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ed root yield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증포 삼채뿌리 메탄올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team-Dried Allium hookeri Root)

  • 전현일;양재헌;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25-1731
    • /
    • 2016
  • 증포처리가 삼채뿌리 메탄올추출물의 항산화 성분(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갈변물질, 함황화합물) 및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SOD 유사 활성, 환원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증포 횟수가 2회에서 4회로 증가함에 따라 생 삼채뿌리보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각각 2.1배와 2.3배 증가했으며 갈변물질도 파장에 상관없이 유사한 경향이었다. 반면 함황화합물은 alliin이 각각 159.2배와 479.9배, cycloalliin이 각각 1.9배와 1.7배 감소하였다. 생 및 증포 삼채뿌리 메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의 $EC_{50}$ 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0.43~1.81 mg/mL,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7.53~13.71 mg/mL, SOD 유사 활성은 0.34~3.23 mg/mL, 환원력은 2.20~8.38 mg/mL로 증포처리에 의해서 생 삼채뿌리보다 $EC_{50}$ 값이 감소하였다. 항산화 성분과 각 항산화 활성에 대한 $EC_{50}$ 값의 결정계수($R^2$)는 0.82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어 강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증포처리는 삼채뿌리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인 가공방법으로 판단된다.

유기질 퇴비 시용이 황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Compost on Growth and Yield in Scutellaria baicalensis)

  • 김명석;최진경;김희권;정병준;방극필;김정근;박민수;안영섭;김영국;박충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8-172
    • /
    • 201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organic compost on the growth and root yield of Scutellaria baicalensis G. with organic cultivation from 2008 to 2009. Four organic compost were used ; Rice bran compost (RC : 1.1-3.6-1.4), Wheat bran compost (WC: 1.1-3.4-1.4), Hangawi compost (HC : 3.7-4.0-1.0), Cheonnyeonjigi compost (CC : 12.4-3.4-5.4) and Fermented chicken droppings compost (FC : 2.9-6.1-3.2).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and $K_2O$ of soil increased in all plots with the addition of organic compost, specifically in HC, CC and FC application. Treatment of HC, CC and FC application increased emergence rate and improved the growth characters of shoot, root parts of plants compared to those of RC application. Subterranean part yields by different organic compost was high 149~156 kg per 10a as by growth increment of dried root yield. length of main root and diameter of main root. respectively, 17.4~18.4 cm, 12.65~12.94 mm from HC, CC and FC applica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characters of shoot, root parts of plants, dry root yield in Scutellaria baicalensis G. grown under organic compost application.

황금의 맥후작 직파 재배 연구 (A Study on Direct Sowing Culture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Cultivated after Barley)

  • 권병선;신종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1년도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49-61
    • /
    • 2001
  • 남부지방에서 황금의 맥후작 직파재배시 적정시비량, 파종기, 재식밀도를 구명하여 재배기술을 개선, 보완하고 수량을 증대시켜 안정생산에 기여하고자 여천 재래종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무비구(N-p,0,-K,0=0-0-0kg/kg10a)의 개화기 7월 20일에 비하여 모든 시비구가 7월 21일~23일로 1 ~2일 늦게 개화하였다. 2. 생육형질인 경장, 경태, 분지수, 주근장, 주근경 생경엽중, 건경업중은 무비 구에 비하여 모든 시비구가 양호하였으나 중비구(N-p,0,-K,0=9-13.5-9kg/10a)에서 더욱 양호하였다. 3. 수량형질인 건근중은 무비구보다 모든 시비구가 양호하였으나 그 중에서 중비구(N-p,0,-K,0=9-13.5-9kg/10a)에서 103당 건근중이 178kg으로 무비구의 126kg에 비하여 41%가 증수되었고 표준시비구(N-p,0,-K,0=6-9-6kg/10a)의 167kg에 비해서는 7%가 증수되었다. 4.출아 소요기간에 있어서 6월 1일 파종은 6월 12일로 11일이 소요되었고 6월 10일 파종은 6월 16일로서 6일이 소요되었으며 6월 20일 파종은 6월 23일로서 3일이 소요되었다 5.개화 소요기간에 있어서 6월 1일 파종은 54일이 경과되어 7월 24일에 개화되었고 6월 10일 파종은 45일이 경과되어 7월 25일에 개화되었으며 6월 20일 파종은 37일이 경과되어 7월 27일에 개화되었다. 6.지상부의 생산물인 주경장, 주경경, 주경절수,분지수 및 건경엽중 모두 6월 1일 파종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7 지하부의 생산물인 주근장, 주근경, 주당상근수 및 건근중 모두 6월 1일 파종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8. 경장은 20$\times$10cm의 밀식 일수록 크고, 30$\times$10cm, 40$\times$10cm의 소식일수록 짧아서 재식주수와 경장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다. 9 경직경은 30$\times$10cm, 40$\times$10cm의 소식일수록 크고 20$\times$10cm의 밀식일수록 작았다 10. 수량구성요소인 주근장과 수량인 건근중은 30$\times$10cm, 40$\times$10cm의 재식주수가 적을수록 높아서 재식주수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11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경직경이 크고 주근장이 길어서 10a당 건근중이 많은 30$\times$10cm(33주/$m^2$)가 알맞은 재식거리였다.

  • PDF

백부자 Aconiti koreani Rhizoma의 성분연구 (The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Baek-bu-ja, Aconiti koreani Rhizoma)

  • 한대석;김정연
    • 생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9-40
    • /
    • 1971
  • An alkaloidal component was extracted from the root of Aconitum koreanum R. $R_{AYMOND}$ of the commercial origin. Crude extract was obtained in ca. 2% yield out of dried root with ether-methanol (10:1). White amorphous compound was precipitated out from the HCl solution upon the addition of ammonia water, and crude base was obtained by extraction of its mother liquid with chloroform. This crude base was purified by the alumina-column chromatographic method. A pure alkaloidal component(500mg) was yielded from its crude base. Its pure base comes as needle crystals melting at $250{\sim}252^{\circ}C$ (decomp.), $[\alpha]^{20}_D$ D+9.82 (methanol) and Anal. calcd. for $C_{19}H_{27}O_{8}N$.

  • PDF

국내 육성 품종별 숙지황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pared Rehmannia Root with Four Domestic Cultivars)

  • 김예진;한신희;마경호;홍충의;한종원;이상훈;장재기;이준수;정헌상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86-394
    • /
    • 2019
  • 지황은 국내 주요 약용작물 중 하나로, 크게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으로 나누어 용도에 맞게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4가지 육성품종에 대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숙지황에 가장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지황 1호, 고강, 토강, 다강 총 4품종의 생지황을 이용하여 건조한 후, 막걸리에 담그는 작업부터 증숙 및 건조 작업까지를 1증으로 하여, 총 9회 반복하였다. 1증이 끝날 때마다, 산업적으로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수율을 포함해 여러 이화학적 특성들을 평가하였다. 수율은 토강이 가장 높았고, 다강이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수치들은 수분함량과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Fructose와 Glucose 함량은 초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다가 일정 시점 이후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ucrose와 Raffinose, Stachyose는 점차 감소하다가 Raffinose, Stachyose의 경우, 4~5증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효성분인 Catalpol 함량도 모든 품종에서 4증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반면 5-HMF 함량은 증숙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대한약전 기준인 0.1% 이상을 만족하였다. 지황 1호와 토강의 경우, 5증 이후 0.14%로, 타 품종에 비해 기준치에 빨리 도달하였다. 4가지 육성품종을 이용하여 숙지황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평가한 결과, 전반적인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숙지황용으로는 토강이 상대적으로 수율이 높고 증숙시간도 짧게 소요되어 가장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품종별 특성에 따라 산업적으로 적합한 용도로 활용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택사의 육묘일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rsery Period on Growth and Yield in Alisma plantago)

  • 권병선;신종섭;박희진;이상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4-128
    • /
    • 2001
  • 남부지방에서 벼조기재배 후작 택사의 육묘일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과 꽃대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선월종 1호외 2품종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묘상에서의 초장과 엽수 20일육묘구가 30일육묘구나 40일 육묘구보다 가장 적어서 이식후 본답에서의 식상의 해가 전혀 없어 본답에서의 생육이 왕성하여, 초장이 길고 엽수가 많으며 건근중의 수량성이 높았다. 2. 묘상 일수별 꽃대 발생수도 20일육묘구가 30일 육묘구나 40일 육묘구에 비하여 가장적어서 생력재배에 가장 적합하였다.

  • PDF

단삼의 수확시기에 따른 생육 특성 및 주요 성분 변이 (Changes of Major Compon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rvesting Time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 김영국;안태진;허목;이정훈;이윤지;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95-399
    • /
    • 2015
  • Background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the growth, yield characteristics, and major beneficial components in Salvia miltiorrhiza. Methods and Results : Although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branch length were not affected by harvesting time, the number of stems was highest when harvested in mid Octob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oot length and thickness, however, the rhizome was thicker when it was harvested at the end of October or early November than when it was harvested in early and mid October. The dried root weight also showed a similar pattern.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to 408 kg (16%) in the rhizome weight when in late October and a rise to 455 kg (29%) when harvested in early November. Harvest time had little effect on the content of the major component of S. miltiorrhiza. For example, salvianolic acid content rose from 9.42 to 9.64% with later harvest times, and tanshinone ${\prod}A$ content was tended to be slightly more increased in mid October which S. miltiorrhiza has 0.22% tanshinon ${\prod}A$ than in early October.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S. miltiorrhiza is early November when plant or major component yields are high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harvest time effects on the major beneficial components.

친환경 유기질 비료 시용이 참당귀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co-Friendly Organic Fertilizer on Growth and Yield of Angelica gigas Nakai)

  • 김영국;안태진;여준환;허목;박영심;차선우;송범헌;이경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7-133
    • /
    • 201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organic compost on the growth and root yield of Angelica gigas Nakai with organic cultivation. After fertilizing the soil with organic fertilizer, the dry weight of liming fertilizer showed a slow change, while microorganism fertilizer decreased about 29% until 20 day after fertilizing. At 110 days after fertilizing, microorganism fertilizer decreased more than liming fertilizer. Liming fertilizer decomposed slowly, while microorganism fertilizer decomposed early on rapidly but gently after 20 days in decomposed rate of organic fertilizer. Dried root yields per 10a of A. gigas were not significance between 277.6kg in conventional fertilizer and 277.7kg, 280.5kg in N 1.5, N 2.0 times of microorganism fertilizer.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contents in A. gigas were 9.08 ~ 9.07% from N 1.0 and N 1.5 times in liming fertilizer, and 7.94 ~ 8.12% from N 1.5 times and N 2.0 times in microorganism fertilizer, compared to 7.31% of conventional treatment.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시용량(施用量)이 지황(地黃)(Rehmannia glutinosa) 근경(根莖)의 수량(收量) 및 유효성분함량(有效成分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N, P and K Application Rates on the Yield and the Available Constituents Contents in the Rhizoma of Rehmannia glutinosa)

  • 박병윤;장상문;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5-110
    • /
    • 1989
  • 지황(地黃)의 수량증대(收量增大)와 품질향상(品質向上)을 위한 합리적(合理的)인 시비법(施肥法)을 정립(定立)하기 위하여 삼요소(三要素) 시비량(施肥量)이 지황근경(地黃根莖)의 수량(收量) 및 유효성분함량(有效成分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1. 지황근경(地黃根莖)의 생체(生體) 및 건물수량(乾物收量)은 941~1,494kg/10a와 251~385kg/10a 이었다. 2. 수량(收量)은 질소(窒素) 10kg/10a 이상(以上) 시용(施用)에서 부터 뚜렷한 증가효과(增加效果)가 있었으나, 인산(燐酸)과 가리(加理)의 효과(效果)는 각각(各各) 20kg/10a, 40kg/10a 시용구(施用區)에서만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3. Catalpol 함량(含量)은 질소(窒素) 20kg/10a 시용구(施用區)까지 증가(增加)하였으나 그 이상(以上)의 증비효과(增肥效果)는 없었으며 인산(燐酸)과 가리(加理)는 증비효과(增肥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그러나 10a당(當) Catalpol 총(總) 생산량(生産量)은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 10kg/10a 이상(以上)에서 부터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4. Fructose함량(含量)은 질소(窒素) 20kg/10a 시용구(施用區)부터 감소(減少)하였으며, galactose 함량(含量)은 가리시용(加理施用)으로 감소(減少)하였다. 5. 회분함량(灰分含量)은 질소(窒素)의 시용(施用)으로 감소(減少)하였으나, 에탄올 엑기스함량(含量)은 질소시용(窒素施用)으로 증가(增加)하였다.

  • PDF

Agrobacterium radiobacter에 의(依)한 다당류(多糖類) 생산(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Polysacrhacides by Agrobacterium radiobacter)

  • 이계호;신현승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110-118
    • /
    • 1983
  • 병(病)든 콩의 줄기와 뿌리에서 분리(分離)한 bacteria균주(菌株) SAF-C는 운동성(運動性)이 있으며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Agrobacterium radiobacter임이 밝혀졌다 또 anilineblue 방법(方法)으로 이 균주중(菌株中) 수용성(水溶性) 다당(多糖)만을 거의 완전(完全)하게 생산(生産)하는 균주(菌株)를 선별(選別)하고 SAF-C.W라 하였다. 진탕배양에서 SAF-C.W의 높은 산성(酸性), 수용성다당(水溶性多糖)의 생산조건(生産條件)을 찾기 위하여 본 실험(實驗)이 행(行)하여졌다. 많은 양(量)의 다당(多糖)이 glucose 4%, $CaCO_3$ 0.3% 질소원(窒素源)으로 yeast extract, $(NH_4)_2HPO_4$ 및 distillers dried solubles(D.DS.)을 0.5% 포함(包含)하는 각각의 배지(培地)에서 생산(生産)되었으며, 그 생산율(生産率)은 22.9%, 10%, 9.6%이었다. 또 glucose 3%, D.D.S. 0.4% $K_2HPO_4$ 0.5%, $MgSO_4{\cdot}7H_2O$ 0.01%의 조성(組成)을 가지는 배지(培地)에서 다당수득율(多糖收得率) 25%를 기록(記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