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5초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과 자기 공명 혈관조영술에서 중대뇌동맥의 협착 측정을 위한 North American Symptomatic Carotid Endarterectomy Trial 및 Warfarin-Aspirin Symptomatic Intracranial Disease 방법의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North American Symptomatic Carotid Endarterectomy Trial and Warfarin-Aspirin Symptomatic Intracranial Disease Methods for Measurement of Middle Cerebral Artery Stenosis in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 이정훈;김상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5호
    • /
    • pp.351-356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measurements between North American Symptomatic Carotid Endarterectomy Trial(NASCET) and Warfarin-Aspirin Symptomatic Intracranial Disease(WASID) methods that measure the middle cerebral artery stenosis in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and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It involved 24 patients who had completed both DSA and MRA among patients with Middle Cerebral Artery (MCA) stenosis. The Middle Cerebral Artery (MCA) stenosis was measured using the NASCET and WASID methods through a retrospective analysis. For the NASCET and WASID methods, they performed measurements on normal blood vessels located far from and close to the stenosis, respectively. The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measured by the NASCET method were 59.23% and 13.27%. On the other hand, those of the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measured by the WASID method were 66.64% and 12.47%. And, the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measured by the NASCET method were 49.82% and 12.06%. By contrast, those of the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measured by the WASID method were 56.63% and 10.67%. All the p-values obtained by the Pearson and Spearman correlation tests in the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and the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were <0.01.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the NASCET and WASID methods to measure the middle cerebral artery stenosis in the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and the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can be used if they are not used interchangeably.

뇌동맥자루 3차원 혈관조영술에서 비감산 및 감산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n-Subtraction and Subtraction Technique in 3-Dimensional Angiography of the Cerebral Aneurysm)

  • 김경완;임인철;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11-518
    • /
    • 2018
  • 이 연구는 뇌동맥자루의 임상적 진단에 사용되는 3차원 디지털 혈관조영술과 3차원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을 동일 부위에 시행한 환자 53명의 영상에서 뇌동맥자루 경부 직경, 최대 직경, 최대 면적 및 체적을 측정하고, 각 검사법의 영상 노이즈와 피폭선량을 분석하여 뇌동맥자루 진단검사에서의 임상적 진단 차이를 비교하였다. 3차원 디지털 혈관조영술과 3차원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에서 뇌동맥자루의 경부직경, 최대직경, 최대면적, 체적, 노이즈를 비교한 결과가 일치하거나 아주 미세한 차이로 나타났다. 하지만, 방사선피폭선량은 3차원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에 비하여 3차원 디지털 혈관조영술이 현저히 낮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뇌동맥자루의 임상적 진단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를 위해 3차원 디지털 혈관조영술이 우선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두개부 혈관 조영검사 시 기하학적 특성에 따른 선량 감소 방안 (Dose Reduction According to Geometric Parameters of Digital Cerebral Angiography)

  • 박찬우;조평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99-40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혈관 조영 촬영장치를 이용한 검사 시 X선관, 환자 테이블, 검출기 또는 환자 등의 기하학적 특성에 따라 실무자가 수시로 변화시켜 적용할 수 있는 매개변수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따른 환자 및 의료진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감소시키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하학적 특성들에 따라 각각 fluoroscopy mode와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로 촬영하고 유효 선량으로 환산한 값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FPS mode에 따른 선량은 FPS mode를 낮게 설정할수록 선량이 30-40%까지 감소하였다. X선관 각도에 따른 선량은 AP View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머리 방향으로 각도가 들어갈수록 선량이 낮게 측정되었다. FOV가 확대될수록 선량이 1.2-1.6배 증가하였고 X선관과 테이블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약 10% 증가하였다. X선관과 평판형 검출기의 거리가 100 mm 멀어질수록 선량이 20-30%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혈관 조영검사 시 다양한 기하학적 특성들은 실무자가 수시로 변화시켜 적용할 수 있는 매개변수이며 다양한 상황에서 적합한 기하학적 특성들을 고려하여 적용함으로써 적절한 선량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유동적인 배경 텍스쳐 분석을 통한 DSA 기반의 관상동맥 검출 (Flexible Background-Texture Analysis for Coronary Artery Extraction Based on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 박성호;이중재;이근수;김계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5호
    • /
    • pp.543-552
    • /
    • 2005
  • 본 논문은 조영 영상에서 유동적인 배경의 텍스쳐 분석을 통한 DSA(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디지털 혈관조영술)기반의 관상동맥 검출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DSA 방법은 조영제를 투입하기 전에 촬영된 마스크 영상과 조영제 투입 후의 혈관 대비가 나타나는 라이브 영상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빠르게 혈관 영역만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큰 단점은 배경의 움직임에 민감하고, 두 영상간의 지역적인 배경 명암 분포의 변화에 따라 오검출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경 텍스쳐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움직임의 차이가 가장 작은 영상을 선택함으로써 배경의 움직임으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선택된 영상의 지역적 명암 보정을 통해 혈관 영역만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성능 평가를 위하여 다섯 환자의 임상 관상동맥 조영 영상을 사용 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방법보다 배경을 혈관으로 인식하는 오 인식률에서 약 $2\%$정도의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며, 정확도는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Quantitative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in Pediatric Moyamoya Disease

  • Cheon, Jung-E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7권6호
    • /
    • pp.432-435
    • /
    • 2015
  • Moyamoya disease is a unique cerebrovascular disorder characterized by idiopathic progressive stenosis at the terminal portion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ICA) and fine vascular network.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present the clinical application of quantitative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QDSA) in pediatric moyamoya disease. Using conventional angiographic data and postprocessing software, QDSA provides time-contrast intensity curves and then displays the peak time ($T_{max}$) and area under the curve (AUC). These parameters of QDSA can be used as surrogate markers for the hemodynamic evaluation of disease severity and quantification of postoperative neovascularization in moyamoya disease.

디지탈 혈관 조영 장치의 영상기술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the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imaging technique)

  • 남문현;김성룡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과학기술대학, 충남; 16-17 Oct. 1987
    • /
    • pp.684-689
    • /
    • 1987
  •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DSA) technique has been widely used to detect vascular diseases and hemodynamic parameters noninvasively. However, there are few quantitative studies on the factors in fluencing the resultant DSA image quality. In this paper, several important factors are suggested to improved the DSA image quality based on mathematical analysis. Experimental DSA images for different filters are shown and also discussed the difference between original and processed image quality.

  • PDF

유사도 분석과 명암 보정을 통한 혈관 추출 (Extracting Blood Vessels through Similarity Analysis and Intensity Correction)

  • 장석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3-4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조영 영상을 받아들여 관상동맥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혈관 추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혈관조영술(DSA :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은 조영제 투입 전에 촬영된 마스크 영상과 조영제 투입 후의 혈관 대비가 나타나는 라이브 영상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빠르게 혈관 영역만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배경의 움직임에 민감하고 두 영상간의 지역적인 배경 명암 분포의 변화에 따라 오 검출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경 텍스쳐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움직임의 차이가 가장 작은 영상을 선택함으로써 배경의 움직임에 기인하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선택된 영상의 지역적 명암 보정을 통해 혈관 영역만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오 인식률은 감소하고 정확도는 증가함을 보여준다.

  • PDF

Role of Multislice Computerized Tomographic Angiography after Clip Placement in Aneurysm Patients Based on Comparison with Three Dimensional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 Han, Myung-Hwan;Kim, Young-D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2권2호
    • /
    • pp.103-111
    • /
    • 2007
  • Objective : We evaluated the accuracy of multislice computerized tomographic angiography (MCTA) in the postoperative evaluation of clipped aneurysms by comparising it with three dimensional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3D-DSA). Methods : Between May 2004 and September 2006, we included patients with ruptured cerebral aneurysm of the anterior circulation that was surgically clipped and evaluated by both postoperative MCTA and postoperative 3D-DSA. We measur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calculat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ostoperative MCTA compared to 3D-DSA in the detection of aneurysm remnants. Results : A total of 11 neck remnants among the 92 clipped aneurysms (11.9%) were confirmed by 3D-DSA. According to Sindou's classification of aneurysm remnants, 8.7% of clipped aneurysms (8/92) had only neck remnant on 3D-DSA and 3.2% (3/92 aneurysms) had residuum of the neck and sac on 3D-DSA. There were 12 (13.04%) equivocal cases that were difficult to interpret based on the postoperative MCTA. The reasons for the equivocal cases included multiple clips (6 cases, 50.0%). beam-hardening effect (4 cases, 33.3%), motion artifact (1 case, 8.3%), fenestrated clip (1 case, 8.3%) and other combined cause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postoperative MCTA was 81.8% and 88.9%, respectively by ROC curve (p=0.000). Conclusion : MCTA is an accurate noninvasive imaging method used for the assessment of clipped aneurysms in the anterior circulation. If the image quality of postoperative MCTA is good quality and the patient has been treated with a single titanium clip, except a fenestrated clip, the absence of an aneurysm remnant can be diagnosed by MCTA alone and the need for postoperative DSA can be reduced in a large percentage of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