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gh properties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22초

발효액종이 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Liquid Dough on Bread Quality)

  • 정윤경;장대훈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7-133
    • /
    • 2015
  • This study identifies the factors improving bread quality by using fermented liquid dough. Fermented liquid dough, the main part of bread dough, contains yeasts that are prepared in order to enhance the fermentation rat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ermentation rate after mixing dough, the pH of dough, loaf volume, water activity, hardness, and sensory properties of loaf bread samples with different amounts of fermented liquid dough. The fermentation rate was slightly higher in the bread samples, the control dough and 10% fermented liquid dough, than in samples with more than 20% dough. The pH values of dough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content of fermented liquid dough. The loaf volume of bread with 10% fermented liquid dough was the highest. The water activity of loaf bread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amount of fermented liquid dough. For the sensory evaluation of loaf bread, adding 10% fermented liquid dough improved the loaf volume and evenness of bak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10% fermented liquid dough increased the fermentation rate and bread qualit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nhance intern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af bread, including taste and flavor.

제조방법별 솔잎추출물을 이용한 제빵 적성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 김은주;김수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42-547
    • /
    • 1998
  • 제조방법별 솔잎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솔잎추출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밀가루를 기준으로 각각의 추출물은 12.4%, 31%, 43.4%, 62%함유)한 dough의 pH, 1차 발효 후의 dough의 pH, dough부피, 제품의 부피, 굽기손실율, hardness,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가스 발생량을 높여 제품부피 향상에 연관이 있는 dough의 pH는 CPNP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mixing 직후의 반죽과 1차 발효 후의 dough pH도 CPNP가 가장 낮게 나타났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dough부피는 각 첨가구마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제품부피도 추출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70%와 100% 첨가구에서는 무첨가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여, 가스량 발생을 좌우하는 dough의 pH가 제품부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굽기손실율은 추출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가스 발생량이 높았고 반죽과 제품부피가 컸던 CPNP에서 가장 높은 손실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분의 노화와 관계있는 hardness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20% 첨가구에서는 CPNP가 무첨가구보다 다소 낮은 경향이었으나, 50%, 70%, 100% 첨가구에서는 무첨가구와 CPNP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솔잎추출물 첨가량과 관능검사와의 관계는 0일보다 7일간 저장한 후 맛과 조직감이 떨어지는 경향이었고, 50% 이상 첨가한 FPN의 조직감은 7일간 저장하여도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제품의 솔향 강도는 제조방법에 관계없이 추출물의 첨가가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 PDF

Hydrocolloids가 쌀을 첨가한 빵용 밀가루 반죽의 물성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colloi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Flour Dough with Rice Flour)

  • 김양훈;이정훈;정구춘;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19-1825
    • /
    • 2015
  • 강력분 80%와 쌀가루 20%를 혼합한 후 검류로 HPMC, xanthan gum, guar gum, glucomannan 등을 각각 1% 첨가하여 반죽의 물성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혼합분의 Amylograph 분석에서 호화온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최고점도 온도도 같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최고점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glucomannan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Viscograph 분석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는 Amylograph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유지온도와 냉각온도에서의 점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Breakdown은 xanthan gum 첨가구의 값이 가장 높았고 대조구와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setback은 HPMC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Farinograph에서 반죽의 되기는 HPMC 및 xanthan gum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흡수율은 glucomannan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반죽형성시간은 대조구에 비하여 guar gum 첨가구가 길었다. 안정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HPMC와 guar gum 첨가구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xanthan gum 첨가구는 훨씬 짧아져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약화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HPMC와 guar gum 첨가구는 짧아졌으나 xanthan gum과 glucomannan 첨가구는 길어졌다. FQN은 HPMC와 guar gum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반죽의 발효부피 분석에서 guar gum과 HPMC 첨가구의 부피가 컸고, 반죽의 pH는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실험으로 hydrocolloids가 밀가루와 쌀가루 혼합분의 paste, 반죽, 발효부피, 반죽의 pH 등에 영향을 주었다.

청국장${\cdot}$양파 첨가 피자 제조 : 1.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피자크러스트 제조의 최적화 (1. The development of Pizza with Chungkukjang and Onion : Optimization of Pizza Crust Prepar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성채란;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481-49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izza crust with additions of Chungkukjang and onion. The stickiness of the pizza dough containing fresh Chungkukjang (C), heated Chungkukjang (HC), and fresh Chungkukjang with added dough-improver (CI),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dough properties. The optimum conditions for pizza crust preparation relating to the processing suitability and sensory quality were establish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hen HC and CI were used in dough making, dough stickiness was reduced to 37% and 51%, respectively. Therefore, the dough-improver(2%) offered the pizza dough better rheological properties when C was used without heat treatment. On the other hand, processing suitability such as the spreadability and overall acceptability, which included the smell and taste of the pizza, were impaired as the amount of CI increased. However, the use of fresh ground onion in the pizza dough compensated for these impairments. The optimum conditions for pizza crust making as determined by RSM were 25.1% onion, 7.1% Chungkukjang, and 52.3 min of fermentation time.

Extension Properties of Frozen Hard Wheat Flour Doughs Mixed with Ascorbic Acid and Gluten Hydrolysate

  • Koh, Bong-K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590-593
    • /
    • 2007
  • The textural properties of doughs mixed with L-ascorbic acid (AA), trypsin hydrolyzed gluten peptide (THGP), and a mixture of AA-THGP were investigated using texture analyzer under the fermentation of the full formula and the freezing process. The full formula dough (FFD) required a shorter mixing time than the flour and water formula dough (FWD). The maximum resistance (Rmax) values of both the unfrozen and frozen doughs were lower for the FFD. The effects of AA and THGP additions were not significant (p<0.01) in FFD, however, they were significant in FWD. The freezing effect was significant (p<0.0001) for FFD, indicating that yeast fermented dough was much more sensitive to damage from freezing, which subsequently affected dough strength. Additions of AA (p=0.0026) and THGP (p=0.0097)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tensibility (E-value) of unfrozen FWD, where THGP increased and AA decreased the E-value. However, freezing did not significantly effect the extensibilities of FWD (p=0.64) or FFD (p=0.21). The area of FFD was lower than the area of FWD for both the unfrozen and frozen doughs. However, the frozen dough mixed with THGP alone had the largest area overall. The addition of additives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ly different (p<0.01) areas under the curve, except in the frozen FFD. Freezing cau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FWD (p=0.0045).

메밀빵 제조: 1. 활성 글루텐과 수용성 gum물질 첨가가 메밀혼합분 반죽 물성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of Buckwheat Bread: 1, Effects of Vital Wheat Gluten and Water-Soluble Gums on Dough Rheological Properties)

  • 정지영;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0-147
    • /
    • 1998
  • 메밀빵 개발에 사용된 강력분 70%와 외피함량이 적은 메밀가루 A와 외피함량이 많은 메밀가루 B 30%의 혼합분에 활성 글루텐과 gum물질(guar gum, xanthan gum)을 첨가했을 경우 첨가물에 따른 반죽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Farinogram 특성치에서 메밀가루 A복합분은 수분 흡수율, 반죽 형성 시간, 안정도가 모두 감소하였고 약화도는 증가한 반면, 메밀가루 B 복합분은 수분흡수율과 약화도는 증가하고, 반죽형성시간과 안정도는 감소하였지만 메밀가루 A 복합분보다는 안정도와 약화도가 모두 크게 나타났다. 활성 글루텐 첨가로 수분 흡수율이 증가하였고 반죽형성시간은 길어지고 약화되는 정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안정도는 xanthan gum첨가로 다소 증가하여 활성 글루텐 첨가시보다 오히려 높았다. Extensogram특성치에서 메밀가루 대체시에 신장성과 반죽의 강도는 감소하였고 특히 메밀가루 B 복합분이 신장성이 낮게 나타났다. 신장에 대한 저항도는 메밀의 외피함량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어 메밀가루 A 복합분에서는 감소하였으나 메밀가루 B 복합분은 반대로 현저한 증가가 나타나 반죽이 경직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활성 글루텐의 첨가로 신장성은 증가하였고 신장에 대한 저항도는 감소하여 메밀을 함유한 반죽 물성이 개선되었다. Gum물질 첨가만으로는 메밀빵 반죽 물성을 개선할 수 있는 신장성에 대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당귀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Dough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Powder)

  • 신길만;김동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42-549
    • /
    • 2008
  • 당귀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 반죽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당귀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귀 분말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10.5%, 조단백질 16.9%, 조지방 13.8%, 조회분 6.0%, 식이섬유량 35.5% 등으로 나타났다. 당귀 분말을 첨가한 밀가루의 호화도(RVA)는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반죽의 호화도, break down과 set back은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온도와 점도는 감소하였다. Falling number, gluten 함량, 반죽팽창력, mixograph의 결과 모두는 모두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Farinogragh 측정에서는 반죽의 점조도, 연화도, 수분 흡수율은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반죽안정도, 반죽 형성시간과 안정도는 감소하였다. Alveograph는 최대압력을 나타내는 P값은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부피와 신장성도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당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제빵 적성은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Effects of Gluten and Soybean Polypeptides on Textural, Rheological, and Rehydration Properties of Instant Fried Noodles

  • Ahn, Chang-Won;Nam, Hee-Sop;Shin, Jae-Kil;Kim, Jae-Hoon;Hwan, Eun-Sun;Lee, Hyong-J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698-703
    • /
    • 2006
  • We investigated how the addition of polypeptides to instant fried noodle dough affects the dough properties, starch gelatiniza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cup-type instant fried noodles. After comparing farinograph results of 100% wheat flour with 1% wheat flour substituted with gluten, there was a small difference in the mechanical dough properties. However, in the case of 1% wheat flour substituted with gluten peptides, the dough development time increased, dough stability decreased, and weaknes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gluten or gluten peptides were added, starch gelatinizatio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t the steaming stage, substitution with gluten peptides or soybean peptides markedly changed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s of extractable polypeptides. Especially in the case of wheat flour substituted with 1% gluten peptides, the relative portion of low Mw extractable polypeptides (2.5-50 kDa) decreased more compared to a control. Also, the hardness and chewiness decreased in cooked cup-type instant fried noodles containing gluten peptides. This suggests that the addition of gluten peptides can reduce the rehydration time of cup-type instant fried noodles.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제품의 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Jeungpyun Product Durins Fermentation)

  • 박영선;서정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0-304
    • /
    • 1996
  • 증편반죽의 증자과정 중에 일어나는 변화양상을 규명하고자 발효시간을 0에서 10시간까지 달리한 증편제품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제 품의 화학적 성질들의 변화양상은 반죽시료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증자과정 중 pH는 약간 증가한 반면에 적정산도, lactic acid, 총 당과 환원당, 가용성 단백질 과 총 유리아미노산은 감소하였고 특히 환원당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또한 유리아미노산의 종류별로는 다소 증가 혹은 감소하여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Hydrocolloid가 빵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colloids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 조현;이명구;이정훈;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6-10
    • /
    • 2008
  • Hydrocolloid 로 arabic gum, carboxyl methyl cellulose, pectin을 각각 강력분에 0.2%와 0.5% 첨가하여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 변화를 farinograph, 반죽의 pH, extensograph, fermometer, amylograph 등으로 분석하였다. Hydrocolloid 첨가 시 farinograph에서 흡수율은 증가되었고 CMC 0.5% 첨가시 70.8%로 흡수율이 가장 높았다. 반죽발전시간은 길어졌으나 안정도는 낮아졌다. Hydrocolloid 첨가로 반죽의 pH는 저하되었고 pectin 0.5% 첨가시 가장 낮았다. Extensograph에서 반죽의 저항성은 감소하였고 신장성은 증가하였으며 R/E 값은 낮아졌다. 반죽의 가스발생량은 증가하여 CMC를 0.2% 첨가시 가장 많은 가스를 발생하였다. Amylograph에서 초기호화온도는 $0.5-1.5^{\circ}C$ 싱승하였으나 최고점도온도는 $1-1.5^{\circ}C$ 낮아졌고 최고점도는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