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culture

검색결과 1,713건 처리시간 0.03초

토픽맵 기반의 고전문학 디지털 콘텐츠 온톨로지 설계 (A Design of Topic-map based Traditional literature's Digital Ontology)

  • 김동건;정화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73-678
    • /
    • 2012
  • 고전문학은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화 접근을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예로서 디지털 아카이브 설계, 디지털 콘텐츠 설계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은 대중화에 쉽지 않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는 고전문학이 지니는 딱딱하고 타 영역에 비해 재미요소가 덜하기 때문일 수 도 있다. 특히 고전문학의 자료나 계보를 찾는 것도 쉽지 않아 일반인들이 쉽게 고전문학을 찾고 이해하기위한 환경 구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고전문학을 디지털 콘텐츠화 하기 위하여 정보 프로파일을 이용한 온톨로지를 설계하고자 한다. 온톨로지의 각 요소들의 관계는 토픽맵을 이용하여 구축하였고, 토픽벡터를 이용하여 명세하였다.

A Digital Thesaurus of the Traditional Common Culture of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 Suwannee Hoaihongthong;Kanyarat Kwiecie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2권3호
    • /
    • pp.63-74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igital thesaurus dedicated to cataloging the traditional common culture of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The process followed a meticulous seven-step methodology, including scoping, vocabulary collection,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relationship delineation, related word adjustments, list validation, and evaluation. Leveraging principles from knowledge organization, thesaurus construction, and digital platform development, the TemaTres web application emerged as the primary tool for constructing this thesaurus. The study's results showed that 2,042 principal words related to the traditional common culture of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were compiled and classified into terms for each of the seven deep levels. Each term was accompanied by essential metadata, including broader and narrower terms, related terms, cross-references, and scope notes. This rich dataset empowered semantic search capabilities across diverse applications and web services, providing access to knowledge pertaining to the traditional common culture of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and contributing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is cultural domain.

인터넷상의 디지털 문화컨텐츠 분류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Digital Culture Contents on the Internet)

  • 김성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1-200
    • /
    • 2002
  •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하에서 디지털 문화 컨텐츠를 재정의하고 문화컨텐츠 산업의 범위를 구분하였다. 또한, 현재 5개 인터넷 검색엔진을 선정해서 문화컨텐츠 분류현황을 분류체계조건, 주제의 논리성을 기준으로 분석한 후 새로운 분류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정보 및 문화컨텐츠의 효율적인 검색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문화로 인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능성 예측 연구 (Forecast of Man-Made Physical Environment in Digital Culture)

  • 이기정;이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호
    • /
    • pp.168-175
    • /
    • 2001
  • This study focuses to enhance the general understanding on the new approach and to provide a clue for a new paradigm in man-made physic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Through case analysi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culture itself and of its physic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o ultimately forecast the changeability of physic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prompted by the new digital wave. Without having precedent study about digital culture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digital culture in the field of physical environment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o forecast the changability in those field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lso atoned to be applicable in construction of a new paradigm in designing physical &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near future, so 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environment which will eventually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 PDF

디지털 체험 공간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Storytelling of Digital Experiential Space)

  • 백승국;권지혁;이주희;손기동
    • 정보화연구
    • /
    • 제10권3호
    • /
    • pp.361-370
    • /
    • 2013
  •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콘텐츠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디지털 체험 공간에서 인간과 디지털 콘텐츠 그리고 공간과 인간 간의 상호작용을 유발시키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체험 공간속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발되는 상호작용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인식론적 차원에서 디지털 체험 공간에 구현된 디지털 콘텐츠와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디지털 체험 공간의 공간 스토리텔링을 논의하였다. 또한 디지털 체험 공간의 능동적 주체인 사용자가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해 유발되는 상호작용성과 감각적 체험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체험 공간 '판교 아이큐아리움'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공간 스토리텔링 그리고 상호작용 요소를 분석하였다.

AI교육을 위한 초등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K-12 Digital Culture Curriculum for AI Edcuation)

  • 신수범;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449-455
    • /
    • 2022
  • 디지털 문화 영역은 인공지능교육의 분야 중 인공지능 소양 영역의 한 분야로서 정보윤리와도 일부 겹치는 부분으로서, 이 연구는 인공지능교육의 세부 영역인 초등 중심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먼저 디지털 문화 분야의 선도적인 해외 사례로서 미국의 K12CS 프레임워크와 영국의 컴퓨팅 교육과정의 해당 영역 핵심 내용인 안전한 온라인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국내 교육환경과 현장 여건에 맞추어 디지털 기반 콘텐츠, 소통법, 저작권, 직업 탐구의 4개 영역으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 학교급에 맞추어 교육목표를 진술하였으며 그에 따른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인공지능 전공 현장교사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1학년 단계의 세부 목표의 일부를 제외하고 설정한 내용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초등 1학년의 세부 목표를 수정·보완해서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공간정보 및 문화콘텐츠 융합 환경에서 공공 문화콘텐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현 (An Implementation of Service Framework for Public Culture Contents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of Spatial Information and Culture Contents)

  • 홍대기;송병선;이남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95-201
    • /
    • 2010
  • 최근 문화산업은 세계화, 컨버전스, OSMU(One Source Multi use)의 확산 등 환경 변화에 따른 글로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감성, 체험 등 문화적 창의성이 국가 발전을 위한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화된 문화콘텐츠는 자료의 축적, 보존, 관리 수준으로서 그 정체성 및 활용성 저하가 심화되고 있어, 문화의 공간화 및 공간의 문화화를 통한 상생 모델화가 필요하다. 문화콘텐츠 산업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창조 콘텐츠가 생산될 수 있는 기반으로 시공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공 문화콘텐츠를 자유롭게 검색하고 원하는 대로 가공 또는 재생산하여 전시, 유통할 수 있는 문화공간(Culture Space)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Culture) 및 공간(Space)의 융합 형태를 통하여 시공간의 디지털 정보를 담고 있는 문화콘텐츠에 개인이 자유롭게 확대 재생산 및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정보와 문화콘텐츠 융합 환경에서 공공 문화콘텐츠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다.

Study on the Interoperability of Digital Twin Systems

  • Kong, Joon-I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397-403
    • /
    • 2022
  • The world is paying a lot of attention to digital twins to preoccupy futur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Digital twins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anufacturing, medical care, and cities. Various market research institutes predict that the market size of digital twins will gradually expand. Korea has also selected digital twi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task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and is promoting related policies. However, a common platform or standard for building digital twins is not enough. Interoperability is a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 for the purpose of creating new value through interconnection between digital twins rather than independently developing and utilizing digital twins. The Digital Twin Consortium is an 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effectiv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digital twins, and is working to solve the problem of digital twin interoperability. The Digital Twin Consortium recently published the 'Digital Twin System Interoperability Framework', and this paper analyzes the digital twin interoperability based on it.

융복합 접근을 통한 고전문학 클라우드 디지털 아카이브 (Traditional Culture's Cloud Digital Archive by approach to the Convergence)

  • 김동건;정화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16-121
    • /
    • 2012
  • 본 연구는 디지털 융복합 부문의 하나로 고전문학과 정보기술의 적용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전문학을 위한 클라우드 디지털 아카이브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최근의 기술 트랜드중의 하나이며, 정보기술 분야의 중요한 키워드가 되었다. 이를 고전문학의 하나인 판소리 아카이브 모형을 연계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도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도록 기능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각 특성에 따른 메타데이터 모델과 데이터 구조를 설정하였으며, 판소리 아카이브 지원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추가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고전문학 자료의 평가, 보존, 접근의 프로세스를 가지며, 아카이브에서는 디지털 아카이브, 메타데이터를 통한 연계모형으로 구성되었다.

CT를 위한 웹기반 디지털 아카이브 (The Web based Digital Archive for CT)

  • 이승주;황기환
    • 정보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29-34
    • /
    • 2009
  • Culture contents are in our life with various parts. There are much try and research managing and keeping the culture contents with growing of information technique. Digital archive was proposed the technique that is able to distribute and manage the contents. This paper proposed the web based digital archive for culture contents. Each of archive were sorted art, architecture, science technology and etc, and made the structure that can total man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