 위하여 제주도의 김녕사구지역을 대상으로 영상분석, 야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주도 사구는 내륙으로 깊숙이 발달하고 있으며 현무암 돌담의 색채와 대비되어 단순 영상분류 분석보다는 질감분석을 적용할 경우 뚜렷한 범위를 도출할 수 있었다. 영상은 전처리 과정 이후에 Erdas Imagine과 ENV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으며, 분산분석과 히스토그램 분석, 형태적 특성과 질감의 최고값에 대한 비모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시지역은 농촌지역과 사구지역에 비해 질감의 변화가 폐합된 작은 폴리곤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사구지역은 도시지역과 유사한 높은 질감 변화값을 갖는다는 공통점을 갖는 반면에 폐합된 폴리곤의 크기는 농촌지역과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는 이중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었다. 하이패스필터적용 이후 생성된 사구지역의 폴리곤의 장축과 장축에 대한 단축의 비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비해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이패스필터와 동일성 필터를 적용한 사례가 가장 효과적으로 도심지와 사구지역을 구별할 수 있었다.

해안사구에서의 유효풍속과 지형변화 (The Effective Wind Velocity and the Patterns of Morphological Change in the Coastal Dune Area)

  • 서종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67-681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태안반도 신두해안사구의 유효풍속과 지형변화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퇴적물의 유동은 8개의 횡단면에서 침식핀을 이용하여 1999년 7월부터 2000년 7월까지 고도변화를 측정한 후 계산되었다.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구지역에서의 지형변화와 유효풍속에 근거하여 퇴적기와 침식기가 구분되었다. 퇴적기는 11월부터 4월까지로 모래의 집적이 주로 전사구에서 일어났으며 순차적으로 사구평지로 이어졌다. 침식기는 5월부터 10일까지로 전사구의 말단부에서 소규모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는 패턴을 보였다. 둘째. 조사기간 동안 조사지역에서의 전체 퇴적물수지는 $10.2\;m^3$/m/yr로 잉여로 나타났으나 지역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차사구에서는 결핍되는 곳도 나타났다. 사구지역의 북단에서는 모래의 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중앙부와 남부지역에서는 모래의 공급이 빈약했다.

  • PDF

해안사구 모래보강을 통한 해안침식 저감 효과 - 충청남도 다사리 사구를 사례로 - (The Mitigating Effects of Seaward Dune Reinforcement Against Coastal Erosion in Dasa-ri,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 공학양;박성민;신영규;최광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47
    • /
    • 2018
  • Coastal sand dunes have been regarded as natural defenses to protect hinterland from disasters such as storm surge and typhoons. However, many dunes are not well-deserved in South Korea because of imprudent land development or inappropriate measures after coastal erosion. Lately, beach nourishment and dune reinforcement are emphasized as the effective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olution for the coastal protection. They are regarded good strategies to keep landscapes for a time, with little side effects. However, there is little knowledge on the construction methods including proper design and time plans for the best results.In addition, the effects of dune reinforcement in the field should be tested.In thisstudy, we performed sand filling in an eroded dune scarp and surveyed topographic changes in the beach-dune system, which is located along Dasa-ri coast,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Using a network RTK-GPS and drone-based aerial photographs, we analyzed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the area, before and after the reinforcement. As a result, the dune reinforcement seems to be helpful to mitigates the coastal erosion and to prevent the coastline retreat at least for one year.

해안사구 식생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딥러닝 기반 모니터링 (Deep learning-based monitoring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oastal dune vegetation)

  • 김동우;구자운;홍예지;김세민;손승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5-33
    • /
    • 2022
  • In this study, a monitoring method using high-resolution images acquired by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was proposed for the management of the Sinduri coastal sand dunes. Class classification was done using U-net, a semantic division method. The classification target classified 3 types of sand dune vegetation into 4 classes, and the model was trained and tested with a total of 320 training images and 48 test images. Ignored label was appl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and then evaluated by applying two loss functions, CE Loss and BCE Los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when CE Loss was applied, the value of mIoU for each class was the highest, but it can be judged that the performance of BCE Loss is better considering the time efficiency consumed in learning. It is meaningful as a pilot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deep learning as a method to monitor and manage sand dune vegetation.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deep learning image analysis technology to monitor sand dune vegetation has been confirmed, an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not only in sand dune vegetation but also in various fields such as forests and grasslands.

우이도 해안사구식생의 군락생태와 입지환경 (Synecology and Habitat Environment of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Uido (Island), Korea)

  • 전영문
    • 환경생물
    • /
    • 제25권1호
    • /
    • pp.56-65
    • /
    • 2007
  • 본 연구는 우이도 해안사구식생의 군락구분과 분포, 그리고 생육지 환경의 생태적 특성을 밝힘으로써 해안 사구식생의 관리, 보존 및 복원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는 Braun-Blanquet(1964)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우이도의 사구식생은 순비기나무군락, 왕잔디군락, 보리사초군락, 갯쇠보리군락, 띠군락, 좀보리사초군락, 갯메꽃군락, 모래지치군락, 그리고 배후식생으로 상록침엽수림인 곰솔군락의 총 9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사구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식물들 중에서 갯메꽃(77%), 순비기나무(74%), 보리사초(66%), 왕잔디(50%), 띠(47%) 등의 상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 갯메꽃은 가장 높은 상재도에도 불구하고 각 군락내 절대기여도는 낮은 상태를 보였다. 사구식물의 분포와 생육 특성에서는 순비기나무, 보리사초, 왕잔디 등이 불안정사구에서 안정사구지가지 폭넓게 분포한데 반하여 갯쇠보리와 띠는 주로 안정사구지에서 군락을 형성하였다. 특히 보리사초는 모래의 퇴적이 계속되는 불안정사구지에서 우점 분포하였으며, 좀보리사초와 모래지치는 담수주변부에서 국지적으로 분포하였다.

태풍의 통과로 인한 해안사구 지형의 침식과 회복 (Erosion and Recovery of Coastal Dunes after Tropical Storms)

  • 최광희;정필모;김윤미;서민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27
    • /
    • 2012
  • 해안사구는 사빈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해안경관을 안정시키고 배후지를 방어한다. 때때로 태풍이 통과할 때 사구가 침식되기도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원래의 지형을 회복한다. 2010년 9월초에 발생한 태풍 곤파스는 많은 비를 동반하며 폭풍과 파고를 증가시켜 해안지역에 수위를 상승시켰다. 이로 인해, 서해안에 분포하는 사구들이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침식이나 회복과정은 전안과 사구전면부의 경사, 모래의 공급량, 식생, 바람, 인간의 간섭 등 해빈-사구를 둘러싼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어떤 사구들은 겨울철 풍성활동에 의해 원래의 단면을 회복했지만, 어떤 사구들은 점점 더 육지 쪽으로 후퇴하였다. 곰솔림이 조성된 해안사구는 초본피복사구에 비해 회복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공호안이 설치된 사구는 그렇지 않은 사구에 비해 더 심하게 침식되고 덜 회복되었다. 태풍 통과 이후의 조사결과, 모래의 이동과정이 침식된 사구 지형회복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태풍에 의한 침식극복을 비롯하여, 사구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지형학적 관점에서 사빈과 사구의 상호작용을 적절하게 평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