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ck protein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4초

대두(大豆)의 수침시간(水浸時間)에 따른 조직(組織)의 미세구조(微細構造), 단백질(蛋白質) 특성(特性) 및 두부수율(豆腐收率)의 변화(變化) (Changes in Ultrastructure of Tissues, Characteristics of Protein and Soybean Curd Yield with Increased Soaking Time during Soybean Curd Processing)

  • 박용곤;박부덕;최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1-386
    • /
    • 1985
  • 본 연구는 두부제조시 수침시간을 연장시킴에 따라 두부수율이 증가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대두 조직의 미세구조와 초원심침강법에 의한 두유, 두부단백질 fraction의 특성 및 이행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두의 수침시간을 5, 10, 24시간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두부수율은 각각 45.93%, 50%, 55.4%로 증가하였고, 고형분추출율, 응고율 역시 증가하였다. 2. 두유, 두부의 disc-gel전기영동에서 수침시간을 연장시킴에 따라 band수는 증가했고, 주(主)band의 두께는 더 굵었다. 그리고 두유의 고분자의 band가 두부로 많이 이행 하였다. 3. 두유, 두부의 crude 7S protein과 crude 11S protein은 전기영동에서 두유의 7S는 5개, 11S는 9개의 band가 나타났고, 두부의 7S는 4개, 11S는 8개의 band가 나타났는데 두유의 band중 주로 11S 성분들이 두부로 많이 이행 하였다. 4. 대두조직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에서 수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rotein body는 그 크기가 상당히 팽창했고 protein body사이에 산재해 있던 spherosomes의 수는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 PDF

오리고기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Duck Meat)

  • 남현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1호
    • /
    • pp.34-37
    • /
    • 1977
  • 오리고기를 가식부(可食部)만을 n-Hexane으로 지방(脂肪)을 용출(溶出)하고 정제(精製)한 다음 methyl ester시켜 gas chromatography로 분석(分析)하고 몇가지 화학적(化學的) 성자(性資)를 시험(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오리고기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은 수분(水分) 64.87%, 단백질(蛋白質) 19.06%, 조지방(粗脂肪) 17.3%, 회분(灰分) 1.12%로 닭고기에 비(比)하여 지방(脂肪)은 다소 많았다. 2. 용매(溶媒)의 종류에 따라 용출량(溶出量)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Ethylether에 79.57%, chloroform에 70.15%, n-Hexane에 72.35%로 나타났다. 3. n-hexane으로 용출(溶出)한 지방(脂肪)의 chemical constant는 산가(酸價) 5.01, 검화가 201.5, 요오드가(價)카 50.1, 카보널가(價) 4.5%를 나타냈다. 4. n-Hexane으로 용출(溶出)한 지방산(脂肪酸)을 gas chromatography에 의(依)하며 분석(分析)하여 오리고기(Leg portion)는 Myristic acid 0.12%, palmitic acid 17.2% , Stearic acid 3.1%, Oleic acid 45.9%, Linoleic acid 19.9%, Linolenic acid 1.6%를 나타냈고, 오리고기(Breast portion)는 Myristic acid 0.17%, Palmitic acid 17.1%, stearic acid 3.3%, Oleic acid 51.2%, Linoleic acid 17.2%, Linolenic acid 1.7%이었고, arachidonic acid는 측정되지 않았다. 5. 오리피의 cholesterol은 total 200mg%, Breast portion의 fat에 cholesterol의 total은 260mg%, Leg portion의 fat에 cholesterol의 tatal은 400mg% 이었다. $\divideontimes$ 본연구(本硏究)는 1976년도(年度) 광주서원전문학교(光州瑞元專門學校) 학술연구조성비에 의(依)하여 행(行)한 것입니다.

  • PDF

오리 기계발골육을 이용한 Sausage 제조 (Processing of Sausage Using Duck Mechanically Deboned Meat)

  • 강동수;최옥수;박욱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5
    • /
    • 2002
  • 동결된 오리 MDM을 $25^{\circ}C$에서 약 3시간 방치하여 반해동시킨 후 얇게 자르고, 저온의 알칼리액(0.2% NaHCO$_3$와 0.15% NaCl 혼합액)으로 4시간 침지.교반하면서 수세처리한 후 다시 염지액 중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며 염지하였다. 염지가 끝난 육을 수세한 후 수분 80%이하로 탈수하여 silent cutter에 넣고 육만을 10분간 1차 고기갈이하고, 다시 식염을 첨가하여 30분간 2차 고기갈이를 하였다. 나머지 부원료와 첨가물, 즉 0.3% 폴리믹스 GA, 0.3% 폴리믹스 CS, 0.3% 피로인산염, 0.3% 중합인산염, 4.2% 설탕, 8% 전분, 7% 대두분리단백, 0.2% MSG, 0.5% 양파분말, 0.1% 마늘분말, 1.5% 넛멕, 0.1%이하의 솔빈산칼륨, 0.0075% 식용색소 적색 40호 7% 난백, gluten 3% 및 돈지 10%를 넣고 15분간 3차 고기갈이한 후 즉시 PVDC 필름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충진하여 밀봉한 다음 9$0^{\circ}C$의 증기를 이용하여 80분간 가열하고 실온까지 급냉시켜 오리 MDM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단백질 및 지질함량이 다른 부상배합사료와 생사료의 넙치 사육효과 비교 (Evaluation of Extruded Pellets Containing Different Protein and Lipid Levels,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for Growth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경덕;강용진;이해영;김강웅;장미순;김신권;손맹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76-480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xtruded pellets (EP)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protein (51%-55%) and lipid (9%-15%) for growth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comparing with raw fish-based moist pellet (MP). Two replicate groups of 40 fish per each tank (initial mean weight 106 g) were fed one of three experimental EP (EP1, EP2 and EP3) containing different protein and lipid levels, a commercial EP (EP4) and MP for 16 weeks.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Final mean weight of fish fed M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ish fed EP1, EP2 and EP4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fish fed EP3. Feed efficiency of MP-fed fis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fish fed all EP formulations (P<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EP groups. Daily feed intake of MP-fed fis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ish fed all EP formulations (P<0.05). Condition fact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Whole body moisture and crude lip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 (P<0.05). Growth and feed efficiency of flounder was not affected by EP protein and lipid levels. Dietary formulation used in EP1, EP2 and EP3 can be applied to the practical feeding of flounder.

Effect of Choice Feeding on the Nutrient Intake and Performance of Broiler Ducks

  • Men, Bui Xuan;Ogle, Brian;Lindberg, Jan Er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2호
    • /
    • pp.1728-1733
    • /
    • 2001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experimental duck farm of Cantho University in the Mekong Delta of Vietnam to evaluate the effects of offering pairwise feeds with different crude protein (CP) levels to Cherry Valley broiler ducks from 28-63 days of age on feed intake and performance. Five diets consisting of mixtures of soya bean meal, fish meal, maize meal and fine rice bran, were formulated to give isocaloric diets with 30, 24, 18, 16 and 12% CP. These were offered separately as pellets to growing ducklings in the following combinations: 30+18, 30+12, 24+16 and 18+12. A diet with 20% CP (CP20) was used as control. All the diets were offered ad libitum. Daily feed intakes (g dry matter, DM) were 161, 168, 150, 101 and 143 g for the 30+18, 30+12, 24+16, 18+12 and CP20 treatments, respectively. CP intakes were 29.6, 27.0, 24.8, 17.1 and 22.9% of total DM intake, and the ratio of methionine+cystine to lysine was 0.76, 0.75, 0.75, 0.76 and 0.75 for the 30+18, 30+12, 24+16, 18+12 and CP20 treatments, respectively. Live weights at 63 days of age were 2,937, 3,054, 2,898, 2,200, and 2,811 g (p<0.001), and daily live weight gains 57.8, 61.7, 57.0, 38.5 and 55.7 g (p<0.001) for the 30+18, 30+12, 24+16, 18+12 and CP20 treatments, respectively. The weights and yields of the carcass, breast and thigh muscles, and heart decreased in the order 30+18, 30+12, 24+16, CP20 and 18+12 (p<0.001).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growing broiler offered a combination of high and low protein feeds pairwise will eat excessive amounts of the high protein feed, thus resulting in protein intakes above requirements.

배합사료의 우지와 덱스트린이 메기(Silurus asotus)의 성장과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Beef Tallow and Dextrin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김경덕;김진도;김강웅;손맹현;한현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10-314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of beef tallow and dextrin as non-protein energy sources in the diet of juvenil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Three replicated groups of juveniles (initial mean weight of 3.6 g) were fed diets containing high levels of beef tallow or dextrin for six weeks. The final mean weight of fish fed on a 17% lipid diet with a high level of beef tallow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on a 9% lipid diet with a high level of dextrin (P=0.04).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on the experimental diets. Crude lipid content and the C18:0, C18:1n-9 and C18:2n-6 contents of whole-body fish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eef tallow is better than dextrin as a non-protein energy source for improving the growth of juvenile far eastern catfish, and that beef tallow could be economically used as an ingredient in practical feed.

넙치 (Paralicthys olivaceus) 치어용 배합사료에 콩비지 첨가가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oybean-curd Residues in the Formulated Di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thys olivaceus))

  • 이상민;김경덕;장현석;이용환;이종관;이종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96-600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ybean-curd residues as an ingredient of the formulated diet for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ree replicates of juvenile fish (averaging weight $1.5\pm0.04\;g$) were fed one of four isonitrogenous $(50\%)$ diets containing $0\%,\;5\%,\;10\%\;and\;15\%$ soybean-curd residues for 7 weeks. Survival, hepatosomatic index and condition factor of the fish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soybean-curd residues levels. Weight gain,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the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5\%$ soybean-curd resid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ose of the fish fed the control diet, however these values decreased in the fish fed the $10\%\;and\;15\%$ soybean-curd residues (P<0.05). Daily feed and protein intake in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soybean-curd residues level.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s in the whole body de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soybean-curd residu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control, $5\%\;and\;10\%$ soybean-curd residues diets (P>0.05). Plasma total protein concentration of fish was affected by dietary soybean-curd residues levels (P<0.05). It is concluded that the soybean-curd residues as a substitute for wheat flour can be included up to $5\%$ in the diet for juvenile flounder.

오리고기의 첨가 수준이 냉장 저장 중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Levels of Duck Mea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 Type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 강근호;함형주;성필남;조수현;문성실;박경미;강선문;박범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7-85
    • /
    • 2014
  • 본 연구는 소시지 제조 시 오리고기와 돼지고기의 혼합비율에 따른 냉장 저장 중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소시지 제조 시 사용되는 고기 함량을 기준으로 오리고기 100%(T1), 돼지고기 100%(T2), 오리고기 50% + 돼지고기 50%(T3), 오리고기 40% + 돼지고기 60%(T4) 및 오리고기 30% + 돼지고기 70%(T5)로 나누었다. 그 결과, 수분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T1이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았고, T2가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단백질과 지방함량에 있어서는 T2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명도의 경우, T1이 전 저장기간 동안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은 명도를 보였다. 적색도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T1이 전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T2는 전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 오리고기 40%와 돼지고기 60%로 제조한 T4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전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응집성의 경우, 냉장 저장 2주까지 T5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육향, 맛 및 조직감에 있어서는 T5가 유의적으로(p<0.05)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다른 처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T5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리고기 소시지 제조 시 경도와 기호성을 좋게 하기 위한 근육 단백질의 혼합 비율은 오리고기 40%와 돼지고기 60%의 비율이 적당한 수준인 것으로 사료된다.

초임계 PGSS 법을 이용한 Poly(lactide-co-glycolide)와 단백질의 마이크로복합체 제조에 관한 연구 (The Production of Protein-loaded Poly(lactide-co-glycolide) Microparticle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송은석;정헌섭;이한호;김재덕;김화용;이윤우
    • 청정기술
    • /
    • 제12권2호
    • /
    • pp.53-61
    • /
    • 2006
  •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lactide-co-glycolide) (PLGA)와 약물 단백질로 약물 중합체를 만들기 위하여 초임계 나노 입자 제조 공정중 하나인 PGSS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해서 고분자 PLGA의 유리전이온도($T_g$)를 강하시켜 가소화시키면서 단백질을 용기 내에서 혼합하였다. 고분자 PLGA에 캡슐화 된 단백질의 입자를 얻기 위해 고압 용기에 들어있는 시료를 노즐을 통하여 대기압으로 이산화탄소를 분사시켰다. 입자의 형태, 입자 크기 그리고 크기 분포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고압 용기 안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공정변수들을 조작함으로서 PGSS 실험을 하였다. 입자는 거칠고 불규칙하며 표면에 기공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입자의 크기와 크기분포는 과포화도, 핵 생성시간 등으로 설명하였다. 제조된 입자 내의 protein의 활성도 저하는 거의 없었다.

  • PDF

더덕(沙蔘)의 년근별(年根別) 화학성분(化學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 일반성분(一般成分), 무기질(無機質) 및 단백질(蛋白質) 분획(分劃)- (Chemical Composition of Cultured and Wild Codonopsis lanceolata Roots of Different Age Groups -I.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s and Protein Fractions-)

  • 박부덕;박용곤;최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4-279
    • /
    • 1985
  • 년근별(年根別)에 따른 더덕의 일반성분(一般成分), 무기질(無機質) 및 단백질(蛋白質) 성분(成分)을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spectrophotometer 및 disc gel electrophoresis에 의한 분석(分析)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일반성분(一般成分)은 재배더덕이나 야생더덕에 관계없이 총당(건물중)이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이고 1년근이 68.76%, 5년근이 66.54%로써 재배 년령이 높아짐에 따라 다소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 다음 조단백질, 조섬유, 조지방, 회분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조섬유를 재외하고는 재배더덕이 야생더덕 보다 그 성분함량이 다소 높았고 재배 년령이 높아짐에 따라 함량이 높아졌으나 조섬유는 별로 증가가 없었다. 무기성분은 K의 함량이 $208.7{\sim}327.9ppm$으로 가장 높았고 Mg, Ca가 그 다음으로 비슷한 함량을 보여 주었고 전반적으로 재배더덕이 야생더덕보다 무기질 함량이 높았으며 Fe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재배 년근(年根)의 년령이 높아짐에 따라 무기성분 함량이 높아졌다. 그리고 중금속(重金屬)인 Pb와 Cd의 함량은 허용기준량보다 낮게 함유되어 있었다. P는 재배더덕이 야생더덕보다 함량이 3배 정도 높았다. 더덕의 단백질 분획중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은 재배와 야생더덕에 상관없이 albumin이 었고 재배년령이 높아질수록 다소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 다음 globulin, prolamin 및 glutelin의 순서로 함유되었고 대체로 년근(年根)의 년령이 높아감에 따라 그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prolamin함량이 $19.74{\sim}22.90%$로 비교적 함량이 높았다. 더덕 단백질의 용해도는 pH 4에서 최소, pH 10에서 최대를 나타냈으며 disc gel 전기영동 패턴은 재배년령이나 재배와 야생더덕에 관계 없이 band의 형태와 수에 별 차이를 인지할 수 없었고 7개의 band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주단백질(主蛋白質)의 분자량(分子量)은 약 90,000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