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safety policy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7초

2000년 이후 일본 학교안전정책의 변화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changes in Japanese school safety policy since 2000)

  • 박윤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3호
    • /
    • pp.51-60
    • /
    • 2017
  • 21세기 일본의 학교안전은 학교교육 정책의 변화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일본 학교교육의 목적은 "살아가는 힘(zest for life)"을 증진시킴으로써 자립 협동 창조적인 인간으로 육성하는데 있다. 이를 반영하여 학교안전의 목적도 어떠한 재난 상황에서도 학생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생존 역량을 강화하는데 두고 있다. 일본 학교안전의 주요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역량 강조 2) 가정 및 지역사회의 학교안전 역할 중시 3) 학교안전과 학교교육의 균형 4) 체험학습 및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을 통한 안전교육 강조 5) 안전한 학교시설 추구 6) 학교안전 개선을 위한 PDCA(Plan-Do-Check-Act) 적용 7) UN 안전학교 모델 도입 및 확산. 일본 학교안전에 대한 논의는 최근 제도적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 나라 학교안전에 의미 있는 시사를 줄 것이다.

고등학생의 안전의식, 재난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지식 (Safe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Disaster Safety Education and First Aid Knowledge)

  • 정은영;임경숙;김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417-426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안전의식과 재난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지식 정도를 알아보고 안전의식과 응급처치 지식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G시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293명으로 2018년 3월 19일부터 3월 28일까지 자료수집 후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응급처치 지식 정답률은 40.15%였으며, 안전의식과 응급처치지식의 하위영역의 관련성에서 응급상황 시 행동요령(r=-.131, p=.025), 호흡계와 순환계(r=.213, p<.001), 드레싱과 붕대(r=.156, p=.008)와 관련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안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기여하였으며, 응급처치지식 수준 향상과 다양한 상황에 따른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가 요구된다.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재난안전분야 국제표준 동향분석 및 활성화 연구 (Trend Analysis and Activating Study on International Societal Security Standard for Chemical Accidents Prevention)

  • 유병태;양재모;오금호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9-14
    • /
    • 2013
  • 전 세계적으로 태풍, 쓰나미, 화학사고 등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환경 속에서 국제표준화기구(ISO)내 재난안전분야에서는 재난관리 연속성 확보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제표준 제정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4건의 국제표준이 제정되었으며 이중 우리나라는 2012년과 2013년에 걸쳐 2건(ISO22300, ISO22301)의 재난안전관리 국제표준을 한국산업표준으로 제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분야의 국제표준 제정의 국제동향을 분석하고 국제표준제정에 따른 재난안전분야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국가표준기준기본계획을 분석하여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재난안전관리 매뉴얼 개선의 필요성과 재난안전 산업육성을 위한 재난안전분야 인증체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후 본 연구를 활용하여 좀 더 전문적이고 집중적인 국제수준에 부합하는 재난안전관리 정책수립 및 연구개발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형화재실험을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EIFS) 화재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Assessment of EIFS by Cone Calorimeter Test & Single Burning Item Test)

  • 민세홍;김미숙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
    • /
    • 2010
  • Recently, in circumstantial situation it is recommended positively to utilize of EIFS(Exterior Insulating and Finishing System) as energy policy for economizing energy. But internal EPS insulators of EIFS are exterior panel of high fire risk, because of constituting of flammable materials to be fragile in fire. In this study, fire risk is assessed by experiment Con Calorimeter test and SBI(Single Burning Item) test. As the result of experiment, Con Calorimeter tests do not reach to capability standard of internal incombustible grade, and are assessed as low grade in SBI incombustible grade. Because EIPS is exterior material in buildings with high fire risk in spite of good efficiency, it is required rapidly to take measures to meet situation through various studies(for instance, adjusting law regulation, etc.) in the future.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 구현방안 연구 : 공공과 민간 분야 전문가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Study on Realistic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mplementation Plan : Focusing on Differential Views in Public and Private Experts)

  • 최우철;김태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25-63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민안전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화재, 지진 등 재난분야를 관리하는 공공 영역과 주로 재난 관련 세부기술들을 개발하는 민간 영역의 실감형 재난서비스 요구사항을 고려하기 위하여 공공과 민간 그룹별 전문가 AHP 설문분석을 진행하였다. 재난 및 공간정보 관련 분야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하여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 항목 계층 구조를 설정하였으며, 설문의 일관성 지수는 0.058로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중요도 평가 결과, 1계층의 경우 재난발생 긴급대응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2계층의 경우 시민대상 상세 재난 상황 정보 알림, 관리자용 실시간 3차원 현장상황 제공, 유관기관 자동 정보연계 순으로 평가되었다. 그룹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공공은 시민(1순위), 관리자(3순위), 유관기관(2순위)에 재난상황 정보의 정확성(4, 6순위)을, 민간은 미래기술을 활용한 3차원 관제(1순위, 3순위, 5순위)에 대한 중요도를 가치있게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의 안전 우선 가치와 민간의 기술혁신 가치 요구에 상응하는 3D 안전상태정보 플랫폼 기반의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 구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테스트베드 및 상용화 단계 시 기술 적용과 세부 시나리오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의 실질적 적용 및 운영방안, 지자체 확산을 위한 재원 마련 및 정책적 지원방안 등의 후속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u-Gov의 재난 대응체계를 위해 UT를 응용한 예측 프로토타입과 정책적과제 연구 (A study on a UT applied forecast prototype and policy for u-Gov's actional system to disaster)

  • 정영철;배용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173-182
    • /
    • 2010
  • 최근 우리사회는 예측이 불가능한 재난발생의 양상이 다변화 하고 있다. 그러므로 안전문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나타나면서, UT를 활용한 우리 일상의 재난 대응체계를 준비하자는 해결방안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u-Gov의 응용서비스로 재난 대응체계를 위해 UT를 응용한 예측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UT를 응용한 정책과제로, e-Gov와 u-Gov의 차별성을 비교분석하여, e-Gov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u-Gov의 개선안과 예측 프로토타입 구현시 예상되는 문제의 개선점도 제시하였다.

건설현장의 재해사례 분석을 통한 타워크레인 안전성 확보 방안 연구 (Study to Secure the Safety of Tower Cranes through Disaster Case Analysis at Construction Sites)

  • 손승현;김지명;안성진;나영주;김태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7-67
    • /
    • 2022
  • 타워크레인은 기초 단면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상부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고위험성이 매우 크다. 현재 타워크레인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점에 타워크레인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예방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타워크레인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해사례 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2012년 7월부터 2020년 7월까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접수된 타워 크레인 재해사례 260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작업 공종 중에서는 인양작업이 45.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재해 형태 중에서는 추락에 의한 사고가 35.8%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고 발생원인은 작업방법 불량이 38.8%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타워크레인 사고예방을 위한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긴급자동차 복귀 중 교통사고 특례에 대한 소방공무원의 인식조사 (Perception Survey of Firefighters on Application of Emergency Vehicle Exemption during Return to Station Accidents)

  • 임영진;장덕진;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9-151
    • /
    • 2023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xemptions for traffic accidents during the return of emergency vehicle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3,500 firefighter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raffic accidents during the return of emergency vehicles, and responses from 505 participa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frequency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to analyze basic statistics and the current sit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firefighters have concerns and anxieties about traffic accidents during the return of emergency vehicles, and the need for applying exemptions and enacting explicit legal provisions was statistically confirmed.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a policy for exemptions to improve the preparation for re-deployment and to alleviate the concerns and anxieties of firefighters.

코로나19 대응에서 발신자 특성과 재난 메세지가 구성원의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중관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nder Characteristics and Disaster Messages on Members' Response Behavior in Response to COVID-19: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ublic Relations)

  • 정기식;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52-362
    • /
    • 2023
  • 연구목적: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위기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평상시 어떤 활동들이 기업에 요구되는지를 탐색하여 정책적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L기업에 재직 중인 종사자를 대상으로 회사의 코로나 19 대응 과정에서 느낀 재난 대응부서, 재난 메시지와 평상시 회사에 대한 인식 및 종사자의 반응행동 정도에 대해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신자 특성은 구성원의 행동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기업 내부의 재난 대응 메시지는 구성원의 규범적 행동에는 영향이 없는 반면, 재량적 행동에는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발신자 특성과 재난 대응 메시지는 공중관계성에 정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공중관계성은 발신자 특성과 구성원의 재량적 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평상시 기업 내부의 재난 컨트롤타워에서는 재난 대응 메시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며, 공중관계성 강화를 위한 구성원 친화적인 기업문화 구축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

우주위험 대비를 위한 R&D 대응전략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R&D Response Strategy to prepare Hazardous Space Situation)

  • 김시은;조성기;최은정;홍정유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25-32
    • /
    • 2016
  • 기술의 개발은 인류의 활동영역을 넓히고, 기존에 대응하지 못했던 재난 상황에의 대응을 가능케 한다. 한편, 인류의 우주개발 활동은 새로운 종류의 재난인 우주물체에 의한 위험을 인식하게 하였다. 지난 '13년 러시아 첼야빈스크에 추락하여 1천 5백여 명의 인명피해를 낸 소행성처럼 과거에는 혜성 등 자연우주물체만이 위험요소에 해당하였다면, 오늘날에는 '87년 구소련의 원자력 핵전지 탑재 위성 추락, '12년 러시아의 포보스-그룬트 위성 추락 등 인공우주물체의 추락마저도 인류가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위험요인이 된 것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국가차원의 대비책을 마련하고자 '14년에 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을 확정하여 우주위험 예 경보 및 감시 분석 능력 등에 대한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주위험을 대비하기 위해 개발해야 하는 기술의 중요성 및 시급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근거로 우주위험감시기술개발 추진을 위한 정책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