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oral record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8초

디지털 구술기록의 생산 및 정리·보존 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reation, Management, and Preservation Process of Digital Oral Records)

  • 김명훈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29
    • /
    • 2010
  • 본고에서는 디지털 구술기록의 생산 및 정리 보존 단계 전 영역에 걸친 전체 절차를 수립하고자 한다. 구술기록은 생존자의 기억을 통해 기록화 시키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신뢰할 수 있는 구술기록의 생성 및 정리 보존이 핵심적 사안이다. 또한 구술은 구술자와 면담자, 촬영자 등 다자간의 협업을 통해 수행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체계적인 절차의 정립은 필수적 사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구술기록은 대부분 디지털 형태로 생성됨을 감안할 때, 생산부터 정리 보존에 이르는 세밀한 절차는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구술기록의 채록 및 전승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인프라가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디지털 구술기록의 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디지털 구술기록 생산 절차와 정리 보존 절차로 양분하여 실제 절차를 도출하였다.

구술사 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모델링 및 표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ing Metadata and Developing Standard Elements to Establish Oral History Archives)

  • 이정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3-184
    • /
    • 2009
  • 본 연구는 문헌사를 대치하는 구술사에 관하여 기록물로서의 중요성을 제시하면서 구술사 기록물을 구조화 할 수 있는 표준 메타데이터 모형과 설계 요소를 개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술사 기록의 내용과 형태를 정보원으로 표현할 수 있는 표준 메타데이터 기술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디지털 구술 아카이빙 구축을 위하여 프로젝트, 관리, 레코드 그리고 관련 레코드 영역으로 메타데이터 모델링을 설계 하였다. 또한 기본 요소와 세부 요소, 구분 요소의 설계 원칙에 의하여 실제 구술사 기록물을 대상으로 구현을 통해 적용 해 보았다.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outcome of different scanning strategies in virtual interocclusal registration

  • Jiansong, Mei;Liya, Ma;Jiarui, Chao;Fei, Liu;Jiefei, She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6호
    • /
    • pp.369-378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assess whether scanning strategies of virtual interocclusal record (VIR) affect the accuracy of VIR during intraoral scanning. MATERIALS AND METHODS. Five pairs of reference cubes were added to the digital upper and lower dentitions of a volunteer, which were printed into resin casts. Subsequently, the resin casts were articulated in the maximal intercuspal position in a mechanical articulator and scanned with an industrial computed tomography system, of which the VIR was served as a reference VIR. The investigated VIR of the upper and lower jaws of the resin master cast were recorded with an intraoral scanner according to 9 designed scanning strategies. Then, the deviation between the investigated VIRs and reference VIR were analyzed, which were measured by the deviation of the distances of six selected reference points on the upper reference cubes in each digital cast to the XY-plane between the investigated VIRs and reference VIR. RESULTS. For the deviation in the right posterior dentitions, RP group (only scanning of right posterior dentitions) showed the smallest deviation. Besides, BP group (scanning of bilateral posterior dentitions) showed the smallest deviation in the left posterior dentitions. Moreover, LP group (scanning of left posterior dentitions) showed the smallest deviation in the anterior dentitions. For the deviation of full dental arches, BP group showed the smallest deviation. CONCLUSION. Different scanning strategies of VIR can influence the accuracy of alignment of virtual dental casts. Appropriate scanning strategies of VIR should be selected for different regions of interest and edentulous situations.

Usefulness and capability of three-dimensional, full high-definition movies for surgical education

  • Takano, M.;Kasahara, K.;Sugahara, K.;Watanabe, A.;Yoshida, S.;Shibahara, T.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9권
    • /
    • pp.10.1-10.5
    • /
    • 2017
  • Background: Because of changing surgical procedures in the fields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new methods for surgical education are needed and could include recent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Many doctors have attempted to use digital technology as educational tools for surgical training, and movi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se attempts. We have been using a 3D full high-definition (full-HD) camcorder to record movies of intraoral surgeries. Method: The subjects were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receiving surgical training who did not have actual surgical experience (n = 67). Participants watched an 8-min, 2D movie of orthognathic surgery and subsequently watched the 3D version. After watching the 3D movi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Result: A lot of participants (84%) felt a 3D movie excellent or good and answered that the advantages of a 3D movie were their appearance of solidity or realism. Almost all participants (99%) answered that 3D movies were quite useful or useful for medical practice. Conclusions: Three-dimensional full-HD movies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화학적 인공 인접면 치아우식증의 디지털 영상 진단능 평가 (Diagnostic accuracy of digital images for detection of artificial chemical proximal caries)

  • 박금미;나경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2호
    • /
    • pp.91-95
    • /
    • 2003
  • Purpose : To compare the diagnostic accuracy of proximal caries detection between Kodak Insight film and the Biomedisys CDX2000HQ digital (CCD) sensor. Materials and Methods: 156 proximal surfaces of extracted teeth, 78 of which had chemical artificial caries, were used in this study. Four observers interpreted the radiographs using a five-point confidence rating scale to record their diagnose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NOVA and Kappa values. Result: Analysis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revealed the areas under each curve which indicated a diagnostic accuracy of 0.951 in Insight and 0.952 in CDX2000HQ digital sensor. ANOVA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mages with respect to caries detection. Kappa values indicated that the mean intra-observer agreement was 0.85 and inter-observer agreement 0.71 in conventional radiography. In digital radiography, the mean intra-observer agreement was 0.84 and inter-observer agreement 0.72.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two modalities for artificial caries detection and that CDX2000HQ was as good as Insight film for this purpose.

  • PDF

구술을 통한 재난 사고의 기록화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을 중심으로 (Disaster Documentation through Oral History : Focus on Sinking of the MV Sewol)

  • 송주형
    • 기록학연구
    • /
    • 제44호
    • /
    • pp.155-197
    • /
    • 2015
  •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지 1주기가 됐다. 사건발생 후 지금까지 기록학계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사건을 기록하기 위해 노력했다. 안산활동가들이 주축이 된 시민기록위원회도 그중 하나다. 시민기록위원회 산하 구술증언팀에서는 세월호와 관련된 다양한 사람들의 구술을 채록해왔다. 세월호 유가족은 물론 자원봉사자, 종교계 인사, 시민운동가, 안산 시민 등으로부터 구술을 수집했다. 전 세계적으로 재난은 모두가 함께 기억하고 추모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이를 기록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는 구술 아카이브 구축이다. 갑작스레 발생하는 재난의 특성상 기록이 많이 남겨지지 않고, 추모기록을 비롯해 사건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사람들이 들려주는 구술이야 말로 사건의 실체에 다가서는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9.11 테러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미국의 '국립9.11추모박물관'에서는 관련된 사람들의 구술을 채록하기 위해 여러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2013년 발생한 보스톤 마라톤 폭탄 테러를 기억하기 위해 '아워 마라톤'이라는 크라우드 소싱 디지털 아카이브가 구축됐다. 지역의 대학과 기관들이 협업해 만든 이 아카이브에서는 구술채록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팬암 항공 103편 테러사건은 시라큐스 대학에서 아카이브를 설립했다. 이곳 역시도 졸업생, 교직원, 희생자의 가족과 친구 등에게 구술을 수집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 역시도 이런 해외 사례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수집해야하며, 희생자 추모 등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시는 이런 재난이 이 땅에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구술 기록의 공공성 (A Study on the Publicness of Oral Records : The Cases of 2021 Digital Life History Archiving)

  • 김택호
    • 기록학연구
    • /
    • 제79호
    • /
    • pp.443-469
    • /
    • 2024
  • 본 연구는 다양한 기관에서 생산하고 있는 구술 기록과 구술 기록 생산과정에 공론장 형성 기능이 있으며, 이것이 구술 기록의 공공성이라는 점을 드러내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이를 위해 공론장과 공공성을 논의하고 분석한 철학, 사회학, 정치학 분야 선행연구를 살펴보면서 공론장의 기능과 공공성의 의미를 규정하고, 그것이 구술 기록의 일반적인 특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논의의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고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이 수행했던 「2021년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업에 참여했던 시민 면담자들의 구술 기획과 구술 기록, 구술 기록 해설로부터 공공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요소를 다수 찾아낼 수 있었다.

Is the panoramic mandibular index useful for bone quality evaluation?

  • Kwon, Ah-Young;Huh, Kyung-Hoe;Yi, Won-Jin;Lee, Sam-Sun;Choi, Soon-Chul;Heo, Min-Suk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7권2호
    • /
    • pp.87-92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panoramic mandibular index (PMI) is useful for assessing bone mineral density. We also analyzed the potential correlations between PMI parameters and patient age. Materials and Methods: Four observers measured the PMI of both sides of the mental foramen using a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images in the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format. They studied 300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of patients belonging to the following age groups: 40-49 years, 50-59 years, 60-69 years, 70-79 years, and 80-89 years. The observers were allowed to zoom in or out and to adjust the contrast of the images. Further, they were instructed to record the reasons for any measurements that could not be made. Then, we conducted a reliability analysis of the measured PMI and assessed the correlations between different patient age groups and the 3 parameters used for determining the PMI from the available data. Results: Among the 600 data items collected, 23 items were considered unmeasurable by at least 1 observer for the following 4 reasons: postoperative state, lesion, unidentified mental foramen, and alveolar bone loss. The intraobserver reproducibility of the measurable data was 0.611-0.752. The mandibular cortical width (MCW) decreased significantly as patient age increased. Conclusion: PMI had limited usability when the margin of the mental foramen was not clear. In contrast, MCW, a parameter used for determining the PMI, had fewer drawbacks than the PMI with respect to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s and exhibi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atient age.

교합스캔의 이용 방식에 따른 교합면간기록의 정확성 (Accuracy of interocclusal record established by different occlusal scans)

  • 강민지;이청희;이규복;김소연;이두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3호
    • /
    • pp.142-148
    • /
    • 202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악 고정성 보철치료 조건에서 임시 보철물로 확립된 상하악의 관계를 구강스캐너를 통하여 교합스캔을 채득하고 디지털 방식으로 마운팅할 때 교합면간기록의 정확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덴티폼 모형을 사용하여 교합기에서 최대 교두간 접촉위로 부착한 후 상악 전체 치아를 삭제하였다.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고 교합 조정을 시행하였다. 삭제한 악궁을 스캔한 뒤, 전치부 혹은 구치부 교합스캔을 통해 디지털 마운팅을 시행하였다. 위치된 교합면간기록의 정확성을 3차원적인 위치 편차와 교합평면의 각도 오차를 통해 평가하였다. 이후 부분 무치악 모델에서도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디지털 교합면간기록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통계에는 Kruskal-Wallis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이 이용되었고,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디지털 방식으로 설정된 교합면간기록에서 치아 정중부의 위치 오차는 스캔 영역과 잔존 치아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53). 교합평면의 각도 오차는 전치부를 중첩 영역으로 사용했을 때 크게 나타났으며, 양측 구치부를 중첩 영역으로 사용한 경우 작은 오차값을 보였다(P < 0.001). 결론: 전악 고정성 보철 치료 시 임시 보철물로 확립된 상하악 관계를 디지털 방식으로 마운팅을 할 때 양측 구치부 교합 스캔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기억과 기록 사회적 기억 구축을 위한 기록학의 역할 (A Study on Roles of Archival Science for Building Social Memories)

  • 김명훈
    • 기록학연구
    • /
    • 제42호
    • /
    • pp.3-35
    • /
    • 2014
  • 최근의 전자기록 환경은 기록의 의미와 기록관리의 역할 변화란 관점에서 볼 때 거대한 패러다임 전환기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근대 시민혁명 과정에서 연유하여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정립된 기록의 의미와 기록관리의 역할은 아직도 완고하다. 실증주의 사조에 기반을 둔 문자화된 종이기록 중심의 관리이론 및 방식은 아직도 지배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주로 공기록과 같은 대규모 조직에서 생성된 기록들을 대상으로 관리하며 과거의 사실에 대한 보고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억 담론은 문자화된 공기록 중심의 기록관리를 탈피하고, 다원화된 사회 속에 기록의 의미 및 기록관리의 역할을 모색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동안 국내외 기록학계에서는 기록은 행위에 대한 객관적, 중립적 증거라는 점에서, 기록은 곧 기억이라는 단순한 인식이 만연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속에 기록이 지닌 객관성, 중립성에 회의를 품게 되었고, 사회의 다원화 속에 공기록 중심의 기록관리에 대한 반성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록과 기억의 관계 정립을 위한 기반 연구로, 사회적 기억 구축을 위한 기록관리의 역할 및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기록과 기억 간의 관계 정립을 위한 단초로 기억 담론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고찰한 다음, 그동안 기록학 영역에서 진행되어 온 기억을 둘러싼 제반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발판으로 사회적 기억 형성을 위해 기록학 영역에서 수행해야 할 역할 및 향후 방향성을 논의코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