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storytelling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36초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유형과 특성 (Study on the Digital Storytelling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er Brands)

  • 홍윤정;김영인
    • 복식
    • /
    • 제63권8호
    • /
    • pp.43-5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stemize the fashion digital storytelling by analyzing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its elements, and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of digital storytelling. Based on the previou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torytelling the following things have been researched: 1) the process of digital storytelling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2) the concept and the feature of the academia of digital storytelling 3) storytelling in the document research. On the groundwork of the document research, we were able to sort out the various types, and formed a system of the features in the fashion digital storytelling cases, mainly in the four collections (Milan, Paris, London, New York) from 2000's to recent years of 2010. The types of fashion digital storytelling are episode type, narrative type, and creative typ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typ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pisode type communicates through the digital media based on the information or fact of the fashion designer brand. Secondly, narrative type communicates with the consumers using previous literature or an existing idea of the original cultural form that is rearranged in digital story expressed by the digital media. Lastly, creative type makes the designer's and consumer's susceptibility and creativity communicate through the newly made story, which expresses the unique originality of the designer. It seems that the cases and studies of using the fashion digital storytelling will increase because of its short history and lack of the case study. Fashion designer brands will show their brand image using the digital storytelling because they are able to better express originality,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the fashion designer, which were factors that could not be conveyed through fashion alone.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독서지도 방안 연구 (A Study on Facilitating Reading Education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 강숙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07-321
    • /
    • 2007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일차적으로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그들의 독서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이차적으로는 독서태도에 대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효과가 협력학습과 개별학습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서울에 있는 한 초등학교의 4학년 29명이 본 연구 대상으로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이 초등학생들의 독서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태도에 대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효과는 협력학습과 개별학습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협력, 개별학습에 관계없이 초등학생들의 독서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입증해주고 있다.

디지털 체험 공간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Storytelling of Digital Experiential Space)

  • 백승국;권지혁;이주희;손기동
    • 정보화연구
    • /
    • 제10권3호
    • /
    • pp.361-370
    • /
    • 2013
  •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콘텐츠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디지털 체험 공간에서 인간과 디지털 콘텐츠 그리고 공간과 인간 간의 상호작용을 유발시키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체험 공간속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발되는 상호작용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인식론적 차원에서 디지털 체험 공간에 구현된 디지털 콘텐츠와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디지털 체험 공간의 공간 스토리텔링을 논의하였다. 또한 디지털 체험 공간의 능동적 주체인 사용자가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해 유발되는 상호작용성과 감각적 체험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체험 공간 '판교 아이큐아리움'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공간 스토리텔링 그리고 상호작용 요소를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수업 설계 연구 (A Class Design Study on Digital Storytell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홍지연;구덕회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5
    • /
    • 2011
  •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는 새로운 정보화 능력을 갖춘 인간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디지털 기술이 가진 역동적 상호작용성과 전통적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과성이 결합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탄생하였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기존의 스토리텔링을 뛰어넘어 움직이는 화면과 소리 등 멀티미디어적 요소를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흥미를 쉽게 유발하며 초등학생의 다양한 지능을 자극하고 양방향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분석한 후 초등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학습요소의 추출하여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수업을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ybe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a DST Project to Develop English Skills

  • Moon, Do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200-206
    • /
    • 2020
  • Digital storytelling, a 21st century educational tool that combines digital media with storytelling, is considered as a powerful tool to learn foreign languages in an authentic and meaningful way. This study explored cybe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a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implemented to enhance their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skills. The results of 9 week-long research indicated that most of the students' attitudes were positive: the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ir English skill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Most students perceived that the process writing approach and videotaping tasks provided them with good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skills. Although many students had difficulties selecting a topic and writing a script in the initial stage, they could handle with these challenges with the help of professors' feedback and successfully completed their projects. After completing the project, most students expressed a strong sense of accomplish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effectively met cyber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needs and facilitate their English learning.

대체현실게임(ARG)의 스토리텔링 연구 -<노르망디의 이방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Alternative Reality Game Storytelling)

  • 남승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1-50
    • /
    • 2009
  • 통합미디어 환경의 조성과 함께 등장한 '컨버전스(convergence)' 패러다임은 디지털스토리텔링 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새로운 형식이 점차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는 게임 장르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차용한 대체현실게임(ARG)에 주목한다. 본 논문은 기존 게임 형식과 비교를 통해 ARG의 개념을 밝히고, 시뮬라시옹 이론에 근거해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ARG스토리텔링의 특징을 밝히고 있다. 이는 컨버전스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스토리텔링 양식을 이해하고 차후 디지털스토리텔링의 발전에 있어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PDF

디지털 시대 영화의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The Spatial-storytelling of Cinema in Digital Age)

  • 김영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521-52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테크놀로지 및 스토리텔링과 이미지의 속성과 원리가 어떻게 새로운 영화의 재현과 사유에 대한 질문을 촉발했는가에서 출발하여, 디지털 시대 영화의 공간 스토리텔링을 세르토의 '공간의 스토리' 개념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 PDF

스토리텔링이 디지털 게임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torytelling on Digital Game Development)

  • 박찬익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49-154
    • /
    • 2018
  • A game story that used to be free needs a work of concrete and artificial organizing and arranging these days. This is because a game story is frequently made into a new genre such as a movie or an animation. As shown in many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movies made from successful digital games failed to receive satisfying box office results. To overcome this, narratively completed storytelling should be presented from the development phase of a game. The methods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synergy effect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storytelling experts, game developers, animators, and movie producers in developing a game. This will help to create a game with more sophisticated and complete narrative structure than now.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diversification of game genres. Currently in Korea, online games are unusually leading the game industry. PC games or console games are more advantageous than online games for putting a finished narrative structure into a game.

디지털 세대를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igital Storytelling Activity Model for Digital Generation)

  • 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47-656
    • /
    • 2017
  •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학생들이 스토리를 기획 구성하고,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결과물을 제작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디지털 세대에 요구되는 창의성,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력, 협동과 같은 역량들을 신장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스토리의 프로슈머가 되어 스토리의 기획 및 구성은 물론 기획한 스토리를 디지털 자료로 제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활동 준비', '스토리 기획 및 구성', '스토리텔링 자료 제작', '자료 발표 및 평가' 등과 같은 4가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대한 활동 지침들을 제공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활동을 돕기 위하여 스토리 기획서, 스토리 테이블, 팀간 평가지, 개별 성찰지 등의 양식들을 제공하였다.

집단지성을 적용한 협업적 디지털 스토리텔링 플랫폼 (Collaborative Digital Storytelling Platform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 차상진;박승보;유은순;조근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19-26
    • /
    • 2010
  •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기존의 콘텐츠를 소비하는 역할을 했던 대중들이 손쉽게 콘텐츠를 제작하고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최근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큰 화제가 되어 많은 곳에서 공모전 등을 통해 웹 환경에서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스토리텔링 콘텐츠로 웹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단순한 저작 도구의 환경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화일 뿐 집단지성을 표방한 웹 2.0 환경에서 협업에 대한 지원은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환경에서 집단지성을 적용하여 협업적으로 제작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콘텐츠에서나타나는 절차 및 필요한 요소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플랫폼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