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illat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9초

하지부 궤양 치험 1례 (A Case Study on Lower Extremity Ulcer)

  • 이규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6-96
    • /
    • 2024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showing rapid skin regeneration and recovery by applying Korean medicine treatment to lower extremity ulcer. Methods : We treated a female patient with idiopathic right leg ulcer by Korean medicine treatment such as herbal medicine, acupuncture, pharmacopuncture, Coptidis Rhizoma distillate wet dressing, and Jawoongo application. The treatment effect was evaluated by visual observation through photography, measurement of the area of the affected area, NRS(Numeral Rating Scale) for the level of discomfort, DLQI(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 and treatment satisfaction. Results :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recovery of skin tissue, reduction in affected area, and decrease in NRS for discomfort and DLQI were observed,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was also high at 80%.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can be effective in treating skin ulcers. We hope that research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skin ulcers will be promoted in the future.

감압증류장치를 이용한 Oilsands Bitumen의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Oilsands Bitumen Using Vacuum Distillation)

  • 김경훈;전상구;노남선;김광호;신대현;박효남;한명완
    • 에너지공학
    • /
    • 제17권1호
    • /
    • pp.15-22
    • /
    • 2008
  • 본 연구는 감압증류장치(Vacuum Distillation Unit)를 이용하여 캐나다산 아사바스카 오일샌드 역청 (Athabasca Oilsands Bitumen)의 증류액(Distillates)및 잔사유(Residue)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감압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생성된 증류액 및 잔사유의 원소분석, SARA 분석, 비점분포 분석, 분자량 측정, API 비중 등을 측정하였으며, 감압증류실험장치는 6 l 용량의 Vessel, 충진컬럼, 응축기, 리플럭스, 증류액 포집플라스크, 온도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었다. 증류액의 구분 조건은 최대 감압 및 최대 $320^{\circ}C$의 승온조건 하에 총 4단계로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오일샌드 역청에 비해 증류액의 황분 및 평균분자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증류액의 온도가 고온으로 갈수록 증류액의 수소함량은 감소하고, 황 함량 및 평균분자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접촉분해경유에 함유된 2,6-dimethylnaphthalene의 분리, 정제(II) - Dimethylnaphthalene 이성체 성분간 분리 -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in the Light Cycle Oil(II) - Separation of Individual Isomers of Dimethylnaphthalene -)

  • 김수진;김상채;카와사키 준지로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869-876
    • /
    • 1996
  • 접촉분해경유(LCO)중에 함유된 2,6-dimethylnaphthalene(2,6-DMNA)의 분리, 정제를 위한 후처리조작으로서 고농도의 dimethylnaphthalene(DMNA) 이성체 혼합물을 함유한 유출액으로부터 2,6-DMNA의 정제를 정석-재결정의 조합에 의해 검토했다. 유출액의 정석에 의해 회수된 결정중에는 2,6-DMNA, 2,7-dimethylnaphthalene(2,7-DMNA)과 2,3-dimethylnaphthalene(2,3-DMNA)이 농축되어, 이들 3 이성체와 그 외의 DMNA 이성체간 분리는 가능하였으나, 2,6-, 2,7-과 2,3-DMNA 이성체간의 분리는 곤란했다. 2,6-DMNA의 정제에 적합한 용매의 선정을 위해, 재결정 용매로 Hexane, iso-propyl ether, ethyl acetate와 ethanol을 사용하여 2,6-과 2,7-DMNA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2,6-DMNA의 정제에는 ethanol이 가장 적합한 용매이었다. 또, 원료로 정석에서 회수된 결정을, 용매로 ethanol을 사용하여 재결정을 행해 2,6-DMNA의 정제에 대한 조작인자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재결정 온도의 상승 및 용매/원료 질량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2,6-DMNA의 정제는 용이했다. 본 연구에서 채용한 정석-재결정법은 DMNA 이성체 성분간 분리에 대한 유효한 분리조합의 하나임이 입증되었다.

  • PDF

백하주의 증류조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illation Operation of Baikha-ju)

  • 민용규;윤향식;정헌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1호
    • /
    • pp.9-13
    • /
    • 1994
  • 백하주의 증류현상을 살피보기 위하여 전통약주인 백하주를 제조하고 압력(760, 460, 260 mmHg)과 환류비(3.1 : 1, 1 : 1) 및 충전물질의 유무에 따른 증류조작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하주의 alcohol함량은 14.2%, 산도는 8.3 g/100 ml, ethyl acetate는 49 ppm, fusel oil은 657 ppm이었다. 증류가 진행됨에 따라 증류액의 alcohol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분액별 alcohol 농도는 상압이 감압 보다 높았다. Still액과 증기상의 alcohol 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울기는 압력이 높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비환류시 증류종말점은 8분액 이었지만 환류시는 5분액 이었다. 또한 환류시 alcohol 평균농도는 환류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상압상태에서 환류비가 3.1 : 1과 1 : 1 일 때 각각 0.56, 0.54 mole이었다. 증류속도는 증류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상압보다 감압에서 빨랐고 충전상태의 260 mmHg에서 0.14 ml/sec로 가장 빨랐다. 환류시는 환류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평균 증류속도는 상압상태에서 환류비가 3.1 : 1과 1 : 1일 때 각각 0.05, 0.06 ml/sec이었다.

  • PDF

SBR 가황물에서 용매추출 및 분리에 의한 PCA 오일 Type 확인법 (A New Method to Identify PCA Oil Type through Solvent Extraction and Separation Skills in a SBR Vulcanizate)

  • 김민생;손경숙;이중훈;김익식;최성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1호
    • /
    • pp.36-42
    • /
    • 2012
  • 공정오일 내 다핵성 방향족 화합물(PCA)은 무게함량 대비 3%이상 함유한 경우 피부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함량과 고함량 PCA 오일의 구분 기준은 PCA 함량 3%에 근거한다. 기준 함량 이상이면 발암성 물질인 고함량 PCA 오일로 DAE가 있으며, 기준 함량 이하이면 인체에 안전한 저함량 PCA 오일로 TDAE, MES, 파라핀 오일이 이에 속한다. 상기 4종류의 공정오일을 적용한 SBR 가황물에 용매 추출 및 분리로 오일을 정제한 후, FT-IR분광 기술을 이용하여 PCA 오일 종류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파라핀 오일이 적용된 SBR 가황물에서 고무 약품인 HPPD, TMDQ, 왁스, 공정조제(Structol-40MS)의 오일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분리 정제된 오일로부터 저함량과 고함량 PCA 오일 구분은 방향족 치환체 흡수영역인 파수 864, 810, 754 및 파라핀 또는 나프텐 흡수영역인 파수 721의 상대적인 흡수세기로 확인할 수 있었다.

직접 접촉식 막증류 공정에서 담수 투과량 및 열효율 극대화를 위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for the Maximizing Water Vapor Flux and Thermal Efficiency in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DCMD) Process)

  • 김상훈;이정길;김우승
    • 멤브레인
    • /
    • 제22권5호
    • /
    • pp.369-38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직접 접촉식 막증류 공정에서 운전인자에 따른 담수 투과량과 열효율을 예측하기 위해 열 및 물질전달 방정식을 이용하여 1차원 해석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해석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해석모델 결과와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DCMD 모듈에서 염수와 증류수의 입구온도 및 입구속도가 담수 투과량 및 열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염수의 입구온도와 입구속도가 증류수의 입구온도와 입구속도보다 담수 투과량과 열효율 증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지배적인 운전특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염수의 입구온도가 $60^{\circ}C$에서 $95^{\circ}C$로 증가할 때 담수 투과량이 21.22 $kg/m^2h$에서 71.26 $kg/m^2h$로 3.4배 증가하였고 열효율은 0.556에서 0.765로 37.5% 증가하였다. 한편, 염수의 입구속도가 60에서 300 m/h로 증가함에 따라 담수 투과량이 27.91 $kg/m^2h$에서 36.33 $kg/m^2h$로 30% 증가하였고 열효율은 0.6에서 0.646로 7.5%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GTL(Gas-to-Liquid) 기술 현황

  • 전기원
    • 에너지공학
    • /
    • 제16권2호
    • /
    • pp.58-63
    • /
    • 2007
  • 최근 신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천연가스를 이용한 합성석유 제조기술 개발의 중요성이 점차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GTL(Gas-to-Liquids) 공청은 현재의 고유가 상황에서 경쟁력 있는 사업 분야를 제공 할 것으로 분석되고, GTL 제품은 환경오염물질이 거의 없어 21 세기의 환경규제 강화 추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청정연료이다. GTL 공정은 크게 천연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의 리포밍 반응을 거쳐 합성가스 ($CO+H_{2}$)를 제조하는 단계, 이 합성가스로부터 FT 합성반응을 통하여 액체 합성원유를 제조하는 단계, 합성원유를 개질하는 단계 (수첨분해/수첨이성질화)로 이루어진다. 본 총설에서는 GTL 기술의 개요와 세계적인 개발 동향을 천연가스 reforming 기술과 FT 합성유 제조 기술에 중점을 두고서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산 무우의 휘발성 함유황화합물에 관하여 (Volatile Sulfur Components from Fresh Radishes of Korean Origin)

  • Kim, Mee-Ree;Rhee, Hei-Soo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3-39
    • /
    • 1985
  • 생무우(태백무우, 알타리무우)에 존재하는 휘발성 함유황화합물을 수증기 증류 및 용매추출($CCl_4$)방법에 의해 추출하여 GC/MS 분석법에 의해 분리 확인하였다. 수증기 증류로 얻은 2종 무우의 휘발성 함유황 성분들의 GC profile은 유사하였으며, 4-methyl-pentyl, 3-methylthiopropyl, 4-methylthio-3-butenyl, 4-rnethylthiobutyl, 5-methylthiopentyl isothiocyanate 와 5-methylthio-4-pentenenitrile, 1-methylthio-3-pentanone, dimethyl sulfides 등이 분리 확인되었다. 한편 $CCl_4$추출물에는 4-methylsulfinyl-3-butenyl isothiocyanate도 존재하였다. 수증기 증류에서 는 4-methylthiobutyl isothiocyanate가, 그리고 $CCl_4$추출에서 는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가 각각 주된 휘발성 함유황 화합물이었다.

  • PDF

Desalination of geothermal water by membrane distillation

  • Gryta, M.;Palczynski, M.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2권3호
    • /
    • pp.147-158
    • /
    • 2011
  •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 was used for desalination of hot (333 K) geothermal water, which was applied in the plant producing heating water. The investigated water contained 120 g salts/$dm^3$, mainly NaCl. The mineral composition was studied using an ion chromatography method. The obtained rejection of solutes was closed to 100%, but the small amounts of $NH_3$ also diffused through the membrane together with water vapour. However, the composition of obtained distillate allowed to use it as a makeup water in the heating water system. The geothermal water under study was concentrated from 120 to 286 g NaCl/$dm^3$. This increase in the solution concentration caused the permeate flux decline by a 10-20%. The geothermal water contained sulphates, which was subjected to two-fold concentration to achieve the concentration 2.4-2.6 g $SO{_4}{^{2-}}/dm^3$ and the sulphates then crystallized in the form of calcium sulphate. As a results, an intensive membranes scaling and the permeate flux decline was observed. The XRD analysis indicated that beside the gypsum also the NaCl crystallites were deposited on the membrane surfaces. The fresh geothermal water dissolved the mixed $CaSO_4$ and NaCl deposit from the membrane surface. This property can be utilized for self-cleaning of MD modules. Using a batch feeding of MD installation, the concentration of geothermal water was carried out over 800 h, without significant performance losses.

선박용 연료유와 윤활유의 조합에 의한 락커 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Lacquer Formation in Combined of Marine Fuel Oil and Marine Lubricant Oil)

  • 홍성호;박종국;류영석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1권3호
    • /
    • pp.86-94
    • /
    • 2015
  • We perform lacquer formation experiments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marine fuel oils and lubricant oils. We als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base number (BN) in lubricant oil and sulfur content in fuel oil. A dissolution test with 10% dilute sulfuric acid and pull-off force test are accomplished to distinguish whether the residual layers are lacquering or not. The lacquering layers are dissolved by dilute sulfuric acid and have a strong pull-off force. Moreover, the calcium content detected in the residual layers is compared by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More calcium is detected in the lacquer layers than in other residual layers. Distillate fuels containing low sulfur levels are more prone to lacquering when mixed with lubricant oil with a high BN. On the other hand, residual fuels with a high sulfur content do not form lacquer.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mixture volume ratio. The mixture with higher fuel oil content is more prone to generate lacquer. These experiments indicate that a lubricant with an appropriate BN should be used to prevent lacquer forming on the surfaces such as cylinder liners depending on the sulfur content of fuel 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