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and fresh weight

검색결과 801건 처리시간 0.031초

Studies on Mycological Status of Salted Fish "Moloha" in Upper Egypt

  • Youssef, M.S.;Abo-Dahab, N.F.;Farghaly, R.M.
    • Myco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66-172
    • /
    • 2003
  • Chemical analysis of salted fish was analyzed in 60 samples collected from various moloha markets in Sohag, Qena and Aswan Governorates, Upper Egypt. Moloha contained 52.9% water content, while organic matter content represented 71.79% of dry weight and 33.81%($338.12{\pm}8.64mg\;g^{-1}$) of fresh weight. Total salts and soluble salts represented 13.29% and 10.19%($132.88{\pm}7.65\;and\;101.93{\pm}5.76mg\;g^{-1}$ of fresh weight), respectively. pH values were more or less neutral. Mycological investigation of examined samples revealed that fifty-five fungal species and one variety belonging to 11 genera were identified. The fungal genera of highest occurrence and their respective number of species were Aspergillus(A. flavus, A. niger, A. fumigatus, A. montevidensis, A. ficuum, A. parasiticus and A. mangini) and Penicillium(P. citrinum, P. puberulum, P. aurantiogriseum and P. roquefortii). On the other hand, yeast represented 18.2% and 3.0% of total counts of fungi on Czapeks-dextrose agar and 15%NaCl-Czapeks-dextrose agar media, respectively. Samples were assayed for potential presence of mycotoxins. Ten out of 60 samples(16.7%) were proved to be toxic. It is the first record of mycotoxins contamination of salted fish in Egypt. The ability of 340 isolates of recovered fungi was screened for production of mycotoxins and extracellular enzymes.

대두종자(大豆種子)의 대소(大小)가 초기생육(初期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Seed Size on the Early Seedling Growth and Yield of Three Soybean(Glycine max. L.) Cultivars)

  • 박기선;최창렬;강재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38-151
    • /
    • 1989
  • In order to find the effects of seed size on the early seedling growth and yield of soybean, three soybean cultivars in Korea were investigated. Seed size was classified into large and small according to the weight and planted in pots(1/5000a) and in the field. Three soybean cultivars respresenting large, medium and small grains were Hwangkeum-kong, Kwangkyo and Bangsa-kong respectively. These cultivars were planted on June 20, 1987. 1. The plant height, stem diameter, root length and leaf area index(LAI) of the seed with large size seemed larger than the seed with small size regardless of cultivars. 2. The fresh and dry weight were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grain sizes. The large grain had heavier fresh and dry weight than the small grains. 3. The protein consumption rate of the cotyledon of Bangsa-kong with small grain size was faster than the Hwangkeum-kong with large grain size. 4. The stem length, stem diameter and number of main stem node of the seed with large size seemed larger than the seed with small size. Large grains of Hwangkeum-kong were the highest in the number of branch node and number of node. 5. The number of pods and grains per plant of Bangsa-kong with small grain size was larger than the Kwangkyo with large grain size. 6. The yield per 10a for Hwangkeum-kong, Hwangkyo and Bangsa-kong were 226.3kg, 193.0kg and 192.8kg, respectively and they were all statistically different. The yield increases of large grains over small grains in the Hwangkeum-kong, Kwangkyo, and Bangsa-kong were 7.4%, 8.0% and 9.2%, respectively.

  • PDF

NaCl 스트레스가 토마토, 고추, 가지의 생육, 광합성 속도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Mineral Uptake of Tomato, Red Pepper and Egg Plant in Pot Culture)

  • 강경희;권기범;최영하;김회태;이한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3-138
    • /
    • 2002
  • 본 실험은 가지과 작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생장 특성 및 생리적 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육단계에 따라 NaCl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초장, 생체중 등 생육은 유묘기 및 영양 생장기 모두 NaCl 농도가 높을수록 모든 작물에서 억제되었다 특히 토마토 및 가지에서는 NaCl 40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20mM 이상에서 작물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다. 수량은 토마토 및 가지에 서는 NaCl 20 mM 이상에서, 그리고 고추에서는 10 mM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수량감소는 낮은 농도에서는 착과수의 감소에, 그리고 농도가 높을수록 착과수의 감소와 더불어 평균과중의 감소의 영향이 컸다. 광합성 속도는 NaCl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고추가 가장 낮았고, 토마토, 가지 순으로 낮았다. 잎의 수분포텐셜과 기공 전도도도 광합성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경엽의 무기 양분 함량에서는 질소, 인산,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함량은 NaCl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Na 및 Cl 함량은 증가하였다.

Effectiveness of Rhizobacteria Containing ACC Deaminase for Growth Promotion of Peas (Pisum sativum) Under Drought Conditions

  • Zahir, Z.A.;Munir, A.;Asghar, H.N.;Shaharoona, B.;Arshad, 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958-963
    • /
    • 2008
  •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rhizobacteria containing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ACC) deaminase for growth promotion of peas under drought conditions. Ten rhizobacteria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different crops (peas, wheat, and maize) were screened for their growth promoting ability in peas under axenic condition. Three rhizobacterial isolates, Pseudomonas fluorescens biotype G (ACC-5), P. fluorescens (ACC-14), and P. putida biotype A (Q-7), were selected for pot trial on the basis of their source, ACC deaminase activity, root colonization, and growth promoting activity under axenic conditions. Inoculated and uninoculated (control) seeds of pea cultivar 2000 were sown in pots (4 seeds/pot) at different soil moisture levels (25, 50, 75, and 100% of field capacity). Results revealed that decreasing the soil moisture levels from 100 to 25% of field capacity significantly decreased the growth of peas. However, inoculation of peas with rhizobacteria containing ACC deaminas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rought stress imposed effects" on growth of peas, although with variable efficacy at different moisture levels. At the lowest soil moisture level (25% field capacity), rhizobacterial isolate Pseudomonas fluorescens biotype G (ACC-5) was found to be more promising compared with the other isolates, as it caused maximum increases in fresh weight, dry weight, root length, shoot length, number of leaves per plant, and water use efficiency on fresh and dry weight basis (45, 150, 92, 45, 140, 46, and 147%, respectively) compared with respective uninoculated controls. It is highly likely that rhizobacteria containing ACC deaminase might have decreased the drought-stress induced ethylene in inoculated plants, which resulted in better growth of plants even at low moisture levels. Therefore, inoculation with rhizobacteria containing ACC deaminase could be helpful in eliminating the inhibitory effects of drought stress on the growth of peas.

당근(Daucus carota L.) 세포 배양시 세포의 크기, 밀도, Conditioned 배지 및 pH가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ell Size, Density, Conditioned Media and pH on Carrot (Daucus carota L.) Cell Embryogenesis)

  • 백기엽;이철희;황주광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141-148
    • /
    • 1985
  • 당근(Daucus carota L.) 세포 배양시 무성배 발생에 미치는 세포의 크기, 세포의 밀도, conditioned medium및 배지의 pH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포배양시 구상형 배의 발생은 배양 4일째 최대에 달했으며 그 이후부터는 심장형 및 어뢰형 배로 발달되었다. 세포의 밀도가 높을수록 배 발생수가 증가하였으며 MS배지보다는 conditioned medium에서 양호하였고 배의 발달도 촉진되었다. 세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생체중 및 배의 형성수가 증가하였으며 9o$\mu\textrm{m}$이상의 세포에서는 현저히 억제되었다. 배지의 pH가 4.0 혹은 7.0일때는 세포의 건물중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배의 발생도 억제되었다. 그러나 pH 6에서 건물중이 최대에 달하였고 배의 발생도 양호하였다.

  • PDF

육묘 기간에 따른 고추 묘의 소질과 정식 후 생육 및 수량 (Seedling Qualities of Hot Pepper according to Seedling Growth Periods and Growth and Yield after Planting)

  • 김호철;조윤희;구양규;배종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839-844
    • /
    • 2015
  • 본 연구는 고추 묘의 소질과 정식 후 생육 및 수량에 대한 육묘 기간(45, 55, 65, 75일 및 85일)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육묘 기간에 따라 정식 전 고추 묘의 초장, 마디수 및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은 육묘 기간이 긴 묘일수록 높았고, T/R율은 45일 및 85일 묘에서 높았다. 육묘 기간에 따라 생산된 고추 묘의 정식 후 10주째에 초장, 경경, 엽면적은 45일 및 55일 묘에서 뚜렷이 높았다. 식물체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45일 묘에서 무거웠지만, 건물률은 가장 낮았다. 착과된 과실의 수 및 무게는 45일 묘에서 가장 높았다. 정식 후 18주 동안 성숙과 수확량은 45일 및 55일 묘에서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하면 고추의 생육 및 상품과 생산량은 45일과 55일 묘에서 좋았다. 그러므로 노지 재배 시 고추 묘의 육묘 기간은 45일에서 55일 사이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키토산 처리에 의한 크리핑 벤트그래스(Agrotis palustris H.)의 생장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Growth Responses of Creeping Bentgrass (Agrotis palustris H.))

  • 윤옥순;김수봉;김광식;이준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7-174
    • /
    • 2006
  • 키토산 처리에 의한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엽장은 무처리 평균은 25.1cm로 확인되었고, 키토산 500배 처리 시 평균 31.6cm로 가장 높은 생육증가를 나타내었다. 엽수는 무처리 시 평균은 27.9매로 나타났고, 키토산 300배 처리 시 45.5 매로 증가하였다. 뿌리길이는 무처리에서 21.1cm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키토산 600배 처리 시 27.9cm로 뿌리 길이의 생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 시에서 $11.9mg/100cm^2$로 나타났고, 키토산 300배 처리에서 $18.4mg/100cm^2$로 최대 증가를 나타내었다. 뿌리길이의 생장, 엽록소 함량,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키토산 500배 처리 농도에서 가장 높은 생장 특성을 나타냈다.

성숙정도에 따른 풋찰옥수수의 수분, 전당함량 및 맛의 변화 (Maturity Effects on Moisture, Total Sugar Contents and Flavor of Fresh Waxy Corn)

  • 강영길;차영훈;김수동;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0-73
    • /
    • 1988
  • 풋찰옥수수의 수확적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4년 수원과 청주에서 홍천재래을 공시하여 출사(수원에서는 수분)후 15일부터 40일까지 5일 간격으로 6회에 걸쳐 수확하여 종실의 발육, 수분 및 전당함량, 삶은 옥수수의 맛, 찰기, 경도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장과 입폭은 출사후 15일부터 30일까지 크게 증가하였고 그 후 다소의 증가에 그쳤으며 입후는 출사 20일 이후 거의 증가되지 않았다. 2. 생체 100립중은 출사후 30일까지 크게 증가된 반면 그 후에는 다소의 증가에 그치였고 건물 100립중은 출사후 15일부터 40일까지 거의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3. 종실의 수분함량은 성숙정도가 진전됨에 따라 직선적인 감소를 보였다. 전당함량은 출사후 20일에 가장 않았고 그 후 감소되었다. 4. 맛과 찰기는 출사후 15일부터 30일까지 크게 증가되었고 맛은 그 후 감소되었으나 찰기는 출사후 35일까지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가 그 후 다소 감소되었다. 식용에 알맞는 경도는 출사후 30∼35일 이었다.

  • PDF

남부지방에서 염주, 율무, 옥수수,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의 사료생산성에 관한 연구 (Forage Productivity of Job′s Tears, Adlay, Corn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in Southern Part of Korea)

  • 이석순;정근기;배동호;김병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79-385
    • /
    • 1983
  • 옥수수 흑조위축병의 이병이 심한 남부평야지에서 사일리지 옥수수의 대체 작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율무 2품종, 염주 2품종,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 1품종(Pioneer-988), 옥수수 1품종(광옥)을 공시하여 사료생산성을 검토하고 또 조사료생산에 알맞는 율무와 염주품종의 생육특성을 비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발로 인하여 발아가 지연되어 파종에서 출현까지 일수는 율무와 염주는 30-34일,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은 18일, 옥수수는 19일이 소요되었다. 2. 생체수량은 율무와 염주를 개화후 40일에 1회 예취한 것과 개화기마다 2회 예취한 것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건물수량 및 가소화건물생산량은 개화후 40일에 1회 예취한 것이 2회 예취한 것보다 많았다. 3. 개화후 40일에 1회 예취한 율무 및 염주의 건물수량은 3회 예취한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과 차이가 없었으나 옥수수보다는 건물수량이 높았으며 2회 예취한 율무 및 염주의 건물수량은 옥수수 보다 낮았다. 가소화건물생산량은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이 가장 높고, 옥수수, 염주품종 1의 1회 예취가 그 다음이며 2회 예취한 율무와 염주의 가소화건물생산량이 가장 낮았다. 4. 율무와 염주의 초기생육 및 예취후 재생력은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보다 현저히 낮았다. 5. 옥수수는 대부분이 흑조위축병에 이병되었고 간장, 수장, 수중, 건물수량 등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6. 율무와 염주 품종 중 사료생산에 알맞는 것은 포가 두껍고 종자가 구형인 염주품종이었으며 초장이 크며, 간경이 굵고, 엽신폭이 넓고, 생초 및 건물수량이 높고 엽신이 총건물중에 차지하는 비율이 커서 조사료생산에는 타 율무 및 염주품종보다 우수하였다. 7. 조곡수량은 율무 및 염주의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염주 품종은 포가 두꺼워 정곡/조곡 비율이 현지히 낮아 정곡수량은 율무품종이 염주품종보다 현저히 높았다.

  • PDF

부산물 석고를 이용한 잔디 품질 개선 (Turf(Zoysia japonica L.) Quality Enhancement with By-product Gypsum)

  • 김계훈;홍숙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56-63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by-product gypsum(phosphogypsum, PG) application on enhancement of turf quality. For the first experiment, 10 ton $ha^{-1}$ PG was applied to 1m${\times}$10m (width${\times}$length) Plots with 4 replicates on a sloping area of fairway where turf(Zoysia japonica L.) was grown. Both top- and sub-soil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were analyzed for pH, EC(e1ectrica1 conductivity), Ca and Mg contents. At the same time when soil samples were collected, specific color difference sensor value(SCDSV) that represented chlorophyll contents, fresh and dry weight of the turf were determined to find out the effect of PG treatment on turf growth. SCDSV of turf from PG treated plots measured at 98 and 147 days after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control. Considering higher fresh and dry weight of leaf per unit area from PG treated plots than that from control, it was concluded that the elevated Ca and S level of the PG treated plots resulted in vigorous leaf growth of turf. For the second experiment 2, 5 and 10 ton $ha^{-1}$ PG were applied to 1m${\times}$10m(width${\times}$length) Plots with 3 replicates at a closer location as was used for the first experiment to find out the appropriate PG application rate. Before and after treatment soil and plant samples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by the same way as the first experiment. The pH of all the soil samples collected from PG treated plots at 38 days after treatment was lower than that from control. This trend changed as time passed. However, the pH of the soil from 10 ton $ha^{-1}$ PG treated plot was lower than that from control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second experiment. SCDSV, fresh and dry weight of leaf from PG treated plots at all 3 rates were higher than those from control for the second experiment. PG application to turf will be beneficial for both mass consumption of by-product gypsum and enhancement of turf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