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ontinuity error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2초

EGI Velocity Integration Algorithm for SAR Motion Measurement

  • Lee, Soojeong;Park, Woo Jung;Park, Yong-gonjong;Park, Chan Gook;Song, Jong-Hwa;Bae, Chang-Sik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8권4호
    • /
    • pp.175-181
    • /
    • 2019
  • This paper suggests a velocity integration algorithm for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motion measurement to reduce discontinuity of range error. When using position data from Embedded GPS/INS (EGI) to form SAR image, the discontinuity of the data degrades SAR image quality. In this paper, to reduce the discontinuity of EGI position data, EGI velocity integration is suggested which obtains navigation solution by integrating velocity data from EGI. Simulation shows that the method improves SAR image quality by reducing the discontinuity of range error. INS is a similar algorithm to EGI velocity integration in the way that it also obtains navigation solution by integrating velocity measured by IMU. Comparing INS and EGI velocity integration according to grades of IMU and GPS, EGI velocity integration is more suitable for the real system. Through this, EGI velocity integration is suggested, which improves SAR image quality more than existing algorithms.

그래디언트 차를 이용한 확장된 블록매칭 기반의 에러은폐기법 (Error Concealment based on Extended Block Matching using Gradient Difference)

  • 김동욱;김진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2C호
    • /
    • pp.201-208
    • /
    • 2003
  • 에러 은폐기법은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회의 등 실시간 전송을 필요로 하는 응용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불연속에 민감한 시각 특성을 고려하여 블록 경계의 차를 최소화하는 에러 은폐기법을 제안한다. 손실 블록에 대한 에러 은폐는 그래디언트 차에 기반을 둔 확장된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제안된 기법은 실험 영상에 대한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기법에 비해 평균 약 1.3㏈ 의 화질의 향상을 가져왔다.

Tunnel Mapper를 이용한 Tunnel 막장면 조사에 관한 연구 (Study of Tunnel Face Mapping Using Tunnel Mapper)

  • 곽노경;조성진;이송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2차
    • /
    • pp.200-211
    • /
    • 2010
  • Tunnel Mapper, which is tunnel face survey system was used to conduct Face Mapping on the face of the tunnel that is under construction. Then, accuracy and utility value on the forecast of discontinuity were verified to verify the field application in order to present the measures for the use of the system for conducting research on the discontinuity. As result of the directivity verification following discontinuity‘s project, forecasted measurement and actually researched measurement error for the Dip direction and Dip angle was less than ${\pm}10$. Accuracy was 82.6% for Dip direction and 90.7% for Dip angle, which are high. Accordingly, face research discontinuity forecasting system's reliability level towards directivity is high. Tunnel Mapper, a tunnel face survey system can be leveraged to replace face's visual survey and to obtain objective information, enabling execution of the survey system that can automate face survey going beyond time and space related limitations.

  • PDF

매개변수 사전 오차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SAR 요동측정 알고리즘 (Motion Sensing Algorithm for SAR Image Using Pre-Parametric Error Modeling)

  • 박우정;박용곤종;이수정;박찬국;송종화;배창식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7권8호
    • /
    • pp.566-573
    • /
    • 2019
  • 항공 SAR에서 고품질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영상 획득 구간에서 항공기의 요동을 정확히 측정하여야 한다. 특히 요동측정을 할 때 상대적 위치오차 및 불연속성 오차를 줄여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합성 개구 레이더(SAR)에서 실시간으로 요동측정을 하는 매개변수 사전 오차 모델링 방법(P-PEM, Pre-Parametric Error Modeling)을 제안한다. P-PEM은 기존에 본 연구진에서 제안한 항법오차를 다항식으로 모델링하여 추정하는 매개변수 오차 모델링 기법(PEM, Parametric Error Modeling)에서 확장된 기법이다. PEM은 IMU에 의한 INS 오차를 짧은 시간 동안 다항식이라 가정하여 모델링하는 요동측정기법이다. 반면, P-PEM은 다항식 오차 모델의 계수를 미리 추정하고 영상촬영단계에서 사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P-PEM을 적용하면 실시간으로 불연속성 오차를 제거한 요동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슬라이딩 모드 제어를 위한 인자 튜닝 알고리듬 (Parameter Tuning Algorithm for Sliding Mode Control)

  • 류세희;박장현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8-442
    • /
    • 2003
  • For an efficient sliding mode control system stability and chattering avoidance should be guaranteed. A continuation method using boundary layer is well known as one solution for this. However since not only model uncertainties and disturbances but also control task itself is variabl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set controller parameters - control discontinuity, control bandwidth, boundary layer thickness - in advance. In this paper first an adaptation law of control discontinuity is introduced to assure system stability and then fuzzy logic based tuning algorithm of design parameters is applied based on monitored performance indices of tracking error, control chattering, and model precision. In the end maximum control bandwidth not exciting unmodeled dynamics and minimum control discontinuity, boundary layer thickness making system stable and free of chattering are found respectively. This eliminates control chattering and enhances control accuracy as much as possible under given control situa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safe headway maintenance control for autonomous transportation system is simulated. The contro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guarantees system stability all the time and tunes control parameters consistently and in consequence implements an efficient control in terms of both accuracy and actuator chattering.

  • PDF

이동형 항체를 위한 Network RTK 보정정보 불연속 해소 방안 (A Study to Solve the Discontinuity of Network RTK Correction for Vehicle)

  • 박병운;송준솔;기창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8-79
    • /
    • 2012
  • 최근 항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기준국으로부터의 거리와 관계없이 높은 정확도와 신뢰도의 유지가 가능한 단방향 Network RTK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단방향 Network RTK 방식의 보정정보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인근 기준국의 망 구성을 통해 생성되고 사용자가 이동시 보정정보 생성을 위한 기준국 조합이 바뀌므로 보정정보의 불연속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보정정보의 불연속은 RTK 위치 결정을 위한 이중차분으로도 제거되지 않고, 본 논문에서 구성한 시뮬레이션의 경우 수평 13cm, 수직 48cm의 오차를 야기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종 네트워크간 주(Master) 기준국을 동일화하는 방안, 복수의 보정정보 수신 모듈을 설치하여 비교 보상하는 방안, 이종 네트워크 간 미지정수 레벨링의 세 가지 방법을 본 논문에서 제시한다.

  • PDF

Extraction of a crack opening from a continuous approach using regularized damage models

  • Dufour, Frederic;Pijaudier-Cabot, Gilles;Choinska, Marta;Huerta, Antonio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5권4호
    • /
    • pp.375-388
    • /
    • 2008
  • Crack opening governs many transfer properties that play a pivotal role in durability analyses. Instead of trying to combine continuum and discrete models in computational analyses, it would be attractive to derive from the continuum approach an estimate of crack opening, without considering the explicit description of a discontinuous displacement field in the computational model. This is the prime objective of this contribution. The derivation i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wo continuous variables: the distribution if the effective non local strain that controls damage and an analytical distribution of the effective non local variable that derives from a strong discontinuity analysis. Close to complete failure, these distributions should be very close to each other. Their comparison provides two quantities: the displacement jump across the crack [U]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rofiles. This distance is an error indicator defining how close the damage distribution is from that corresponding to a crack surrounded by a fracture process zone. It may subsequently serve in continuous/discrete models in order to define the threshold below which the continuum approach is close enough to the discrete one in order to switch descriptions. The estimation of the crack opening is illustrated on a one-dimensional example and the error between the profiles issued from discontinuous and FE analyses is found to be of a few percents close to complete failure.

정현파 크기로 가중치 된 위상 오류 함수를 사용한 음성의 중첩합산 정현파 합성 방법 (Overlap and Add Sinusoidal Synthesis Method of Speech Signal using Amplitude-weighted Phase Error Function)

  • 박종배;김규진;정규혁;김종학;이인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C호
    • /
    • pp.1149-115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음성신호의 정현파 합성방법 중 하나인 선형위상을 사용한 중첩합산방법에 대하여 합성응성의 연속성을 개선시킨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중첩합산 정현파 합성방법은 프레임의 중간 지점에 대한 위상 값을 예측하기 위해 합성 파형의 경계면에 대한 위상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제안된 방법은 중간지점의 위상만이 아닌 최종 합성된 신호들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합성신호의 오차 함수를 최소화하는 과정은 정현파 크기 값을 가중치로 사용한 위상오차 함수로 근사화 될 수 있다. 제안된 합성 방법의 연속성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합성신호의 전 구간에 대한 합성 신호들 간의 평균 오차 값 및 청취자 테스트를 하였다. 기존의 위상 오차함수와 비교하여 개선된 연속성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차단대역 특성이 개선된 금속삽입 필터의 성능평가 (Performance of the Metal Insert Filter with Improved Stopband Characteristic)

  • 김병수;전계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6A호
    • /
    • pp.818-824
    • /
    • 2000
  • 단일 또는 2중 금속삽입 필터의 도파관 폭을 축소시켜 차단대역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필터는 도파관의 폭 변화에 의한 삽입손실을 최소화시켜야 하는 설계상의 어려움과 더불어 도파관의 폭을 축소시키는 까다로운 제작상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파관의 폭을 변화시켜 차단대역 특성을 개선시키는 필터의 설계와 제작이 어려우므로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폭 변화없는 3중 금속삽입 필터의 사용을 제안하고 삽입 금속판 길이의 제작상 오차 0.1mm를 고려한 최적화 설계방법을 사용하여 필터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제작된 3중 금속삽입 필터의 측정 결과는 13.62 GHz에서 67.5 dB의 삽입손실로 가장 개선된 차단대역 특성으로 설계치와 일치하였다. 그러므로 필터의 최적화 설계에 의한 3중 금속삽입 필터의 제작방법이 차단대역 특성을 개선시키는데 실용적임을 보였다.

  • PDF

영상의 불연속 특성을 이용한 손상된 움직임 벡터 복원 기법 (Recovering Corrupted Motion Vectors using Discontinuity Features of an Image)

  • 손남례;이귀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3호
    • /
    • pp.298-304
    • /
    • 2004
  • 이동 통신 채널과 같은 저대역 통신망에서는 비디오 전송을 위해서는 높은 압축율을 갖는 부호화 방법들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대역폭 통신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 표준인 H.263 부호화를 기반으로 전송도중 손상된 움직임 벡터의 복원기법을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공간적으로 인접한 블록간에는 움직임 벡터의 상관성이 높기 때문에 손실블록 또한 이 블록들과 움직임이 비슷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손실블록의 주변블록 중에서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을 갖는 블록들로 구성된 동일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고, 이 블록들을 이용하여 손실블록의 움직임벡터를 복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정확한 손실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찾아 거의 완벽하게 복원하기도 하지만 정확한 움직임벡터를 찾지 못한 경우에는 주변블록과 가장 비슷한 움직임벡터를 찾아서 에러를 복원하는 효과가 있다. 제안한 방법으로 복원한 영상은 전체적으로 눈에 거슬리는 오류가 생기지 않으므로 주관적인 화질이 좋았다. 또한 객관적인 척도인 PSNR 측면에서는 영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기존 BMA 방법보다 약 0.5㏈∼1㏈ 정도 향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