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ench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9초

Uniconazole 토양관주 처리가 포인세티아의 생육(生育) 및 개화(開花)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Uniconazole Drench on the Growth and Flowering in Poinsettia(Euphorbia pulcherrima Willd.))

  • 이은경;최근원;정순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5호
    • /
    • pp.581-583
    • /
    • 1999
  • 생장억제제인 uniconazole의 토양관주 처리가 포인세티아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포인세티아 재배시 적절한 uniconazole의 적절한 처리량과 처리시기를 제시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uniconazole의 토양관주시 초장, 분지장, 엽면적은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억제효과도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0.05-0.10mg/pot 처리범위에서 적절한 효과를 보였다. Unionazole의 토양관주 처리시기가 이를수록 초장, 분지장, 엽면적이 크게 단축되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uniconazole처리에 따른 특징적인 약해는 관측되지 않았다.

  • PDF

Triazole계 화합물의 엽면살포 및 토양관주 처리가 백일홍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liar Spray and Soil Drench of Triazole Chemicals on Growth and Flowering in Zinnia elegans)

  • 이승우;안성은;김영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68-573
    • /
    • 2001
  • 본 실험은 triazole계 화합물을 백일홍 'Dream Land Rose'와 'Dream Land Scarlet'에 경엽살포 또는 토양관주처리를 하여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경엽살포처리에서 'Dream Land Rose'의 초장은 tebuconazole, diniconazole, bitertanol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tebuconazole이 가장 큰 왜화효과를 보였고 지상부 생체중도 가장 적었다. 꽃의 직경, 생체중, 건물중도 tebuconazole 고농도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개화소요일수는 약제처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Dream Land Scarlet'의 초장도 모든 처리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tebuconazole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개화소요일수는 diniconazole에서 단축되었다. 토양관주처리에서 'Dream Land Rose'의 초장은 diniconazole과 myclobutanil에서 감소하였으나 diniconazole이 더 효과적이었다. 개화소요일수는 diniconazole에서 단축되었다. 'Dream Land Scarlet'의 초장은 모든 처리에서 감소하였으며, mycrobutanil $300mg{\cdot}L^{-1}$에서 극심한 억제현상을 보여서 개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개화소요일수는 diniconazole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Paromomycin Derived from Streptomyces sp. AG-P 1441 Induces Resistance against Two Major Pathogens of Chili Pepper

  • Balaraju, Kotnala;Kim, Chang-Jin;Park, Dong-Jin;Nam, Ki-Woong;Zhang, Kecheng;Sang, Mee Kyung;Park, Kyungs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9호
    • /
    • pp.1542-1550
    • /
    • 2016
  •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paromomycin, an antibiotic derived from Streptomyces sp. AG-P 1441 (AG-P 1441), controlled Phytophthora blight and soft rot diseases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 and Pectobacterium carotovorum, respectively, in chili pepper (Capsicum annum L.). Chili pepper plants treated with paromomycin by foliar spray or soil drenching 7 days prior to inoculation with P. capsici zoospores showed significant (p < 0.05) reduction in disease severity (%)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plants. The disease severity of Phytophthora blight was recorded as 8% and 50% for foliar spray and soil drench, respectively, at 1.0 ppm of paromomyci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where disease severity was 83% and 100% by foliar spray and soil drench, respectively. A greater reduction of soft rot lesion areas per leaf disk was observed in treated plants using paromomycin (1.0 μg/ml) by infiltration or soil drench in comparison with untreated control plants. Paromomycin treatment did not negatively affect the growth of chili pepper. Furthermore, the treatment slightly promoted growth; this growth was supported by increased chlorophyll content in paromomycin-treated chili pepper plants. Additionally, paromomycin likely induced resistance as confirmed by the expression of pathogenesis-related (PR) genes: PR-1, β-1,3-glucanase, chitinase, PR-4, peroxidase, and PR-10, which enhanced plant defense against P. capsici in chili pepper. This finding indicates that AG-P 1441 plays a role in pathogen resistance upon the activation of defense genes, by secretion of the plant resistance elicitor, paromomycin.

Pseudomonas cepacia로부터 유래한 4-quinolinone 대사물질과 4-quinolinone-3-carboxylate 유도체의 고추(Capsicum annum)에서의 생장촉진 효과 (Plant growth promoting effect of 4-quinolinone metabolites from Pseudomonas cepacia and 4-quinolinone-3-carboxylate derivatives on red pepper plant (Capsicum annum))

  • 문석식;명을재;조순장;박재범;정봉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4-71
    • /
    • 2002
  • Pseudomonas cepacia로부터 유래한 quinolinone 대사물질인 2-(2-hepteny)-3-methyl-4-quinolinone (1), 2-heptyl-3-methyl-4-quinolinone, 2-nonyl-3-methyl-4-quinolinone 및 합성물질 ethyl 2-methyl-3-alkyl-4-quinolinone carboxylate의 식물생장촉진 효과를 보기 위해 종자발아검정 및 경엽처리 후의 생장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종자침지 및 관주 처리후의 초고, 생체중, 과실수도 조사하였다. 화합물 1은 종자발아 효과와 경엽처리 후에 일관된 생장촉진 효과를 보였다. 종자침지와 관주처리 후에, 화합물 1과 합성물질 ethyl 2-methyl-4-quinolinone-3-carboxylate (5)를 처리한 식물에서의 생체중과 과실수는 크게 증가하였다. 화합물1과 5는 대조관보다 각각 44%와 84%의 과실수 증가를 나타냈다.

오이류 덩굴쪼김병 방제에 관한 연구 (2) 오이 덩굴쪼김병 방제를 위한 약제의 효과에 관하여 (Studies on the Control of Fusarium Cucurbitaceous Plants (2) On the Fungicidal Effects for the Control of Cucumber Fusarium Wilt)

  • 이두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77-81
    • /
    • 1969
  • 오이덩굴쪼김병에 대한 Carbamisol. NCS, Similuton, Soill, Captan, Difolatan, Grand 및 소석회등의 토양소독효과를 침지법, Zentmyer법, pot 및 포장시험 등으로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침적법에서는 공시된 약제중 소석회를 제외하고는 모두 살균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Zentmyer의 drench법에서는 Grand 유제와 Similuton을 제외하고는 모두 살과균효가 없었다. 2. Pot시험에서는 Grand 유제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다음이 Similuton 및 oxysporum의 수도 Grand 유제를 처리한 구가 타약제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적었다. 3. 포장시험에서의 오이덩굴쪼기병에 대한 약제의 효과는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공시된 살균제중 Grand유제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다음으로 Difolatan이 효과적이었다.

  • PDF

절화 백합의 생장과 발육에 미치는 생장억제제의 관주처리 효과 (Effect of Drench Application of Growth Retardants on Growth and Development in Cut Lilies)

  • 박인숙;박송경;;황윤정;강시용;임기병
    • 화훼연구
    • /
    • 제18권3호
    • /
    • pp.165-170
    • /
    • 2010
  • 키가 큰 절화용 백합인 'Rialto'와 'Elodie' 및 'Raizan'을 분화 및 화단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ancymidol과 uniconazole 및 paclobutrazol을 농도별로 관주처리 하였다. 오리엔탈 백합인 'Rialto'의 경우, paclobutrazol을 처리한 구에서는 초장뿐만 아니라 잎과 꽃에 있어서도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ancymidol 처리구에서 생장은 농도에 관계없이 30% 이상 억제되었다. 한편 엽수나 개화수 등은 무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Uniconazole $1mg{\cdot}L^{-1}$ 처리구에서 초장은 무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5와 $10mg{\cdot}L^{-1}$ 처리구에서는 30%정도 단축되었다. 아시아틱 백합인 'Elodie'의 경우 'Rialto'와 마찬가지로 paclobutrazol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유의차를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모든 ancymidol 관주처리구에서는 초장이 무처리구보다 50~60% 단축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30mg{\cdot}L^{-1}$의 ancymidol 처리구에서는 엽수가 감소하였으며 개화소요일수도 무처리구보다 다소 지연되었다. Uniconazole $1mg{\cdot}L^{-1}$ 처리구에서 초장을 제외한 모든 형질들은 무처리구와 유사하였지만 5와 $10mg{\cdot}L^{-1}$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신나팔나리인 'Raizan' 또한 상기의 두 품종과 마찬가지로 paclobutrazol 처리구에서는 왜화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 Ancymidol 처리구는 농도에 관계없이 초장이 무처리구보다 60% 이상 단축되었으며 특히 $30mg{\cdot}L^{-1}$ 처리구에서는 개화소요일수가 다소 지연되었다. Uniconazole $10mg{\cdot}L^{-1}$ 처리구에서 초장은 약 26% 감소하였으나 다른 형질은 무처리구와 유의차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ancymidol과 uniconazole의 관주 처리는 양적 형질에 큰 변화 없이 초장을 줄여 분화용 백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매우 효과적이었다.

고추 친환경 재배를 위한 Chitosan 처리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Cultivation for Eco-friendly Agriculture)

  • 문영훈;이진호;안병구;최인영;정성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35-641
    • /
    • 2012
  • Chitosan이 친환경 고추재배를 위한 친환경자재로써 토양환경개선과 고추수량 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엽면시비, 토양관주, 두 가지를 혼합처리 하였다.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율은 무처리에서 99.4%였고, chitosan 농도가 낮을수록 침지시간이 짧을수록 발아율은 높았지만 대조구보다는 낮았다. 수확기에 조사한 토양화학성분은 chitosan 처리방법에 관계없이 정식전 보다 모두 감소하였다. Chitosan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토양중 세균과 방선균 밀도는 증가하였고, chlorophyll 함량은 대조구보다 많았다. 고추 잎의 P 함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N는 14일 간격으로 엽면시비를 하거나 21일 간격으로 토양관주를 했을 때 무처리 수준과 같았고, Ca, Mg, K는 7일 간격으로 혼합처리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토양관주를 했을 때 생육상태는 가장 우수하였지만, 수량은 대조구에서 $383kg\;10a^{-1}$ 수준으로 가장 많았고, 토양관주 처리에서 대조구의 93.0~95.0% 수준을 보였다.

Rice (Oryza sativa L.) Growth Promotion by Various Plant Extracts Produced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Ei Ei;Hyun Hwa Park;Yong In Ku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53
    • /
    • 2022
  • Modem agricultural production needs to provide sustainable management practices that are eco-friendly and low cost. Plant extracts are a cost-effectiv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lternative to synthetic plant growth regulators. This study was therefo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plant extracts produced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on the vegetative growth of rice under laboratory and greenhouse conditions. For this study, seventeen plant extracts were made from plant species such as leaves of M. arvense, C. asiatica, M. oleifera, V. radiata, V. unguiculate, P. guajava, A. vera, and A. tuberosum, aboveground plant parts of C. rotundus, M. sativa, and P. frutescens, roots of R. undulatum, tubers of A. sativum, leaves and stems of G. max (cv. Taegwang) as well as rice straw and hulls (cv. Hopyeong). As a test crop, we applied these extracts to rice plants. For the purpose of making our extracts, some plant materials and species were collected in fields and others were purchased from Chonnam Hanyaknonghyup Cooperation (South Korea). Leaves, roots, and aboveground plant parts of plant species were dried, ground, extracted (water, boiling water and ethanol) and fermented. Rice growth promotion effects were determined using plant extracts at 0, 0.05, 0.1, 0.5, and 1% concentrations under petri dish conditions. Seven selected plant extracts were applied to rice seeds with soil drench application or seedling at 3-4 leaf stages with soil and foliar application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For comparison with extracts, we used urea at 0.6%. Of the 17 water extracts used in this study, 10 extracts reduced rice growth, but the other 7 extracts (P. guajava, A. vera, A. tuberosum, M. sativa, A. sativum, and G. max) increased growth by 40-60% on compared to the control in Petri dish bioassay. Thus, these 7 extracts were selected for further study. Under greenhouse conditions, rice growth also increased by 20-40% when the same 7 extracts were applied to rice seeds using soil drench application. Furthermore, at the 3-4 leaf stage rice growth also increased 30-80% or 30-60% when the same 7 extracts were applied using soil and foliar applications. Overall, the 7 extracts produced higher rates of growth promotion when soil drench application was used than when foliar application was used. In the case of boiling water and ethanol extracts, rice growth increased only 20% in response to both soil drench and foliar application of the same 7 extracts. Rice growth promotion was greater when extracts were produced using water extraction method than boiling water and ethanol extraction methods. Most notably, the 7 water extracts used in this study produced higher rates of growth promotion than urea at 0.6% which is typically used for crop growth promotion. Overall, the 7 water extracts when applied using soil drenching method can be used as effective growth promotors of rice in organic agriculture.

  • PDF

IBA 처리방법과 농도에 따른 딸기 '매향'의 측아 발생 억제와 자묘 생육 (Lateral Bud Suppression and Runner Plants Growth of 'Maehyang' Strawberry as Affected by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IBA)

  • 황희성;정현우;이혜리;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0-88
    • /
    • 2020
  • 본 연구는 시설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의 생육과 런너 생산을 위한 옥신계 식물 생장조절제인, IBA의 처리방법 및 농도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묘는 2019년 4월 12일에 코이어 배지가 충진된 화분(150×135 ×90nm)에 정식 하였다. IBA는 0, 50, 100, 150, 200 mg·L-1농도로 각각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로 식물체당 50mL씩 처리하였다. IBA 처리는 2019년 4월 29일에 시작하였다. IBA의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는 처리 시작일로부터 2주 간격으로 9주간 처리하였다. 처리 9주 후, 모주의 엽병장은 대조구에서 가장 짧았다. 자묘의 수는 엽면살포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측아의 수는 IBA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엽면살포 100 mg·L-1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1차 묘와 2차 묘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3차 묘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은 배지관주 100 mg·L-1처리에서 가장 무거웠다. 그러므로, 3차 묘의 생육과 측아 발생 억제를 고려하였을 때, 배지관주 100 mg·L-1처리가 IBA를 딸기에 처리함에 있어, 3차 묘의 생육과 자묘 생산에 적절한 처리방법 및 농도인 것으로 보이며 위 결과는 딸기 육묘기에 노동력 절감 및 묘소질 향상을 위한 식물생장조절제 활용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딸기 '매향'의 사이토키닌 처리방법과 농도에 따른 생육과 런너 생산 (Growth and Runner Production of 'Maehyang' Strawberry as Affected by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Cytokinin)

  • 김영진;김혜민;김현민;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2-77
    • /
    • 2017
  • 본 연구는 시설딸기 '매향'의 생육과 런너 생산을 위한 생장조절제의 처리방법과 농도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묘를 2016년 2월 22일에 상업용 혼합상토(토실이)를 이용하여 딸기 재배 포트($64{\times}27{\times}18cm$)에 정식하였다. 생장조절제인 6-benzylaminopurine을 이용하여, 정식 후 3주째에 농도를 900, 1,200, $1,500mg{\cdot}L^{-1}$로 제조하여 식물체당 50mL씩 각각 엽면살포와 배지관주하였다. 양액의 공급은 EC 수준을 $0.65dS{\cdot}m^{-1}$로 맞추어 뿌리 활착을 위해 충분히 공급하였다. 뿌리 활착 후에는 배양액의 1회 공급량을 딸기 재배 포트 당 450mL로 하루 2회(10분)씩 공급하였다. '매향' 딸기 모주의 초장과 크라운 직경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근장, 1차 근수,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과 같은 다른 생육 특성은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그리고, 딸기의 SPAD 값은 $900mg{\cdot}L^{-1}$의 배지관주에서 44.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엽면살포 처리는 배지관주 처리보다 런너 생산에 효과적이었으며, 900과 $1,500mg{\cdot}L^{-1}$ 처리에서 런너 수가 가장 많았다. 반면에, 자묘 수는 엽면살포보다 배지관주에서 효과적이었다. 결과적으로, 시설딸기 '매향'의 생육과 런너 수는 $900mg{\cdot}L^{-1}$의 농도로 엽면살포한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