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topographical map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4초

집단마을 조성사업용 GSIS 구축을 위한 기구사진체계의 활용 (The Utilization of Photo Balloon System to GSIS Construction for Build-up a Group of Villages)

  • 이재기;이현직;조재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7-79
    • /
    • 1994
  • 최근 급격한 경제성장은 도시영역 및 인구의 확장으로 인한 도시문제를 야기시켰으며, 이와 같은 도시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국토개발과 관련된 각종 계획 및 사업을 수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합리적인 계획 및 설계의 추진을 위해서는 대상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지형정보의 제공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대상지역에 대한 계획 및 사업의 합리적인 추진에 영향을 미치는 신속하고 정확한 지형정보의 제공을 위해 기구사진체계를 도입하고 자료해석방법으로 수치사진측량의 정사투영영상 제작 알고리즘을 정립함으로써 소규모대상지역에 대한 지형공간정보체계의 구축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수행결과, 기구사진체계적 안정성 및 균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소규모대상지역의 지형공간정보체계의 구축에 필수적인 지형정보의 해석방법을 정립할 수 있었다.

  • PDF

A Digital Bathymetric Model combining Multi Beam Echo Sounder and Sidescan Sonar

  • Park, Jo-Seph;Kim, Hik-I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30-330
    • /
    • 2002
  • The combination of Multi-Beam Echo Sounder swath bathymetry and high-resolution towed Sidescan sonar provides a powerful method of examination about hydrographic survey result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fast method of 3D bathymetric reconstruction with the Digital Sidescan sonar(Benthos SIS 1500) and Shallow Multi-Beam Echo Sounder(Reson Seabat 8125). The Seabat 8125 is a 455KHz high resolution focused Multibeam echo sounder(MBES) system which measures the relative water depth across a wide swath perpendicular to a vessel's track. The Benthos SIS1500 is a chirp(nominal fq. 200KHz) sonar which map the topographical features & sediment texture of ocean bottom using backscattered amplitude. We generates the very large 3D bathymetric texture mapping model with the Helical System's HHViewer and describes additional benefits of combining MBES and Sidescan Sonar imagery, the removal of geometric distortions in the model and a deterministic sounding noise.

  • PDF

DEM에 의한 지형인자 추출에 따른 격자크기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Grid Size to Extract Topographical Parameters by DEM)

  • 정인주;이정민;김상용;이종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7-75
    • /
    • 2002
  • 최근 GIS는 수자원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는 GIS가 수문해석을 하는데 있어서 설계자의 주관적인 요소를 객관적으로 발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 해석되기 때문이다. 최근의 많은 개발사업들은 토사 발생을 유발시켜 재해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재해를 사전에 대처하기 위하여 재해영향평가를 시행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해영향평가에 따른 토사유출 산정시 LS인자의 값을 DEM자료를 통하여 얻고, 격자의 크기에 따른 경사도의 영향과 토사유출량의 변화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격자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경사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수치지형도의 축척이 작아짐에 따라서도 경사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중영상과 GIS를 이용한 대학시설물 안내 및 관리시스템 구축 (Construction of Guide and Management System for University Facility Using Multi-Imagery an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손덕재;이혜진;이승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7-5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영상과 항공사진 및 지상사진 등 다양한 형태의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지형도와 준공도면에서 누락된 자료를 보완하여 공간 자료기반을 구축하고 관련 속성정보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엄밀한 사진측량 방법에 의한 공간정보취득이 불가능하거나 신속한 정보취득이 요구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단사진 영상을 위주로 하여 해석하였으며, 여기에서 추출한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는 자료기반의 수정과 갱신에 사용하고, 시설물 안내 및 관리에 유용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로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지 않거나 짧은 시간 안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구 자료로서 남아있는 사진이나 비디오 영상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편집·갱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대학 시설물 관리에 관한 연구가 시설물 DB 설계에 치중되어 있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다중영상을 활용한 현황도 작성을 바탕으로 안내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보다 많은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가상 지진해일 시나리오에 의한 피해지역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amage District Forecast by Imaginary Tsunami Scenario)

  • 엄대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5-11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의 내습에 따른 피해지역을 예측하고자 인근연안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에 대한 통계자료 및 관련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가상적인 지진해일 발생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연구대상지에 대한 지형모델링을 실시하여 이를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가상지진해일에 의한 피해지역을 3차원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 결과를 수치지도와 중첩하여 최대범람지도를 시범적으로 작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지진해일 예 경보시스템의 효과적 운용과 국가 및 지역단위의 방재정책의 수립을 위한 기반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AV 자료와 객체기반영상분석을 활용한 대축척 갯벌 표층 퇴적상 분류도 작성 (Generation of Large-scale Map of Surface Sedimentary Facies in Intertidal Zone by Using UAV Data and Object-based Image Analysis (OBIA))

  • 김계림;유주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2_2호
    • /
    • pp.277-29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천수만 황도 갯벌 지역을 대상으로 UAV 자료와 객체기반영상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대축척 갯벌 표층 퇴적상 분류도를 작성하고, 정확도 검증을 수행하여 정밀한 표층 퇴적상 분류의 가능성과 보다 정확한 분류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고해상도 UAV 자료에서 가시광 영역의 정사영상과 수치표고모델(DEM), 조류로 밀도 등 퇴적상 분류 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추출하고, 통계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퇴적상에 따른 요인들의 주성분을 분석하였다. 주성분 요인을 바탕으로 퇴적상 분류 시 사용할 입력 자료를 (1) 가시광 영역의 스펙트럼, (2) 지형 고도와 조류로 밀도, (3) 가시광 영역의 스펙트럼과 지형 고도 및 조류로 밀도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객체기반영상분석 분류방법에 입력 자료를 적용하여 대축척 갯벌 표층 퇴적상 분류도를 추출하였다. 입력 자료의 조건에 따라 표층 퇴적상 분류를 수행한 결과, folk 분류 기준을 따르는 6가지의 표층 퇴적상으로 분류하였고, 가시광 영역의 스펙트럼과 지형 고도, 조류로 밀도를 사용할 경우 전체 정확도가 63.04%, Kappa 지수가 0.54로 가장 효과적으로 표층 퇴적상을 분류하였다.

공간해상도에 따른 배수경로길이 및 특성유속의 변화 (Changes of Drainage Paths Length and Characteristic Velocities in Accordance with Spatial Resolutions)

  • 최용준;김주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7-11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격자 형태의 지형학적 분산 개념을 이용한 유출해석 시 적절한 격자 해상도 선정을 위해 배수경로 길이의 통계학적 특성과 유역의 동수역학적 매개변수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배수경로 길이는 지리정보체계의 8방향 흐름방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유역의 동수역학적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지형도는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1:5,000과 1:25,000 축적을 이용하였으며 각각 5, 10, 15, 20 m와 20, 30, 50, 100, 150, 200 m의 격자 크기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하천망의 규모에 따라 격자 해상도별 배수 경로 길이의 통계적 특성이 변화함을 볼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유역의 동수역학적 매개변수 역시 변화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양상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볼 때 격자 형태의 지형학적 분산 개념을 이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할 경우 1:5,000 지형도의 경우 하천망이 발달된 유역은 격자 해상도 5m, 하천망의 발달이 적은 지역의 경우에는 5~20m의 격자 해상도에서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과 동수역학적 특성을 적절히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25,000 지형도는 두 경우 모두 50 m 이하에서 이상의 특성들을 비교적 적절히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 기반 산림생태네트워크 보호구역 설정방안 (A Method for Zoning the Parcel-based Protecting Area of the Ecological Network in Forest)

  • 장래익;장갑수;정옥식;나정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31-14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ct the protection area around the Geum-buk and Geum-nam Mountains for making a sustainable ecological network. The protection area in the Geum-buk and Geum-nam Mountains was analyzed by using spatial data and a field survey for landscape conservation purposes. A survey scope was fixed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and the protection area was finally determined based on the parcel map called as the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KLIS). Here we have several conclusions in this study. First, spatial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a map of ecological and natural degree (MEND), forest distribution map, elevation map, slope map, and several maps for the protection area assigned by laws regarding to the natural resources. Second, we used 4 alternatives to determine the best choice for showing the ecological network in the study area. One alternative (alt. 3) of 4 ones was finally chosen as the best condition for making the ecological network. The condition in elevation and slope was a little modified to a lower level in alt, 3. The result derived from alt, 3 reflected the continuity and connectivity in the ecological network and we estimate that the protection area can protect the core area using the buffer zone around the ecological network. Finally the parcel-based protection area in the Geum-buk and Geum-nam Mountains had $493.92km^2$ of the core area, and $233.99km^2$ of the buffer zone, which means the parcel-based protection area increased by $97.76km^2$ in the core area, but decreased by $76.61km^2$ as of in the topographical map.

DTED와 1:50,000 수치지형도에 의한 격자 DEM의 지형 매개변수 비교 (Comparison of Topographical Parameter for DTED and Grid DEM from 1:50,000 Digital Map)

  • 김연준;신계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9-32
    • /
    • 2002
  • 지형 정보는 표고 자료가 요구되는 응용에서 반드시 필요한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응용에는 배수 유역, 하천망의 추출, 가시권 분석, 지형학적 특징의 분석, 지형에 관련된 산사태 유형의 양적인 분석 및 산사태 발생지역에서 민감도 분석을 위한 지형 위치의 검증 등이 있다. 그러므로 DEM으로부터 추출된 지형 매개변수 자료의 정확도를 연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격자 DEM을 이용하여 자료원과 격자크기가 지형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형매개변수 분석은 수치지형도로 구축된 것과 DTED DEM을 이용하여 배수유역, 유역경사, 하천망을 추출하여 비교하였다. 특히, 격자 DEM으로부터 하천망을 추출하는 경우 DEM 격자크기에 관계없이 흐름누적 임계값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자료원에 동일한 흐름누적 임계값을 적용하여 하천망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지형학적순간단위유랑도 분석을 위한 EOC 스테레오 영상 활용 (Application of EOC Images to Developed the GIUH)

  • 최현;강인준;홍순헌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1-102
    • /
    • 2004
  • 본 연구는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 작성을 위한 EOC 영상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EOC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소유역에 대한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여 유역밀도와 도수분포를 해석한 후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EOC 영상의 지형수문학적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유역특성 분석은 다른 방식에 비해 연구과정이 상당히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지형학적 수문해석의 기본 자료인 EOC 스테레오 영상으로 수치표고모형을 생성시켰다. 그리고 영상자료와 수치지도로부터 소하천 유역의 격자간격을 10m에서 100m까지 10m 간격으로 나눈 뒤 격자별로 하천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을 실시한 후, 도수함수를 이용한 유역 면적와 하천길이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후 지형학적 분기율, 면적비, 길이비에 대한 격자별 비교 분석 후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에 의한 첨두유량, 첨두도달시간을 비교 검토 하였다. 지형학적 순간단위도의 첨두유량과 도달시간은 유역인자 뿐만 아니라 격자 크기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데 격자크기는 첨두도달시간과 유량의 중요한 지형수문학적 인자 중의 하나임을 알 수가 있으며, 유출해석을 위한 EOC영상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