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K Operon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5초

DNA Microarry를 이용한 Deinococcus radiodurans의 구리이온 특이 반응 유전자 탐색 및 특성 분석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ernal Copper Responsive Genes of Deinococcus radiodurans)

  • 조민호;임상용;정선욱;송두섭;최영지;김동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69-177
    • /
    • 2008
  • 대표적인 방사선저항성 미생물인 Deinococcus radiodurans의 구리이온($CuCl_2,250{\mu}M$)에 대한 발현체 분석을 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총 3,187개의 open reading frame중 70개의 유전자 발현이 2배 이상증가(64개) 또는 감소(6개)하였다. 이들 중 흥미롭게도 철이온 흡수 관련 유전자들로 추정되는 두 개 operon ($DRB0014{\sim}DRB0017$$DRB0121{\sim}DRB0125$)의 발현이 가장 높게 증가하였다. 두 operon의 첫 번째 유전자인 DRB0014와DRB0125의 발현을 실시간 정략 PCR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두 유전자 모두 구리 이온($CuCl_2,250{\mu}M$) 또는 철이온 킬레이트화합물(2,2'-dipyridyl, $ 250{\mu}M$)을 첨가하였을 경우 발현이 10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철이온($FeCl_3,250{\mu}M$) 또는 구리 이온 킬레이트화합물(bathocuproine disulphonate, $250{\mu}M$)이 존재할 때에는 발현이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D. radiodurans의 구리 대사는 철 흡수 시스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DRB0014와DRB0125의 변이는D. radiodurans의 구리 저항성 및 방사선 저항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은 큰느타리버섯 선발을 위한 SCAR marker 개발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SCAR marker for selection of Pleurotus eryngii strains with higher β-glucan)

  • 김수철;김혜수;조용운;류재산;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9-83
    • /
    • 2015
  • 본 연구는 큰느타리버섯의 베타글루칸 고함유 형질에 관련된 SCAR marker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operon사의 OPA(20개), OPB(20개), OPL(20개), OPP(20개), OPR(20개), OPS(20개) 등 총 120개 primer를 random primer(10 mer)로 사용하여 대립 계통 9종과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 9 종을 대상으로 RAPD를 이용한 bulked segregant analysis를 실시하여 OP-R03 primer로부터 대립 계통에는 나타나지 않고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만 나타나는 특이적인 RAPD 밴드를 얻었다. OP-R03 primer를 이용한 RAPD 결과, 약 91 bp 부근에서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 특이적인 DNA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이 DNA 밴드의 염기서열 말단을 근거로 SCAR 마커로 사용할 specific primer인 OP-R03-1-F와 OP-R03-1-R를 디자인하였다. SCAR 마커 OP-R03-1-F/-1-R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91 bp 부근에서 대립 계통과 구별되는 DNA 밴드가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서 확인되었으며 random primer인 OP-R03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했을 때보다 재현성이 높고 진한 DNA 밴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큰느타리버섯의 고온적응성 형질에 관련된 SCAR Marker 개발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SCAR marker for selection of Pleurotus eryngii strains adaptable to high-temperature)

  • 김수철;김혜수;박소연;류재산;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6-231
    • /
    • 2014
  • 본 연구는 큰느타리버섯의 고온적응성 형질에 관련된 SCAR marker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operon 사의 OPA(20개), OPB(20개), OPL(20개), OPP(20개), OPR(20개), OPS(20개) 등 총 120개 primer를 random primer(10 mer)로 사용하여 대립 계통 7종과 고온성 계통 7 종을 대상으로 RAPD를 이용한 bulked segregant analysis를 실시하여 OP-A06 primer로부터 대립 계통에는 나타나지 않고 고온성 계통에만 나타나는 특이적인 RAPD 밴드를 얻었다. OP-A06 primer를 이용한 RAPD 결과, 약 385 bp 부근에서 고온성 계통에 특이적인 DNA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이 DNA 밴드의 염기서열 말단을 근거로 SCAR 마커로 사용할 specific primer인 OP-A06-1-F와 OP-A06-1-R를 디자인하였다. SCAR 마커 OP-A06-1-F/-1-R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385 bp 부근에서 대립 계통과 구별되는 DNA 밴드가 고온성 계통에서 확인되었으며 random primer인 OP-A06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했을 때보다 재현성이 높고 진한 DNA 밴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PD에 의한 강활 수집종간의 유연관계 분석 (Genetic Relationship among Ostericum koreanum Kitakawa Collections by RAPD Analysis)

  • 김수용;심용구;권순태;오세명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9-113
    • /
    • 2005
  • 생약의 수요 증가와 더불어 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강활은 남장활과 북강활로 나누어 재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생산성이 다소 높은 북강활 재배면적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품종 육성과 재배기술 체계 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강활의 품종육성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RAPD를 이용하여 8계통의 지방수집종간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지방재래종 강활 8종에 대한 RAPD분석을 실시한 결과 primer 당 평균 6.9개의 PCR밴드가 얻어졌으며 Polymorphism 비율이 평균 49.1%를 나타내어 객관적인 다형현상분석이 가능하였다. 2. 유사도 0.71를 기준으로 8개의 강활 지방수집종을 구분한 결과 3개의 group으로 분리되었는데 group I은 유사도 0.71이하에서 남강활의 영양, 정선 영월 지방수집종이 었고, group ll는 남강활 춘양 수집종이며, group Ill은 모두 북강활 수집종 으로 0.94 이상 논은 유사도를 보였는데 정선, 상운, 태백, 춘양 수집종이었다. 3. 강활의 생육특성은 남강활이 북강활에 비해 개화기가 $18{\sim}26$일 늦고 추대율이 높으며 엽병은 길고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Bordetella bronchiseptica의 alcaligin siderophore 생합성 유전자인 alcA에 관한 연구 (Studies of an alcA Gene Involved in Alcaligin Siderophore Biosynthesis in Bordetella bronchiseptica)

  • 황호순;김영희;김삼웅;유종언;유아영;강호영;이태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12-1118
    • /
    • 2006
  • 돼지 위축성 비염과 개의 kennel cough의 원인균인 B. bronchiseptica는 각 숙주의 상부 호흡기관의 점막에 집락을 형성하는 병원균으로서 철이 부족한 환경에서 hydroxamate type의 alcaligin이 라는 siderophore를 생산한다. Alcaligin의 생합성에 관련하는 구조유전자 중 alcA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고자 alcA 결손돌연변이주 구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alcA 유전자 결손 돌연변이를 위해 0.6 kb alcA 5' flanking DNA와 0.7 kb alcA 3' flanking DNA fragment들을 pCP1.11을 주형으로 하여 PCR법으로 증폭한 후, 5' flanking과 3' flanking DNA가 연결된 재조합 suicide vector pDMl을 구축하여 세포 접합을 통해 B. bronchiseptica로 도입시켰다. 도입된 pDM1으로부터 allelic exchange법에 의해 alcA 유전자가 결손된 돌연변이주 B. bronchiseptica H1을 얻을 수 있었다. B. bronchiseptica H1은 야생형인 B. bronchiseptica에 비하여 alcaligin siderophore를 거의 생성하지 못하였다. alc 오페론 중 promoter와 alcA 유전자만을 가지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B. bronchiseptica Hl에 도입하였을 때 alcaligin siderophore의 생산이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cA 유전자가 alcaligin 생합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xpression of the Galactose Mutarotase Gene from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7962 in Escherichia coli

  • Lee, Jong-Hoon;Choi, Jae-Yeon;Lee, Jung-Min;Kim, Jeong-Hwan;Chang, Hae-Choon;Chung, Dae-Kyun;Lee, Hyong-J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6호
    • /
    • pp.840-843
    • /
    • 2000
  • The structure of gal/lac operon of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7962 was partially characterized and the gene (galM) encoding galactose mutarotase was cloned together with the order; galA-galM-galK-galT. The galM was found to be 1,027 bp in length and encoded the protein of 37,609 Da calculated molecular mas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showed a homology with GalM proteins from several other microorganisms. Thus, the galM gene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the product was identified as a 38 kDa protein which corresponded to the size estimated from DNA sequence. mutarotase activity of the IPTG inducedrecombinant was 2.7 times increased against that of the host strain.

  • PDF

청도라지와 백도라지의 구분을 위한 SCAR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SCAR Marker for Discriminating between Violet Flowered Lines and White Flowered Lines in Chinese Bell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 박춘근;방경환;김옥태;김동순;김동휘;성정숙;성낙술;박희운;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
    • /
    • 2007
  • 청도라지와 백도라지를 DNA 수준에서 구분하기 위하여, RAPD 분석을 바탕으로 SCAR primer (SPgR1, SPgR2)를 제작하여 이를 적용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24개의 임의 프라이머를 적용하여 6개의 청도라지와 백도라지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선발하였고, 이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총 18개의 다형성을 나타내는 DNA fragment를 확보하였다. 확보된 DNA fragment 중 2개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청도라지 특이적인 DNA 밴드는 887 bp의 염기서열로 구성되어 있었고 백도라지는 863 bp의 염기서열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두개의 SCAR primer를 제작하였고, 이중 백도라지 특이적인 SPgR2를 이용하여 PCR 한 결과, 청도라지에서는 약 500 bp 크기에서 두 개의 특이적인 밴드가 형성되었으며, 백도라지의 경우 한 개의 특이적인 밴드만 관찰되어 청도라지와 백도라지를 구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SCAR 마커는 청도라지와 백도라지를 구분하기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RAPD Marker를 이용한 피 수집종의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in Echinochloa Species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RAPDs) Markers)

  • 김길웅;손재근;신동현;김경민;김학윤;이인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6-83
    • /
    • 1998
  • 피속 잡초 수집종 33종을 대상으로 RAPD marker를 이용하여 피 수집종 간의 유전적변이를 알아보고, 수집종들을 판별할 수 있는 DNA marker를 선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Operon사에서 제작된 74개의 10-mer RAPD primer 가운데에서 명확한 다형성을 보이는 6개 primer를 선발하였다. 이들 primer로 PCR에서 증폭된 밴드는 31개이었으며 이 가운데 다형성을 나타내는 band는 26개(83.9%)로 나타났다. 피 수집종 간의 유연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시된 피 수집종은 크게 3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 PDF

트립토판 돌연변이 루신-반응 조절 단백질의 형광 특성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a Tryptophan Mutant of Leucine-responsive Regulatory Protein (Lrp))

  • 로버트 포쿠;이의호;이찬용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75-280
    • /
    • 2014
  • 루신-반응 조절 단백질(Lrp)은 18.8 kDa의 분자량을 갖는 16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글로벌 조절 단백질으로서, 야생형의 단백질(Lrp Wt)에는 아미노산 중 가장 강한 자체 형광을 띠는 트립토판이 존재하지 않는다. Lrp 단백질의 구조변이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는 형광분석을 위하여 Lrp Wt과 트립토판이루신-반응 영역에 단지 하나 존재하는 돌연변이 단백질(Lrp R145W)을 분리 정제하였다. Lrp R145W 단백질은 이들 ilvIH 오페론에서 고안된 Lrp 결합 특정 DNA와 아미노산 루신과의 결합 후에 형광이 감소하였으며 acrylamide, urea 등에 의해서도 급격히 쇄광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 형광 실험 결과는 Lrp의 3차원적 구조 및 배향을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대장균 Leucine-Responsive Regulatory Protein의 정제 및 형광분광학적 특성 분석 (Purification and Fluorometric Analysis of Leucine-Responsive Regulatory Protein from Escherichia coli)

  • 이찬용;김성철;서초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4-108
    • /
    • 2010
  • Leucine-responsive regulatory protein (Lrp)는 대장균 (Escherichia coli)에서 발견된 '글로벌 조절자(global regulator)'로서 Lrp-regulon이 leucine에 의하여 상이한 형태의 조절 양상을 나타낸다. 6XHis-tag 시스템으로 제조한 야생형 Lrp (Lrp Wt)와 돌연변이 Lrp (Lrp R145W) 단백질을 정제하여 그들의 생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이들은 gel retardation assay를 통하여 ilv 오페론의 프로모터 영역 consensus 염기서열인 21bp의 이중가닥 DNA와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형광성 아미노산인 tryptophan을 지닌 Lrp R145W은 단백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형광이 커졌으며, 아미노산 leucine에 의하여 형광성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즉 1 ${\mu}M$의 Lrp R145W 단백질에 leucine을 첨가하여 결합시키면 약 20 ${\mu}M$까지는 형광이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양상을 얻었다. 이들 실험 결과는 leucine과 Lrp의 결합 양상 및 구조변이에 관한 심층연구에 있어서 Lrp의 고유 형광성이 요긴하게 쓰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