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ainage layer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6초

답토양(沓土壤)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따른 철(鐵) 및 망간의 이동집적(移動集積)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Accumulation of Iron and Manganese in Relation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ddy Soils)

  • 신천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3호
    • /
    • pp.123-144
    • /
    • 1975
  • 답토양(畓土壤)의 특징적(特徵的) 현상(現象)인 철(鐵) 및 망간의 이동집적(移動集積) 양상(樣相)을 그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과 관련(關聯)하여 추구(追求)하는 동시(同時), 철(鐵)의 집적증(集積層)을 정량적(定量)的)으로 판단(判斷)하는 방법(方法)을 모색(模索)하기 위(爲)하여 우리나라 답토양(畓土壤)의 표토중(表土中)에 함유(含有)하고 있는 활성철(活性鐵) 및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간 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하였고 주요(主要) 답토양(畓土讓)의 형태(形態) 및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층위별(層位別) 철(鐵) 및 망간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표토(表土)의 활성철(活性鐵) 및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간 함량(含量)은 토양(土壞)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할수록 많으며 동일배수조건(同一排求條件)에 있어서는 모래가 많을수록 적었다. 2. 표토(表土)의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은 배수조건(排水條件) 및 토성(土性)과는 관계(關係)없이 점토(粘土) 및 미사(微砂)의 총함량(總含豊)과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hat{y}=0.3929+(0.0352{\times}clay%)+(0.0001023{\times}silt%)$$ 그러나 점토함량(粘土含量)과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간함량간(含量間)에는 상관(相關)이 없 었다. 3. 토양통별(土壤統別) 각(各) 층위(層位)의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y)과 전철함량(全鐵含量)(x)간(間)에는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어 다음과 같은 회귀식(回歸式)으로 표시(表示)할 수 있었다. $$y=0.361x-0.480(r=0.651^{**})$$ 그러나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간 함량(含量)은 전(全)망간 함량(含量)이 많아짐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은 있을 뿐 유의성(有意性)은 없었다. 4. 철(鐵) 및 망간의 집적(集積)은 어느 답토양(畓土壤)에서나 볼수 있으나 현저(顯著)한 집적(集穫)은 배수(排水)가 약간(若干) 양호(良好)한 식질(植質) 및 식양질토양(植壤質土壤)에 형성(形成)되며 배수(排水)가 불량(不良)한 답토양(畓土壤)에서는 토성(土性)에 관계(關係)없이 표토(表土)에 집적(集積)됨을 볼 수 있다. 5. 철(鐵)의 집적층판단(集積層判斷)은 단면관찰(斷面觀察) 또는 층위간(層位間)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만으로는 불충분(不充分)하며 전철(全鐵) 대(對) 활성철(活性鐵)의 비(比) 그리고 점토(粘土) 및 미사함량(微砂含量)으로 측정(推定)한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을 기초(基礎)로 하여야 하며 망간의 집적층(集積層)은 전(全)망간 및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간 함량(含量)과 그들의 비(比)로 추정(推定)하여야 할 것이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Runoff Process of Granite Drainage Basins in Korea and Mongolia

  • Yukiya, Tanaka;Yukoinori, Matsukura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3호
    • /
    • pp.67-73
    • /
    • 2004
  • Dissected erosional surfac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western part of Korea (e.g. Icheon, Chungju, Jecheon, Seosan). The deposits with thickness of less than 2m occur on the smooth bedrock surface are composed of poorly sorted subangular gravels with less than 20cm diameter. However, only weathered mantle of granites without the gravel layer are observed at some outcrops. The results of grain size analysis of deposits of Icheon district reveal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gain size distribution is very similar with the results of sheetflood deposits presented by Blair (1999) in the Death Valley. Loess layer with buried soil layers of MIS7 covers the sheetflood deposits. The loess layer implies that the sheetflood deposits occurred before MIS7 based on the typical Loess sequences presented by Naruse et al.(2003). On the other hand, the climate of Korean Peninsula in MIS2 was very dry and cold (Yoon and Hwnag, 2003) by pollen analysis. This is because Yellow Sea was completely emerged during the MIS2(e.g. Sau\ito, 1998). So, it is thought that the climate in Korean Peninsula of not only MIS2 but also other glacial ages such as MIS8 was similar with present Mongolian climates. Tanaka et al.(2005) pointed out that Hortonian overlandflow occurs in grass vegetated granite basin in Mongolia. Therefore, dissected piedmont gentle slopes in the western Korea were possibly formed by sheetflood erosion during probably MIS8 as pediment widely distributed in Mongolia.

  • PDF

Morel-Lavallee 병변 1례 (Morel-Lavallee lesion: A Case Report)

  • 허정우;권호;정성노;손원일;문석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341-343
    • /
    • 2009
  • Purpose: Morel - Lavallee lesions is post - traumatic effusion at subcutaneous layer. Early management of Morel - Lavallee lesion is percutaneous drainage and compression. Surgical excision is recommended for cases that are chronic. Method: 41 - year old male patient had slow growing, painful mass on left thigh, which has been present for 3 years. He had a history of blunt trauma 3 years ago. Computed tomography presented $10{\times}10{\times}5cm$ sized cystic mass on left thigh, between subcutaneous fat layer and muscle fascia layer. The mass was surgically removed and biopsy was performed. Result: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s chronic inflammation and fibrotic change. After 6 month follow - up period,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Conclusion: We performed surgical excision of Morel - Lavalle lesion in a patient who had trauma 3 years ago. We report a case of Morel - Lavallee lesion wit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s.

매립지 바닥층의 고화토 포설시 동결/융해의 특성 (A Characteristic of Freeze and Thaw on Use for Stabilized Soil in Landfill Bottom Liners)

  • 김흥석;이송;이재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29-39
    • /
    • 2006
  • 최근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현대화 및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과학기술의 발전은 주목할만한 수준에 이르렀다. 특히 과학기술에 의한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부가적으로 쓰레기 매립지의 설치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동결/융해하는 동안 매립층의 거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문제점을 명백히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현장의 매립지와 유사한 기후조건 및 경계조건, 강우조건 등을 재현하는 대형 실내모형장비를 사용하였다. 점토와 시멘트, 무기물 광물을 혼합하여 제작된 고화처리층은 지지력을 목적으로 하는 45cm의 고화토층과 차수를 목적으로 하는 30cm의 불투수층의 $P_A$$P_B$층으로 구성되었으며 고화처리층 하부에는 30cm의 지하수 배제층, 상부에는 60cm의 침출수 집배수층으로 설계하였다.

  • PDF

쉴드 TBM 세그먼트 지수재의 배열수 변화에 따른 방수성능 평가 (Waterproofing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yer for shield TBM segment hydrophilic rubber waterstop)

  • 함수권;정훈;김범주;정경한;이석원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47-58
    • /
    • 2020
  • 최근 국내에서는 쉴드 TBM (Tunnel Boring Machine)을 이용한 터널 굴착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쉴드 TBM 터널은 비배수 터널로써 세그먼트 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는 터널의 사용성 및 안정성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쉴드 TBM 터널의 세그먼트 시공 시 시공오차 및 세그먼트 과다변형에 의한 수팽창 지수재의 방수 성능을 검토하였다. 특히, 수팽창 지수재 1열 배열 및 2열 배열 각각에 대하여 방수 성능을 검토하여, 2열배열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1열 배열 및 2열 배열 수팽창 지수재는 동일한 방수 성능을 보였다. 즉, 1열 배열 및 2열 배열 모두, 수팽창 지수재는 엇갈림에 대해서는 대응성이 좋으나, 틈새 간격에 대해서는 대응성이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노천 석탄광산의 사면 안정화를 위한 지하수 유동 체계 분석 (Field Tests and Analysis of Groundwater System for Stabilization of Slope in Large Open-Pit Coal Mine)

  • 류동우;김형목;오준호;선우춘;정용복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3호
    • /
    • pp.248-260
    • /
    • 2009
  • 직접 개발 형식의 해외자원개발과 관련하여 단순 자본 투자에서 직접 개발로 변화하고 있다. 대규모 노천 석탄광산에서의 사면 안정성과 관련하여 지하수 유동 체계 분석과 사면 보강공으로서의 수평 배수공 타당성을 인도네시아 Pasir 탄광을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체계를 특징짓기 위해 지하수 수위 분석, 현장 투수 시험, 추적자 실험 등 다양한 현장 실험 및 계측을 수행하였다. 특히, 중부 지역의 상부에 위치한 SM강과의 연계성을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Guelph 투수계수를 활용하여 투수계수를 측정하였으며, 사암이 이암이나 탄층보다 투수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 수위 분석 결과 사암층과 협재되어 많은 균열을 포함한 얇은 탄층이 주된 지하수 유동 경로 역할을 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자 시험 결과 SM강이 인근 지하수계에 미치는 영향은 강 바닥의 지층구조에 따라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평 배수공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2차원 지하수 유동 해석 결과는 폭이 좁은 탄층이 협재되어 있는 지층과 사암층이 주된 지하수 유동 경로이며, 충분한 심도로 수평 배수공 시공시 사면 안정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수평 배수공의 시공 위치와 시공 심도의 결정을 위해서는 지층 구조의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차수재로의 광산슬러지 재활용 적용성 평가: Part I: 광산배수슬러지 및 혼합차수재의 물리·화학적 성질 (Evaluation of Field Applicability with Coal Mine Drainage Sludge (CMDS) as a Liner: Part I: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MDS and a Mixed Liner)

  • 이재영;배선영;우승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67-72
    • /
    • 2011
  • 광산배수슬러지는 산성광산배수를 물리 화학적 혹은 전기적으로 정화할 때 주로 생성된다. 여러 분야에서 광산배수슬러지의 재활용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립지 폐기물인 광산배수슬러지를 차수재와 복토재로의 재활용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두 part로 구성된 본 논문의 Part 1에서는, 광산배수슬러지, 차수재 형성을 위해 혼합 한 벤토나이트와 시멘트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pH 측정 및 XRD, XRF, FESEM로 분석하였다. 회분식 시험을 통하여 광산배수슬러지를 벤토나이트, 시멘트와 혼합하고 다짐도, 투수시험 및 일축시험을 통하여 최적혼합배율을 광산배수슬러지 1 : 벤토나이트 0.5 : 시멘트 0.3으로 결정하였다. 광산배수슬러지의 초기 투수계수는 $7.10{\times}10^{-7}cm/s$이었다. 광산배수슬러지는 유해물 용출시험을 통하여 환경에 안전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논문의 Part 2에서는 라이시미터 (Lysimeter)를 사용하여 계절변화와 강우조건에 따른 하절기 건조/습윤 및 동절기 동결/융해의 과정을 통해 광산배수슬러지를 이용한 차수재 사용시 환경 적용성 가능성 및 안정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논의 두더지 배수(排水) 효과(效果)와 콩 재배(栽培) (Effect of Mole Drainage on Soybean Growth in Paddy Field(Jeonbug Series, Aeric Halaquepts))

  • 전장협;양창휴;이경보;남정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6-302
    • /
    • 1994
  • 배수(排水)가 약간 불량(不良)한 답토양(畓土壤)(전북통(全北統))을 답전윤환하기 위한 기반조성을 위하여 천공시공(穿孔施工) 간격(間隔)을 50cm, 100cm, 150cm로, 천공심도(穿孔深度) 30cm로 시공(施工)한 후에 콩을 재배(栽培)하여 생육(生育)과 토양(土壤)의 특성변화에 관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천공시공(穿孔施工)에 의한 배수율(排水率)은 강우(降雨) 1, 2일 경과(經過) 후(後)에 최대(最大) 75%, 최소(最小) 48%까지 유출(流出)시켰으며, 지하수위(地下水位)는 40cm이하(以下)를 유지(維持)하여 목표(目標)의 배수(排水) 능력(能力)을 거의 달성(達成)했다. 2. 천공시공후(穿孔施工後)의 토양구조(土壤構造)는 괴상에서 립상 또는 과립상으로 변하였다. 하층토(下層土)에서는 토양(土壤)의 산화(酸化)와 구열(龜裂)이 발생(發生)했으며, 토양(土壤)의 건조(乾燥)는 충분(充分)하지 않았으나, 투수성(透水性)의 개선(改善)으로 전지화(田地化)의 진행(進行)을 볼수 있었다. 3. 천공시공(穿孔施工) 포장(圃場)에서 재배한 콩은 무처리구보다 11~22% 증수(增收)되었으며, 천공무시공(穿孔無施工) 포장(圃場)에서는 일부습해(一部濕害)로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했다.

  • PDF

강우시 보강토 내부 배수가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ability of Reinforced Wall within Drain Layers in the Rainfall)

  • 신춘원;유충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65-174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가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 집중 강우로 인한 홍수 및 산사태와 같은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강우는 옹벽의 안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된다. 만약 강우시 옹벽 내부의 배수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빗물이 뒷채움 흙 내부에 스며들어 옹벽 뒷면의 간극수압이 크게 증가하게되고 지반의 전단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옹벽 내부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수층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섬유가 설치된 보강토 옹벽에서 배수층의 위치/갯수에 따른 강우시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에 최적의 시공 조건을 찾는 수치해석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원지반 부착식 판넬옹벽의 투수성 평가 (Evaluation of Drainage Capacity of Precast Concrete-panel Retaining Wall Attached to In-situ Ground Using Numerical Analysis)

  • 권용규;이재원;황영철;반호기;이민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43-50
    • /
    • 2021
  •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은 지형적인 특성으로 도로와 도시 개발에 따라 산지를 굴착하고 옹벽을 설치하는 공사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Panel식 옹벽은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높으며, 일반적으로 Bottom-up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옹벽을 설치하기 위해 1:0.3정도의 기울기로 굴착 후 옹벽을 시공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경사굴착으로 인해 추가 토공처리가 필요하며, 되메움과 다짐불량에 의한 안정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Top-down방식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Panel을 사면에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모르타르로 인해 옹벽과 사면 사이에 불투수층이 생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사면에 불투수층을 고려하여 배수시스템들의 역할이 우기시 사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