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library system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1초

디지털도서관의 정책과 제도의 분석 (Analysis of Policy and System for Digital Library)

  • 심효정
    • 정보관리연구
    • /
    • 제34권1호
    • /
    • pp.19-36
    • /
    • 2003
  • 도서관정보화 정책의 주요 부분으로 각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추진중인 디지털도서관 사업의 목표는 세계적인 정보화 추세를 반영하여 도서관 정보환경을 개선하고 국민들이 다양한 디지털 지식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지식기반사회를 구현하는 데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지금까지 추진되어왔거나, 계획중인 디지털도서관 정책과 제도를 분석해봄으로써 디지털도서관의 이념과 목표를 재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효율적인 전자도서관 체제 구축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for the effective Digital Library System)

  • 류범종;강무영;조영화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1998년도 춘계정기학술대회
    • /
    • pp.3-3
    • /
    • 1998
  • 전자도서관체제는 일종의 전자정보생산시스템으로서 기존의 도서관 체제와는 차별화 된다. 즉, 기존의 도서관이 수요자와 직접 관계에 있는 서비스업에 가까웠다고 보면 전자도서관 체제에서의 기존 도서관은 새로운 정보(지식)를 생산 가공하는 지식 생산업체로 변모할 것이며, 외부의 지식을 끊임없이 받아들이고 재생산할 수 있는 조직체인 것이다. 이에 따라 전자도서관은 데이터 표현양식도 SGML과 같이 개방성 있는 문서 표준화 양식으로 통일해야 하며 각 사이트 전자도서관시스템이 연계되어 정보공유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국가주요전자도서관연계사업을 통하여 효율적인 전자도서관체제 구축을 위한 기술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OAI 기반 Open Digital Library 연구 (A Study on the OAI based Open Digital Library)

  • 이상기
    • 정보관리연구
    • /
    • 제35권3호
    • /
    • pp.139-159
    • /
    • 2004
  • 현재 디지털라이브러리는 상호운용성의 문제, 콘텐트 확장의 한계, 편리한 관리 환경의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표준화와 상호운용성이 전제된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런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해 줄 수 있는 차세대 디지털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주목 받고 있는 것이 Open Digital Library이다. 여기서는 Open Digital Library의 사상적 기반이 된 OAI 및 OAI-PMH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Open Digital Library 프레임워크, 설계 주안점, 적용사례를 연구하였다. 끝으로 표준화된 요소기술을 활용한 Open Digital Library의 발전방향과 확장성을 제시하였다.

도서관간 복제·전송에 의한 디지털 정보의 공동이용을 위한 도서관 면책 연구 (A Study on Library Exemption for the Cooperative Utilization of Digital Information by Digital Republication and Transmission between Library and Library)

  • 홍재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3-119
    • /
    • 2004
  •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정보이용자의 지식$\cdot$정보의 창출을 도모하고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도서관간 디지털 복제$\cdot$전송은 필수적이다. 도서관간의 디지털 복제$\cdot$전송에 의한 정보의 공동이용 정책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저작권법상의 도서관 면책 규정이다. 먼저 국제규범(베른협약, TRIPs협정, WCT)과 미국, 유럽연합의 저작권 제한과 예외 규정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 2003년 개정저작권법상 도서관 면책 규정의 관련 규정, 도서관 보상금 제도, 권리 보호 조치 등의 내용을 집중 분석하였다. 그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문제점도 논의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도서관간 디지털 복제$.$전송에 의한 정보의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개정된 저작권법에 대한 도서관의 현실적인 조치와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탈도서관의 구축을 위한 연구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igital library)

  • 서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529-567
    • /
    • 1996
  • This paper survey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digital library. Its definition and function and case studies, and basic skills for system construction of digital library were sugges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raditional library and the digital library were compared. And the conditions that should be take into consideration of digital library construction were suggested. Sugg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For the construction of digital library, library collection should be digitalized by using CD-ROM and commercial online services. 2. The digitalization of library collection should be planned by subject sharing between the libraries. For the control of this cooperation, the orgnization to propel the digital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standards for the digital library. 3. The connection between MARC formatted bibliographic database and full-text should be studied. 4. All the types of information about texts, pictures, sounds and if films should be also digitalized. 5. To satisfy the needs of many users, we have to establish the various users's interface which is fitted for several kinds of users. 6. When a digital library was constructed, the copyright and resources sharing must be guranteed depending on the cost of database's usage. 7. Because the digitalization of library will be related to the various kinds of libraries, the interface for resources sharing will be constantly concerned. 8. The sharing of information resources between the libraries will be enacted on the Internet. And we must be interested in various internet tools such as telecommunication softwares, media convert programs, etc. 9. By training staffs continously, all libraries must be ready to come the library in the future.

  • PDF

전자도서관의 개념 및 구축 사례 - 아주대학교 학술정보센터 운영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cept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Library : A Case of Ajou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 박철균
    • 정보관리연구
    • /
    • 제30권4호
    • /
    • pp.1-26
    • /
    • 1999
  • 본고에서는 도서관의 변천과 전자도서관의 출현, 개념 정의 등을 통하여 전자도서관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전자도서관을 구현한 실질적인 사례로서 현재 아주대학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학술정보 종합서비스 시스템의 개발 개념과 서비스 내용에 대하여 이용자중심의 서비스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 PDF

전자출판의 발전과 도서관기능의 다변화 (Electronic Publishing and Its Impact on the Library Fuctions)

  • 권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59-186
    • /
    • 1998
  • 전통적 도서관에서 디지털도서관으로의 변화를 매체 패러다임의 변화, 또는 소유로부터 접근으로 도서관 기능의 패러다임 변화로 보고 있으나 도서관이 정보를 직접 생산하는 기관이 아니므로 출판시스템의 변화가 도서관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전자출판이 정보매체를 변화시키는 요인일 뿐 아니라 정보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이용에 이르는 커뮤니케이션 전 과정을 변화시키는 요인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디지털도서관의 가능성을 도서관을 포함한 학술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변혁이라는 거시적 관점과 도서관 기능의 다변화라고 하는 미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 PDF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DLS)의 이용자 집단간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User Groups of the Digital Library System)

  • 이병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9-145
    • /
    • 2005
  • DLS(Digital Library System)는 학교도서관 관리자(사서교사)와 최종 이용자(일반교사 및 학생)에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개발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이다. DLS는 현재 15개 시 도교육청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 도교육청 관내의 초 중등학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LS는 서비스를 개시한지 2년 이상이 지났기 때문에 이용 실태와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DLS를 사용하고 있는 전국의 308개 초 중등학교의 학교도서관 관리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이용실태와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 모델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towards Knowledge Service)

  • 이현실;배창섭;이은주;한성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67
    • /
    • 2009
  •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부산광역시교육청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의 구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mplementation of a Digital Library Supporting Center in Busan Metropolitan Department of Education)

  • 함명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48
    • /
    • 2002
  • 학교도서관의 협력망은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는 학교도서관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시·도교육청에 설치되는 종합정보시스템이다. 부산광역시교육청은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및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구축 사업의 지원을 받아, 학교도서관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16개 시·도교육청 중에서 최초로 설치하였다. 본고는 먼저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구축하는데 적용된 정보시스템의 기반 기술과 외국의 정보시스템 사례를 살펴보고,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정보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