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preparedness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6초

임상간호사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ies in Clinical Nurses)

  • 조진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93-10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재난간호 교육요구도와 핵심수행능력 정도를 알아보고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연구결과, 재난경험에 따라 교육요구도에 차이가 있었고(p=.036), 연령(p=.013), 부서(p=.007), 재난교육 경험유무(p<.001), 재난대비 인식정도(p<.001)에 따라 핵심수행능력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재난대비 인식정도(p=.003), 재난교육 경험(p<.001)을 확인하였다. 이에 재난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재난역량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임상실무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재난간호 시뮬레이션이 재난관리에 대한 태도, 재난 준비도, 학습 자기효능감, 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isaster Nursing Simulation on Attitudes toward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Preparedness, Learning Self-efficacy, and Nursing Practice Satisfac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이현예;하영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04-112
    • /
    • 2022
  • Purpose: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aster nursing simulation training on attitudes toward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preparedness, learning self-efficacy and nursing practice satisfac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tudy is based on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95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 nursing college. Disaster nursing simulation training for fire and earthquake situations were provided for 8 hours in one da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disaster management (t=2.20, p=.030), disaster preparedness (t=7.88, p<.001), learning self-efficacy (t=3.69, p<.001), and nursing practice satisfaction (t=5.28, p<.001). Conclusion: Based on our finding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disaster nursing simulation training to improv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일 지역 대학생의 재난경험과 재난대비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Disaster Experience and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 강경희;엄동춘;남은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24-43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aster experience (accidents, education etc) and the concern for disaster preparedness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2011 to December 30, 2011 and analyzed by the SPSS PASW statistics 18.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major (p<.050), grade(p<.001), and a completed disaster class(p<.001)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ncern for disaster preparedness. The major disaster events that occurred from 2003 to 2010 in Korea were the 2007 Taean oil spill (85.4%), the 2003 Daegu subway fire (82.7%), and the 2008 Sungnyemun fire (62.9%). The possible disaster events in Korea were hurricanes, floods, fires (including wildfire), and the shutdown of communication lines. Subjects learned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8.2%), first aid for bleeding and fractures (17.8%), a fire drill (14.3%), and an escape drill for an earthquake (14.0%). They wanted to learn the fire drill (11.33%), the escape drill for an earthquake (9.7%), a war drill (9.0%), a disaster confrontation drill on the subway (8.6%), and a fire and explosion evacuation drill (8.4%). Half of subjects were not prepared with emergency supplies for disasters because they thought that a disaster would not occu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disaster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subject's demands in Korea.

방재부문 교육 컨텐츠 설계에 관한 연구 - 현장대비 및 대응 중심의 교육과정, 과목 설계 - (Study on Design for Training Contents about Disaster Management - Design for Training Courses and Subjects Focus on Disaster Field Preparedness and Response -)

  • 이용재;남상훈;이영재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1-20
    • /
    • 2012
  • 최근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구미 불산 누출사고 등 국민의 인명과 재산에 막대한 손실을 입히는 중대재난이 계속 발생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처가 불충분하여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한층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재난관리 전문가 양성을 통한 방재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방재부문의 교육 컨텐츠 체계 정립의 핵심기반을 마련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수요예측에 의한 교육과정 및 교육과목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재난 현장대비 및 대응 중심의 교육과목을 설계하였다.

융합적 측면에서의 재난간호대비·대응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Disaster Nursing Preparedness·Response Competency(DNPRC) Scale in terms of Convergence)

  • 안옥희;장은희;김서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01-111
    • /
    • 2017
  • 본 연구는 융합적 측면에서의 간호사의 재난에 대한 대비 대응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ICN Framework of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를 바탕으로하여 국내 문헌 고찰을 통해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간호사 291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대비역량과 대응역량을 각각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수렴타당도는 간호사 재난대비상태 측정도구(DPQ-N)와의 상관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재난간호대비 대응역량 측정도구는 5점 Likert 척도로서, 대비역량 3개 영역의 16문항, 대응역량 4개 영역의 18문항의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6$이었다. 본 연구는 향후 간호사의 재난간호역량을 확인하고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연구와, 간호사의 재난간호역량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재난간호 융합교육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재난간호 지식, 준비도 및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Disaster Nurs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Knowledge, Preparedness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 정향미;김남희;이연희;김묘성;김명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77-386
    • /
    • 2018
  • 본 연구는 재난간호 융합교육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재난간호 지식, 준비도 및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로 연구대상자는 B 광역시 소재 간호학과 4학년 학생 57명으로 실험군 27명, 대조군 30명이었다. 재난관리, 재난상황 실습 및 재난심리교육 등으로 구성된 재난간호 융합교육프로그램을 6월 26일부터 7월 7일까지 2주간 총 56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재난간호 융합교육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재난간호 지식(F=81.41, p<.001), 준비도(F=110.62, p<.001), 자신감(t=7.27, p<.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재난간호 융합교육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재난간호 지식, 준비도, 자신감 향상에 유용한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융합적 측면에서의 재난교육은 재난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효과적이므로 다양한 재난관련 교육이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개발되고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지역의 재난대비 실태와 미국의 재난대비 정책 고찰 연구 (A Study of Emergency Preparedness Status of Korea's Local Governments and Emergency Preparedness Policies of United States' Government)

  • 위금숙;정안영;심지혜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37-42
    • /
    • 2012
  • 태풍, 화학사고 등 재난발생시 신속한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역 차원에서 재난대응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비 실태를 현행 법 제도와 재난관리담당 공무원의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미국 정부의 지방자치단체 재난대비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들을 소개하였으며, 이는 우리나라 정부가 지역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재난대비 정책의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재난준비도 및 셀프리더십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Disaster Preparedness and Self-leadership in University Students)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19-22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 재난준비도 및 셀프리더십의 수준을 확인하고, 자기 효능감, 재난준비도 및 셀프리더십의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대학생을 위한 재난예방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대학의 141명의 대학생으로 부터 자료를 설문조사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의 기간은 2017년 4월 3일부터 4월 17일까지 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t-test, ANOVA, Scheffe's test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이 되었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은 3.51점 이었고, 셀프리더십의 수준은 3.53점 이었다.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재난준비도 및 셀프리더십 간의 상관분석을 살펴보면, 자기 효능감은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재난준비도는 자기 효능감과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생의 재난준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에 대한 고려가 되어져야 한다.

Evacuation Route Simulation for Tsunami Preparedness Using Remote Sensing Satellite Data (Case Study: Padang City, West Sumatera Province, Indonesia)

  • Trisakti, Bambang;Carolita, Ita;Nur, Maward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47-50
    • /
    • 2006
  • Tsunami disaster caused great damages and very large victims especially when occurs in urban area along coastal region. Therefore information of evacuation in a map is very important for disaster preparedness in order to minimize the number of victims in affected area. Here, information generated from remote sensing satellite data (SPOT 5 and DEM) and secondary data (administration boundary and field survey data) are used to simulate evacuation route and to produce a map for Padang City. Vulnerability and evacuation areas are determined based on DEM. Landuse/landcover, accessibility areas, infrastructure and landmark are extracted from SPOT 5 data. All the data obtained from remote sensing and secondary data are integrated using geospatial modelling to determine evacuation routes. Finally the simulation of evacuation route in Padang City for tsunami preparedness is provided based on the parameters derived from remote sensing data such as distances from shelters, save zones, city's landmarks and the local community experiences how they can survive with the disaster.

  • PDF

Effectiveness of the Infectious Disease (COVID-19) Simulation Module Program on Nursing Students: Disaster Nursing Scenarios

  • Hwang, Won Ju;Lee, Jungyeon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648-66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OVID-19) simulation module for nursing students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A one-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with 7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 simulation module was developed based on the Jeffries simulation model. It consisted of pre-simulation lectures on disaster nursing including infectious disease pandemics, practice, and debriefings with serial tests. The scenarios contained pre-hospital settings, home visits, arrival to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follow-up home visits for rehabilitation. Results: Disaster prepared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s did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increased, as di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disaster response. However, critical thin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ime points, and neither did triage scores. Conclusion: The developed simulation program targeting an infectious disease disaster positively impacts disaster preparedness,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nd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a high-fidelity module for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personnel. Based on the current pandemic, we suggest developing more scenarios with virtual reality simulations, as disaster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is required now more than 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