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ry and fresh weight

Search Result 80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mbryogenic callus culture of Tribulus terrestris L. a potential source of harmaline, harmine and diosgenin

  • Nikam, T.D.;Ebrahimi, Mohammad Ali;Patil, V.A.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3호
    • /
    • pp.243-250
    • /
    • 2009
  • In the present study, a simple one medium formulation protocol for callus culture, somatic embryogenesis and in vitro production of ${\beta}-carboline$ alkaloids and diosgenin in Tribulus terrestris L. was developed. Extensive callus induction and proliferation was obtained in leaf explant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5.0{\mu}M$ 6 benzyl adenine (BA) and $2.5{\mu}M$ ${\alpha}-naphthaleneacetic$ acid (NAA). The embryogenic callus was maintained on subculture to fresh parental medium at 4-week intervals over a period of 28 months. The frequency of embryo formation was at a maximum ($18.1{\pm}0.9$ per g of callus) on MS medium containing $5.0{\mu}M$ BA and $2.5{\mu}M$ NAA together with $75mg\;1^{-1}$ casein hydrolysate. Globular embryo developed into torpedo stage embryo under the influence of starvation. The accumulation of ${\beta}-carboline$ alkaloids (harmaline and harmine) and steroidal saponin (diosgenin) in non-embryogenic and embryogenic callus culture derived from leaf explant was compared with root, leaf, stem, and fruit of the mother plant. The embryogenic callus accumulated equivalent amounts of harmaline ($66.4{\pm}0.5{\mu}g/g$ dry weight), harmine ($82.7{\pm}0.6{\mu}g/g$ dry weight), and diosgenin ($170.7{\pm}1.0{\mu}g/g$ dry weight) to that of the fruit of T. terrestris. The embryogenic callus culture of this species might offer a potential source for production of important pharmaceuticals.

시설내 환경조건이 원목재배 표고버섯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Growth and Quality of Log-cultured Oak Mushroom(Lentinus edodes(Berk) Sing) under Protected Cultivation)

  • 손정익;최원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0-165
    • /
    • 2005
  • 표고버섯의 생육과 품질은 환경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설재배에서는 생육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환경조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 하에서 야간 기온(무처리, $5{\~}11^{\circ}C,\;12{\~}18^{\circ}C$), 주간 상대습도(무처리, 6시간 및 12시간 가습), 풍속(무처리, 풍속 6시간 및 12시간 유지)에 대하여 버섯의 생체중, 건물중, 함수율, 갓의 직경, 두께, 착색도, 균병의 직경, 길이를 측정하였다. 야간 온도가 낮을수록 품질이 향상되었고, 생체중을 고려할 경우에 최저온도는 최저 생육온도 $3^{\circ}C$이상 $8^{\circ}C$ 이하가 적절하였다. 주간에 상대습도 ($70{\~}80\%$)를 계속 유지시키면 생체중은 증가하지만, 고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50{\%}$정도가 적절하였다. 6시간 이상의 평균 풍속($1{\~}2\;m{\cdot}s^{-1}$) 처리구에서 생육과 품질이 양호하였고, 12시간 지속될 경우, 증발에 의하여 생체중은 감소하였으나, L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고버섯의 수량과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은 쉽지 않지만, 수량과 품질에 관여하는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최적의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저온 조건에서 Spermine 처리가 딸기의 생육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ermine Treatment on Growth, Yield, and Quality of Strawberry under Low-Temperature Condition)

  • 이규빈;이정은;최윤의;박영훈;최영환;강남준;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5-202
    • /
    • 201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ermine treatment on the growth, yield and quality in strawberry under low-temperature condition, and thereby develop a chemical method to minimize damages by low temperature in greenhouse cultivation. Spermine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the growth of strawberry in terms of leaf number, leaf area, leaf length, leaf diameter, plant height and plant weight. The highest effect was observed in the 250 uM spermine treatment and the effect tended to be maintained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of 90 days.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s of spermine. Strawberry plants treated with 250 uM spermine showed higher fresh weight and dry weight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plants during the growth period. Fruit weight, fruit length and fruit diameter were relatively higher when treated with $100{\mu}M$ spermine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he fruit yield was the highest with 14 fruits per plant at $250{\mu}M$ spermine treatment and the coloration of the fruit was the best at this treatment with the Hunter a and b values of 46.56 and 28.75, respectively. The hardness of strawberry fruit tended to increase higher than 2N at $250{\mu}M$ and $500{\mu}M$ 250 uM spermine treatment. The sugar content of strawberries treated with $250{\mu}M$ spermine was $9.5^{\circ}$ Bx which was $1.6^{\circ}$ Bx higher compared to that in untreated control. However, spermine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acidity of fruit and it remained 0.68-0.76% regardless of treatment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rmine trea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strawberry fruit under abnormal low-temperature condition. The positive effect was the highest at $250{\mu}M$ spermine treatment and gradually decreased in the order of $100{\mu}M$, $500{\mu}M$, and untreated control.

Polyacrylic Acid Sodium Salt를 혼합한 세 종류 상토에 지효성 비료의 시비 수준이 포트-멈 'Lima Honey'의 생육과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cation Rate of a Slow-release Fertilizer in Three Media Containing Polyacrylic Acid Sodium Salt on Growth and Nutrient Contents of Potted Chrysanthemum 'Lima Honey')

  • 최종명;왕현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46
    • /
    • 2006
  •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pplication rate of a slow release fertilizer (SRF) in three root media, peatmoss+vermiculite (1:1, v/v; PV), peatmoss+composted rice hall (1:1, v/v; PR), and peatmoss+composted pine bark (1:1, v/v; PB), on growth and nutrient contents of potted chrysanthemum 'Lima Honey'. All media contained polyacrylic acid sodium salt at a rate of $4.5g L^{-1}$. The fresh and dry weights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each root media. Elevated application rate of SRF increased fresh and dry weights at 80 days after transplanting in PV and PB media, but not in PR medium. Elevated application rates of SRF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issue phosphorus content and decrease of tissue Ca, Na, and Zn contents at both 43 and 80 days after transplanting. Elevated application rates of SRF resulted in the decrease of pH and increase of EC and concentrations of ${NO_3}^-$ and ${P_2O_5}^{3-}$, K, Ca, and Mg in the soil solution of PV and PR media. The trends of those in PR media were also similar except ${NO_3}^-$. The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EC at 80 days after transplanting were less significant as compared to those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in three media.

왕도깨비가지 수용성 추출물의 제초 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Aqueous Extracts from Solanum viarum (Dunal))

  • 김태근;김현철;김대신;송진영;하영삼;강정환;우성배;송창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5-82
    • /
    • 2011
  • 본 연구는 왕도깨비가지(Solanum viarum Dunal) 군반 형성에 따른 하부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접식생법(belt-transect)을 이용한 종 다양성 변화와 제초제와 항균제에 대한 자원화방안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왕도깨비가지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알레로패시 효과를 조사하였다. 왕도깨비가지 군반에 근접할수록 1번 조사구($7.7{\pm}2.0$종, $1.5{\pm}0.2$), 2번 조사구($5.3{\pm}1.2$종, $1.2{\pm}0.2$), 3번 조사구($4.0{\pm}1.7$종, $0.9{\pm}0.1$) 순으로 출현종수, 종 다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조사지역의 토양 내 총 페놀 함량은 1번 조사구($0.16{\pm}0.01mg\;g^{-1}$), 2번 조사구($0.17{\pm}0.01mg\;g^{-1}$), 3번 조사구($0.22{\pm}0.02mg\;g^{-1}$) 순으로 증가되어 토양 내 총 페놀 함량과 조사지역의 종 다양도는 부의 상관(r = -0.692, P<0.05)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왕도깨비가지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검정식물의 상대발아율, 평균발아일수, 상대신장율, 생중량, 건중량은 추출액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반적으로 감소되었고 검정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수용성 추출액 동일 농도에서는 시료의 처리 상태에 따라 생전초, 건전초, 종자의 수용성 추출액 순으로 감소되었고 검정식물의 지하부가 지상부보다 억제의 경향이 높았다. 따라서 뿌리털의 발생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게 뿌리털의 길이와 단위면 적당 뿌리털 수가 감소되었다. 부위별 왕도깨비가지의 총 페놀함량은 줄기(생(生) $0.56{\pm}0.02mg\;g^{-1}$, 건(乾) $1.58{\pm}0.08mg\;g^{-1}$), 뿌리(생(生) $1.77{\pm}0.07mg\;g^{-1}$, 건(乾) $2.64{\pm}0.06mg\;g^{-1}$), 잎(생(生) $6.01{\pm}0.14mg\;g^{-1}$, 건(乾) $7.04{\pm}0.29mg\;g^{-1}$), 종자(생(生) $6.21{\pm}0.17mg\;g^{-1}$, 건(乾) $9.08{\pm}0.73mg\;g^{-1}$) 순으로 증가하고 유식물의 발아율, 유식물의 생장이 반비례함을 보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왕도깨비가지는 자생식물과의 경쟁함에 있어 알레로패시 효과를 나타내는 페놀 화합물을 초관하부 토양으로 방출하여 하부식생에 대한 발아 및 생장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천연제초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고추 일과중(一果重)의 구성요소(構成要素)에 대(對)한 유전(遺傳) (The Inheritance of Anatomical Components in Red Pepper)

  • 최순호;김은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12-17
    • /
    • 1986
  • 고추 육종(育種)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342{\times}$김장고추, 馬山${\times}$Hungarian wax 그리고 마산(馬山)${\times}$제주(濟州) 등(等) 3조합(組合)의 친(親), $F_1$, $F_2$ 그리고 $BCF_1$ 세대(世代)에 대(對)해 적숙(赤熟)된 과실(果實)을 수집(收穫)하여 1생(生) 건과중(乾果重)을 구성(構成)하는 형질(形質)들의 잡종강세(雜種强勢), 유전성분(遺傳成分) 및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平均) Heterosis는 거의 모든 형질(形質)에서 정(正)의 값을 나타내었고 평균(平均) Heterobeltiosis는 $342{\times}$김장고추조합(組合)을 제외(除外)하고는 거의 부(負)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근교약세(近交弱勢)도 정(正)의 값을 보여 $F_2$에서의 무게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질발현(形質發現)에는 각(各) 조합(組合)의 형질(形質)에 따라 중복적(重複的) 혹(或)은 보족적(補足的)으로 상위성(上位性)이 작용(作用)하였으며 $F_2$에서 과중(果重)과 과육중(果肉重)은 광의(廣義) 및 협의(狹義)의 유전력(遺傳力)이 높았으며 기타형질(其他形質)은 전반적(全般的)으로 낮았다. 각(各) 과중구성요소간(果重構成要素間)의 형질상관(形質相關)은 생(生) 건과중(乾果重)에서 모두 정(正)의 유의(有意)한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Tuber quality of Ashwagandha (Withania somnifera Duanal) affected by different growth conditions

  • Kaliyadasa, Ewon;Jayasinghe, Lalith;Peiris, Sriyani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51-161
    • /
    • 2019
  • Ashwagandha (Withania sominifera Duanal) is an important medicinal herb with increased demand after discovering its anti-stress and sex stimulating properties that are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biologically active alkaloid compoun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a proper agro technological package that ensures the optimum growth of Ashwagandha to obtain the finest quality without degrading the pharmac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Mixtures of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s were combined with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ed as four different treatments in this study.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tubers were recorded up to 12 months starting from two months after sowing (MAS) while the shoot height, root length, number of leaves,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hoot and the root with a shoot ratio of up to 6 MA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rowth of Ashwagandha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method of planting, type of fertilizer or their combinations during most of the harvests. However, tubers harvested at 6 MAS had the highest recorded dry tuber weight per plant in all four treatments compared to the early harvests where two direct seeded treatments had the best results. Comparison of the phytochemical compounds showed that direct seeding with organic fertilizer had the highest recorded values for alkaloid and withaferine A contents with a lower percentage of fiber compared to the treatments with inorganic fertilizer. In conclusion, direct seeding with organic fertilizer and tubers harvested at 6 MAS are recommended as the best cultivation conditions and harvesting stage to obtain high quality tubers of Ashwagandha, respectively.

자운영 수집종의 생육 및 사료생산특성 (Forage Productivity of Collected Chinese Milkvetch Varieties)

  • 성락춘;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11
    • /
    • 1991
  • 본 시험은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의 월동과 사료생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남양주 군에 있는 고려대학교 실험농장에서 실시되었다. 수집종 논산, 임실, 장흥, 청남, 중산 및 도입종 PI 241587을 노지와 vinyl mulching 처리조건에서 월동시켜 재배 시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Vinyl mulching 처리효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자운영 품종들의 평균 월동률은 노지조건에서 88%였다. 생초중과 건초중은 5월 6 일과 5월 21일 예취 모두 논산과 임실이 높았다. 노지조건에서 자운영 품종들의 10a당 평균 생초수량은 5월 6일 예취는 1,583 kg이었고 5월 21 일에는 4,017kg이었다. 건초의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5월 6 일 예취는 21.3%였고, 5월 21일 예취에서는 19.2%였다. 그러나 5월 6일 예취된 건초의 평균 조섬유 함량이 5월 21일 예취에 비하여 낮았다.

  • PDF

인삼식물의 종자발육 과정에 있어서의 생리화학적 연구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Seed Development in Ginseng Seed)

  • 양희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7권
    • /
    • pp.115-133
    • /
    • 1974
  • 인삼 종자의 결실과 최아과정중에서 일어나는 물질대사의 기본적 소인을 알고저 화기형성초기로부터 개화기까지, 결실초기부터 홍숙기까지, 그리고 최아과정중 화학성분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1. 화뢰에서는 감수분열기 이전까지 신선중, 건물중, 회수화물, 질소화합물의 변동은 그리 크지 않으며 TCA가용성인, 특히 유기태인의 증가와 현저하였다. 2. 감수분열기로부터 소포자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 신선중, 건물중이 급격히 증가되고 전질소량이 증가하는데 불용성 질소구분은 이 시기부터 그 량이 늘어나 단백질이 합성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불용성 질소가 전질소의 62∼7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가용성 당분이 급격하게 증가되어 환원당, 비환원당이 모두 증가하나 전분의 증가는 볼 수 없고, 전인에 대한 TCA가용성인이 85.4%, TCA불용성인이 14.6%로 화뢰성장중 각각 최고, 최소치를 나타내고 있다. 3. 화분성숙기 이후와 개화기에서 특히 건물중의 증가가 현저하고 불용성질소도 계속 증가되어 총질소의 67%에 이른다. 또한 두드러진 유기태인의 저하와 갑작스런 조전분의 증가를 볼 수 있고 무기태인량이 유기태 인량을 능가하게 된다. 4. 결실기부터 홍열기까지에 있어서는 신선중량의 90%가 결실 후 3주간에 증가하는데, 1) 전질소량은 7배로 증가되었고 성숙되어 갈수록 전질소에 대한 불용성질소의 량이 커져서 65%에서 80%이상으로 상승되고 한편 가용성질소의 비율은 35%에서 20%이하로 저하되었다. 2) 전인산량도 8배로 증가되는데 홍숙이 시작되는 시기에 최고에 이르고 이때에 전인산에 대한 TCA가용성인의 비율도 가장 커서 90%에 이른다. 유기태인도 홍숙이 시작될 때까지 29배나 증가되며 지질태인, 핵산태인, 단백태인이 모두 증가되고 있다. 3) 회수화물의 증가는 신선중의 증가와 유사한데결실한지 3주 후에 최고량에 달하고 그 후는 사실상 증가하지 않으며 가용성당도 3주 후에 최고에 달했다가 일시 감소하며 홍숙기에 약간 증가하나 먼저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며 조전분은 점차 증가되어 홍숙되기 일주 전에 최고량에 달하나 전 건물량의 2.36% 밖에 되지 못한다. 회수화물중 가용성당이 차지하는 비율이 훨씬 크며 완숙기에서는 가용성당분중 약80% 이상의 비환원당으로 되어 있어 인삼 종자의 주요 회수화물을 이루고 있다. 4) 한편 완숙된 종자의 배란중에는 60% 이상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 인삼 종자의 저장물질은 단백질이나 회수화물이기 보다는 주로 지방이다. 5. 최아조작중에는 배가 11월중순의 파종기까지 4.2∼4.7mm로 발육하며 충분히 흡수하여 50∼60%에 이르고, 저장지방, 단백질, 전분이 가수분해하여 가용화되고 당분, 무기태인, 인지질, 핵산태인, 단백태인과 가용성질소의 증가를 보이고 있어 세포내용물의 전이가 일어나 발아에 필요한 물질을 축적하고 있다.

  • PDF

무기적(無機的) 환경요인(環境要因)이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I) - 파종상(播種床)에 있어서의 피음처리(被陰處理) 영향(影響) - (Effect of Inorganic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 (I) - The Influence of Shading on the Growth of Seedlings Grown on the Seed Bed -)

  • 김영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3권1호
    • /
    • pp.43-54
    • /
    • 1986
  • 파종상(播種床)에서 피음처리(被陰處理)를 행(行)한 잣나무 유묘(幼苗)의 상대광도별(相對光度別) 생장관계(生長關係)를 분석(分析)하였던 바 기(其)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장생장(伸長生長)에 있어서 지상부(地上部)는 상대광도(相對光度) 37% 구(區)에서, 그리고 기외(其外)의 기관(器官)은 100% 구(區)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광도(光度)가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 묘장(苗長), 직경생장(直徑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기여율(寄與率) 93%, 26.2%, 21.4%. 48.7%였다. 2) 엽령(葉令)에 따라 엽속(葉束) 및 엽장(葉長)의 변화(變化)는 크게 나타났다. 엽속(葉束)은 1년생(年生)의 경우 광도(光度)가 높을수록, 그리고 2년생(年生)은 상대광도(相對光度) 37% 구(區)에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엽장(葉長)은 각(各) 처리간(處理間)에 큰 차(差)가 없었다. 이때 광도(光度)가 미치는 엽속(葉束) 및 엽령(葉令)에 대(對)한 기여율(寄與率)은 각각(各各) 39%, 27.8% 였고 엽장(葉長)은 2.5%였다. 3) 중량생장(重量生長)은 상대광도(相對光度) 100% 구(區)에서 가장 컸으나 점차 광도(光度)가 낮아짐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광도(光度)가 미치는 기여율(寄與率)은 생중량(生重量) 및 건중량(乾重量)의 경우 38%와 7.6%였고, 엽건중량(葉乾重量)은 13.18%로 나타났다. 4) T/R 율(率)은 상대광도(相對光度)가 점차 낮아 질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이때 광도(光度)가 T/R율(率)에 미치는 기여율(寄與率)은 7.0%였다. 5) 엽건중량(葉乾重量)과 타기관(他器官)의 생장량간(生長量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고 이들간에는 직선회귀(直線回歸) 관계(關係)에 있음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