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ver for consumer acceptabilit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사과의 이상적인 크기와 소비자 기호도 결정인자 분석 (Identification of ideal size and drivers for consumer acceptability of apple)

  • 정희연;김상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18-626
    • /
    • 2014
  •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사과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국내의 주된 사과 2품종(일반후지, 로얄후지), 6크기별(3D : 30~39개/15 kg; 4D : 40~49개/15 kg; 5D : 50~59개/15 kg; 6D : 60~69개/15 kg; 7D : 70~79개/15 kg; 8D : 80~89개/15 kg), 총 12사과시료에 대한 이화학 특성분석 및 소비자검사를 수행하였다. 사과의 이화학적특성분석 결과 일반후지 품종이 로얄후지 품종에 비해 pH, 껍질의 색도 a값(붉은 정도)는 낮고 경도, 산도, 당도, 과육의 색도 b값(노란 정도)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사과의 특성은 본 실험에 사용된 사과보다 사과향, 사과맛, 신맛, 경도, 아삭거림성, 다즙성이 높았으며, 이상적인 사과의 크기는 4D~5D사이로서 한 개당 254 g~375 g 사이의 무게를 지닌 사과였다. 전반적으로 로얄후지에 비해 일반 후지의 기호도가 더 높았다. 기호도 항목(외관, 향, 맛, 조직감)중, 사과의 전반적인 기호도에 가장 상관이 높았던 항목은 맛의 기호도였으며, 조직감, 향, 외관의 기호도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와 외관 기호도간 낮은 상관계수는 외관 기호도만 독립적으로 평가한 본 실험 방법에 일부 기인하였다고 사료되며 이에 대한 확인을 위해 향후 시료제시방법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소비자들은 외관면에서 윤기 및 붉은색이 강한 큰 사과를 좋아하였으며, 외관에 대한 정보 없이 일정한 크기의 과육만을 제공하여 평가한 소비자 기호도와 상관이 높은 이화학특성은 사과 상부의 껍질 및 과육의 색도 b값(각각 r=0.794, r=0.737), 과육의 경도(r=0.784), pH(r=-0.730)이었으며, 감각특성으로는 사과맛(r=0.984), 아삭거림성(r=0.860), 씹는동안 질김성(r=0.843), 경도(r=0.814), 다즙성(r=0.771), 단맛(r=0.761)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후지사과의 특성은 중간크기(4D>, >5D)의 사과특유의 맛 및 단맛이 강하고, 아삭거림성, 씹힘성, 경도 및 다즙성이 높으며, 객관적으로는 pH가 낮고, 당도($^{\circ}Brix$)가 높고, 과육이 단단하며, 진한 노란(b value)색의 과육임을 보여주었다.

데치는 시간에 따른 시금치나물의 교차 문화적 소비자 기호도 (Cross-cultural Consumer Acceptance of Cooked Spinach ($Sigeumchi-namul$) according to Blanching Time)

  • 양정은;정서진;김행란;김광옥;정라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0-198
    • /
    • 2012
  • This research evaluated and analyzed the level of acceptability of spinach according to blanching time by testing consumer taste of corresponding countries for the purpose of globalizing Korean food. General taste, appearance, flavor, and texture of spinach blanched for 20 seconds were highly evaluated by Koreans and Japanese ($p$<0.05), who are used to the method of slightly blanching, mixing, and eating spinach. On the other hand, general taste, appearance, flavor, and texture of spinach blanched for 5 minutes was highly evaluated by the French ($p$<0.05), who are used to eating boiled spinach. Concerning the result of JAR,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hardness and boiling level according to country among spinach samples, even though they were blanched for the same time and mixed with the same spices. Koreans and Japanese evaluated that hardness and boiling level of spinach blanched for 20 seconds were proper, whereas the French evaluated that spinach scalded for 20 seconds was too raw and crispy. Under the same context, French consumers evaluated that hardness and boiling level of spinach blanched for 5 minutes was proper, whereas Koreans and Japanese evaluated that spinach blanched for 5 minutes was boiled too much. These results show that familiarity level is an important driver of affecting the preference levels for three kinds of spinach according to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