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root yield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4초

Varietal Differences of Dry Matter Accumulation and Related Characters in Cassava (Manihot esculenta Crantz)

  • Park Chang-Ho;Kim Kwang-Ho;Aswidinnoor Hajrial;Rumawas Fred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5-54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dry matter (DM) production and accumulation, and to scree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ated major growth characters and DM accumulation in four cassava varieties in Bogor $(6^{\circ}19'-6^{\circ}47'S,\;106^{\circ}21'-107^{\circ}13'E)$, West Java, Indonesia. Gading and Adiral developed an enough source and canopy in short at the early growth phase and then translocated assimilates to storage roots with a higher partitioning rate, even these varieties were considered as early-bulking varieties, which have superior source and sink potentials in increasing yield and DM of tubers. The root/shoot ratio (R/SR), total dry weight (TDW), leaf area duration, leaf area index (LAI), and number of tubers showed higher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dry weight of roots (DWR), and the direct effects of TDW, R/SR, and LAI on the DWR were higher. These characters were considered to be useful target characters to screen cassava varieties with high yield potential and high DM in aspect of tuber production.

사초용 호맥 (Secale cereale L.) 과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의 혼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ixed Cropping with Forage Rye (Secale cereale L.) and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 전병태;이상무;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9-207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ing method and seeding ratio in mixed cropping of forage rye and red clover on dry matter yield, nutritional yield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The main treatment was two seeding methods(drilling and broadcasting) and the sub treatment was six seeding ratios between rye and red clover(T1; 150kg : 0 kg/ha, T2; 120 : 3, T3; 90 : 6, T4; 60 : 9, T5; 30 : 12, T6; 0 : 15).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 of Kon-Kuk University in Chungju in 1992.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eeding ratio of red clover, but content of NDF and ADF were decreased. 2. The seeding method did not affects significantly the dry matter yield, but broadcasting showed higher dry matter yield than drilling in the same seeding ratio. Especially, T3 of broadcasting was the highest yield of 13, 172 kg/ha The T3 of broadcasting and T4 of drilling showed hlghly crude protein yield of 1, 268 kgha and 1, 252 kg/ha, respectively. 3. Comparing the each seeding ratio of two seeding method, total nitrogen yield of shoot and root of drilling were higher than broadcasting. Especially, T2 and T4 of drilling were the highest in total nitrogen yield. 4. There were more increase in organic matter and nitrogen contents but decrease in K, Ca of soil by increasing the seeding ratio of red clover than soil before experiment. In the seeding methods, broadcasting was an effect of soil improvement.

  • PDF

생육단계별 한발처리가 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ought Stress at Various Growth Stages on Soybean Growth and Yield)

  • 김충국;고문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9-94
    • /
    • 1997
  • 토양수분 부족이 콩의 생육 및 수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비가림 비닐하우스 안의 베드에서 우리나라 기상여건상 토양수분 부족의 유발가능성이 높은 영양생장기인 신장기에 제 3 복엽기부터 30일간 단수(FNS)와 생육중기인 착협시부터 30일간 단수(BPS), 생육후기 인 입비대시부터 30일간(BSS) 토양수분 부족을 유발시켜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의 건물중은 FNS 단수처리시 감소율이 가장 컸으며, BPS와 BSS 단수처리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2. 엽록소 함량은 FNS와 BPS 단수처리시 처리종료 직후에는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수확기에는 회복이 되어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3. 한발처리 종료직후의 토양깊이별 뿌리 분포는 단수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지표면 가까이에서 분포되 었으며, 뿌리혹 수와 뿌리혹의 건물중은 BPS 단수처리시 감소가 가장 심하였다. 4. 개체당 협수, 개체당 입중 및 수양은 단수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BPS 단수처리시 감소율이 가장 심하였다.

  • PDF

시설재배지 염류집적 토양에 대한 추비 저감 처리가 토마토 수량 및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uced additional fertilizer on tomato yield and nutrient contents in salt accumulated soil)

  • 임정은;하상건;이예진;윤혜진;조민지;이덕배;성좌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423-42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duced nitrogen (N) and potassium (K) fertigation as additional fertilizer on tomato yield and nutrient contents in excessively nutrients-accumulated soil. Shoot and root dry weights (DW), dry matter rate for shoot, root and fruit and number of fruit in both AF50 and AF100 (50 and 100% levels of additional fertilizer) treatments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ose in AF0 (0% level of additional fertilizer) treatment. In case of nutrient uptake by tomato, nitrogen, phosphorous (P) and potassium contents in all tomato parts (leaf, stem, root and fruit) in AF50 and AF100 treatment were lower than those in AF0 treatment. On the contrary, soluble sugar and starch contents in all tomato parts in AF50 and AF100 were higher than those in AF0 treatmen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F0 and AF50 or AF100 in tomato growth, yield, nutrient level and contents of soluble sugar and starch. In contrast, the level and initiation point of fertig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arameters. Based on our results, the application of properly reduced level of additional fertilizer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roductivity of tomato and alleviate the nutrient accumulation in plastic film house soils.

대맥(大麥)에 대(對)한 입상용성인비(粒狀熔成燐肥)의 입도별(粒度別) 비효 (Effect of Granular Fused Magnesium Phosphate on Growth and Yield of Barley)

  • 이종호;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0-214
    • /
    • 1982
  • 입상용인(粒狀熔燐)의 입도차이(粒度差異)에 따른 비효를 검토(檢討)하고자 대맥(大麥)에 대(對)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대소입(大小粒)이 혼재(混在)되어있는 현(現) 제품(製品)의 용인(熔燐)은 소입용인(小粒熔燐)보다 1% 감수(減收)되었으나 유의차(有意差)는 없었다. 그러나 소입(小粒)(입경(粒經) 2mm이하(以下)) 용인(熔燐)은 대입(大粒)(2mm이상(以上))의 것보다 5% 증수(增收)되었다. 2. 소입비율(小粒比率)이 많은 용인(熔燐)일수록 대맥(大麥)의 뿌리 무게가 높았고 이삭수가 많았다. 한편 뿌리무게와 보리 수량(收量)과는 정(正)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었다.

  • PDF

참당귀(當歸) 추태년차별(抽苔年次別) 채종종자(採種種子)의 후대생육(後代生育) 및 수양(收量) (Growth and Root Yield in Progeny the Derived from Different Bolting Years in Angelica gigas Nakai.)

  • 유홍섭;이승택;김관수;김영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71-276
    • /
    • 1996
  • 참당귀(當歸) 추태년차별(抽苔年次別)로 채종(採種)한 종자(種子)의 후대생육(後代生育) 및 수량변화를 파악함과 아울러 종자(種子)의 최적(最適) 채종(採種)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을 근거로 한 초기생육(初期生育) 및 중기생육(中期生育)은 추태년차(抽苔年次)가 짧을수록 양호하였으며 , 후기(後期) 생육(生育)은 처리간(處理間)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2. 뿌리생육(生育)은 3년차(年次) 탐종종자(探種種子)에서 근장(根長), 근경(根徑), 건근중(乾根重)은 1, 2년차(年次)보다 다소 양호(良好)하며 특히 R/S률(率)이 높아 뿌리 발육(發育)이 좋았다. 3. 추태률(抽苔率)은 1년차(年次)38.1%, 2년차(年次)10.4%, 3년차(年次) 1. 2%로 3년차(年次) 탐종종자(探種種子)에서 가장 낮아 추대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3년차(年次) 채종이 적합하였다. 4. 10a당(當) 뿌리 수량(收量)은 1년차(年次) 채종종자(種子)에서 169kg으로 가장 낮았으며, 2년차(年次), 3년차(年次) 종자(種子)에서는 각각 287kg, 294kg으로 3년차(年次) 채종종자(採種種子)에서 가장 많았다. 4. 추선률(抽善率)은 중기생육시(中期生育時) 초장과 유의적인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수양(收量)은 추태률(抽苔率)과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여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The Effect of Wood Extract as a Water-Soluble Fertilizer in the Growth of Lactuca sativa

  • JUNG, Ji Young;HA, Si Young;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384-393
    • /
    • 2021
  • Recently, due to environmental and toxicity issues, there has been increasing attention on research regarding natural products that can reduce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Wood extracts derived from the biorefining process contain various fertilizer ingredients. HPLC analysis revealed that wood extract contains approximately 5.2% hemicellulosic sugar. The growth of lettuce (Lactuca sativa) upon treatment with wood extract (extract obtained from steam-exploded pine) or water-soluble fertilizers containing different nutrients was analyzed in this study. After two weeks,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ettuce as affected by wood extract or water-soluble fertiliz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effect of water-soluble fertilizers containing ascorbic acid, magnesium sulfate, citric acid, potassium nitrate, amino acids, or seaweed extract was less desirable than that of wood extracts regarding plant height (18.6 cm), number of leaves (10), leaf length (14.1 cm), shoot fresh wight (9.8 g/plant), root fresh weight (0.8 g/plant) and shoot dry weight (0.6 g/plant). The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shoot fresh wight, root fresh weight, shoot dry weight of water-soluble fertilizers containing wood extrac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control (plant height :13.5 cm, number of leaves : 7, leaf length : 9.4 cm, shoot fresh wight : 5.3 g/plant, root fresh weight : 0.7 g/plant, shoot dry weight : 0.4 g/plant, root dry weight : 0.07 g/plant).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wood extract can be used as a potential water-soluble fertilizer to increase the yield of leafy vegetables.

육성연대가 다른 보리 품종의 형태와 생리적 특성 및 수량성 비교 (Comparison of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Traits of Barley Varieties Bred Different Year)

  • 남윤일;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2-418
    • /
    • 1985
  • 육성연대가 다른 보리품종의 생리, 형태적 특성변화와 수량성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육종 및 재배법개선의 기초자료로 삼고져 보리 9품종을 2시비수준에서 재배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년에 육성된 품종들은 과거에 육성된 품종들에 비하여 엽록소함량, 엽신질소함량, 근활력, 근중, 비엽중(SLW) 및 순동화율이 높은 반면 엽면적지수는 낮았다. 2. 근년에 육성된 품종의 건물생산은 NAR보다 LAI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나 과거에 육성된 품종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3. 엽층의 분포가 신품종들은 상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과거에 육성된 품종은 중상부에 집중되어 있었다. 4. 수량과 상관이 높았던 요인들은 엽록소함량, 근활력, 순동화율, 엽신질소함량 등이었으며,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분석에서 엽록소함량, 근활력, 지상부건물중이 회귀식에 들어갔을 때 분산의 90% 정도가 되었다.

  • PDF

적심방법이 닥풀[Hibiscus manihot L.]의 주요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pping Methods on Yield and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in Hibiscus manihot L.)

  • 김상곤;김철우;정동희;권병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6-261
    • /
    • 1994
  • 닥풀의 재래종(칠리종)을 계통분리하여 얻은 34계통중 초형이 다른 대표적인 단경, 중경 및 장경의 3개계통에 대하여 적심방법에 따른 식물체 각 부위의 생육 및 수량의 변이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심처리(개화직전)때의 초형별 생육특성은 경장은 단경계통 24cm, 중경 37cm, 장경계통이 80cm로서 그 차이가 컸으며 개화기는 단경계통의 8월3일에 비하여 경장이 길수록 2∼3일 늦었고 꽃봉우리수도 단경계통의 5개에 비하여 중경 19, 장경 24개로 경장이 길수록 많았으며 분지수는 4∼5개, 주경절수는 10개 내외로 큰 차이가 없었다. 2. 닥풀의 주 이용부위인 생근수량은 초형별로는 장경일수록 많으며 기타 경중 및 삭중과 각 부위의 건물수량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3. 적심방법에 따른 생근수량은 어느 초형에서나 주경과 분지를 함께 적심한 구에서 가장 증수되었으며 화뢰적제구에서도 많은 증수를 보았으나 주경적심의 효과는 거의 없었다. 전체평균에서는 무처리구의 459kg/10a(100)에 비하여 주경 및 분지를 함께 적심한 경우 102%, 화뢰적제에서도 66%의 증수를 보였다. 4. 생체의 구성비율은 같은 초형에서는 적심방법 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초형간에 있어서는 지상생육량이 적은 단경계통의 생근중비율(전중대)이 약 40%로 가장 높고 생육량이 많은 중경, 장경계통일수록 낮은 경향이었다. 5. 뿌리의 건조비율(건근중/생근중)은 단경계통 이 31.6%인데 비하여 중경 38.1%, 장경계통은 40.2%로서 생근수량이 많았던 장경계통일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 PDF

작약(芍藥) 수확시기(收獲時期)에 따른 수량(收量) 및 Paeoniflorin 함량(含量)의 변화(變化) (Changes of Root Yield and Paeoniflorin Content affected by Harvesting Times in Peony(Paeonia lactiflora))

  • 김기재;박소득;박천홍;신종희;김재철;최부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8-63
    • /
    • 2000
  • 작약 식재후(植載後) 1년생은 일반관리법으로 재배하고 2년생부터 4년생 까지 3년간은 지상부 병해(病害)에 약제(藥劑)를 전혀 살포하지 않고 조기고사된 작약과 1년에 4회씩 3년간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정상생육한 작약을 7월 25일부터 10월 25일까지 한 달 간격으로 4회 수확하여 조사한 결과 약제무방제에 따른 조기고사의 경우 건근수량(乾根收量)이 7월 하순경에 일찍 수확한 것은 1,126kg/10a 로 10월 하순 수확 1,177kg/10a에 비해 차이가 없으면서 paeoniflorin 함량이 가장 높았고, 약제방제에 따른 정상생육의 경우 수확 시기를 조정하여 10월 하순에 늦게 수확하는 것이 paeoniflorin 함량은 7, 8월 수확보다 낮았지만 건근수량(乾根收量)은 1,650kg/10a로 7월 수확 1,242kg/10a 에 비해 33% 증수(增收)되었다. 따라서 고품질 다수확을 위해서 는 작약 지상부병해에 약제를 살포하지 않고 일찍 고사시킬 것이 아니라 약제방제를 철저히 하여 지상부 생육을 10월 하순까지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