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ce scheme

검색결과 1,342건 처리시간 0.026초

하천환경의 생물학적 평가를 위한 간이저서동물지수(SBMI)의 개발 (Development of Simpl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SBMI) for Biological Assessment on Stream Environment)

  • 공동수;민정기;노성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14-536
    • /
    • 2018
  • GPI (Group Pollution Index) using 29 indicator groups of Korean benthic macroinvertebrates was proposed in 1992, a higher category taxa-level index developed for rapid field assessment of organic water pollu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se the assessment scheme of GPI based on taxonomic performance and ecological information accumulated since 1992. The original GPI was renamed SBMI (Simpl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and SBMI was based on saprobic valency of 26 indicator groups composed of higher category taxa (mainly family ~ phylum) excluding some genus or species-level taxa. SBMI reveal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centration of 5-day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_5$) (correlation coefficient r = 0.78, n = 569 sites), total suspended solids (r = 0.69), and total phosphorus (r = 0.77). Also, SBMI revealed strong correlation with Shannon-Weaver's species diversity (r = -0.85), Margalef's species richness (r = -0.85), and McNaughton's dominance (r = 0.83).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SBMI to concentration of water quality items and values of community indices such as species diversity was 3 ~ 8 % and approximately 11 ~ 14 % higher than that of GPI, respectively. Correlation between SBMI and water quality factors or community indices such as species diversity did not reveal much difference compared to that of species-level indices, such as BMI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and ESB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MBI is a simple-qualitative index with higher category taxa easily identified, and is applicable for rapid field assessment of water environment impairment.

눈동자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기법 (A Scheme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Pupil)

  • 이재욱;강보선;이근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325-329
    • /
    • 2016
  • 얼굴인증은 다양한 생체인증 중에서 거부감이 적고 변조가 어려워서 각광받고 있다. 얼굴인증의 알고리즘은 어떻게 알고리즘을 만드느냐에 따라서 정확성과 속도에 많은 차이를 가져온다. 눈동자를 추적 및 검출하여 얼굴의 검출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오탐률을 개선하고 정확하게 얼굴로 인증을 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Cascade를 통해서 얼굴을 검출하고 관심영역으로 지정 후 얼굴 영역을 균등하게 4등분하여 검출되는 객체의 좌표 값을 저장한다. 또한 검출된 눈에서 눈동자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진화를 진행하고 Hough 변환을 통해 눈동자를 검출한다. 추출된 눈동자의 중심좌표를 저장하고 계산하여 데이터 매칭을 통해 얼굴 인증을 한다. 눈동자를 추적과 함께 얼굴의 데이터를 계산하여 정확하고 최적화된 얼굴인증 알고리즘을 연구한다.

비정형성 등속운동 객체의 움직임 추정을 위한 블록기반 움직임 평활화 (Block-based Motion Vector Smoothing for Nonrigid Moving Objects)

  • 손영욱;강문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6호
    • /
    • pp.47-53
    • /
    • 2007
  • 블록 기반 프레임 레이트 변환 (frame-rate conversion) 또는 필름 떨림 보상 (film judder compensation)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참 움직임 벡터(true motion vector)를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현재 블록의 공간적 및 시간적 상관성을 최대로 하여 시각적으로 덜 부자연스럽게 느끼도록 하는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블록단위 절대값 차이의 합 (SAD)만으로는 비정형성 객체의 움직임 에러를 추정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형성 객체가 등속운동을 하는 경우 재귀적으로 기존의 움직임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현재 블록의 등속움직임 추정값을 재귀평균으로 구하였으며 현재 블록 벡터의 신뢰도를 계산하여 원래의 움직임 벡터와 재귀평균 움직임 벡터중에서 가중치를 두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비정형성 등속운동 객체의 움직임을 블록기반으로 추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tterned Retarder 방식 입체 디스플레이에서의 가독성 향상 기법 (Readability Enhancement Algorithm for Patterned Retarder based Stereoscopic 3D display)

  • 이희중;송병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5호
    • /
    • pp.175-182
    • /
    • 2013
  • 본 논문은 Patterned Retarder (PR) 방식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문자 가독성 향상을 위한 필터를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 내 존재하는 글자를 편광 안경을 통해 시청하게 되면 작은 글자의 경우 가독성이 저하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글자 영역에 대한 가독성 향상을 위한 필터링 과정과 특정 글자만을 추가로 개선하는 후처리 과정으로 구성된 새로운 가독성 향상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가독성 향상 필터링은 입력되는 스테레오 영상의 기수 라인과 우수 라인을 분리하고, 각각의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2배 확대한 후 좌우 영상들을 평균하여 최종 결과를 얻는 방식이다. 후처리 단계에서는 추가적으로 가독성을 향상시킬 특정 글자들을 검출한 후 검출된 영역에서만 대비 조절을 통해 가독성 향상 효과를 준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에 의한 영상이 기존 방식에 의한 결과 영상보다 가독성이 많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현장발생토를 활용한 경량기포흔합토(LWFS)의 강도 및 변형특성 (Strength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Foamed Soil Using In-situ Soil)

  • 윤길림;유승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9호
    • /
    • pp.125-13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준설토와 시멘트, 기포를 이용하여 제작한 경량기포혼합토에 대한 일련의 일축압축시험으로 경량기포혼합토의 역학적 거동에 미치는 준설토의 초기 함수비 및 시멘트 함유율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결과(윤과 김, 2004)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광양항 중마지역의 준설토를 채취하여 지역에 따른 경량기포 혼합토의 역학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일축압축시험결과 경량기포 혼합토의 변형계수$(E_{50})$는 시멘트 함유량이 증가하면서 그 크기도 증가하나 준설토의 초기함수비가 클수록 작게 나타났다. 또한, 경량혼합토의 구성요소인 준설토의 초기 함수비, 시멘트 함유량, 기포 함유량을 고려한 정규화계수로 표현되는 일축압축강도의 적절한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경량기포혼합토의 역학적 특성은 준설토의 채취지역에 따라 다르므로 설계반영을 위해서는 적절히 실내실험을 통하여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선 센서 망에서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홉 기반 가십 프로토콜 (Hop Based Gossiping Protocol (HoGoP) for Broadcasting Message Servic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소원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B호
    • /
    • pp.144-153
    • /
    • 2010
  • 무선 센서 망에서 사용되는 정보 전송은 플러딩 기반의 간단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재전송 오버헤드가 높아 데이터의 충돌율이 높고 에너지 소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싱크 노드부터 각 노드까지의 홉 수를 이용하여 이웃 노드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각 노드의 메시지 전달 확률을 결정하는 홉 기반 가십 프로토콜 (Hop based Gossiping Protocol; HoGoP)을 제안한다. 각 노드는 수신된 메시지를 동일한 가십 확률로 전달하지 않고 응용 계층에서 요구된 평균 수신율과 홉 정보로 알게 된 부모 노드의 수를 이용하여 가십 확률을 결정한다. 따라서 망 토폴로지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확률이 결정되어 플러딩 방식보다 낮은 메시지 재전송으로도 높은 메시지 수신율을 얻을 수 있다. 제안된 방식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며 메시지 평균 수신율, 평균 전달율, 그리고 전송 효율 관점에서 기존 프로토콜과 비교 평가한다. 또한 응용에서 설정된 요구 수신율 관점에서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IEEE 802.22 WRAN에서 Bussgang 정리를 이용한 스펙트럼 센싱 (Spectrum Sensing using Bussgang Theorem for BEE 802.22 WRAN)

  • 황성수;김석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9C호
    • /
    • pp.922-927
    • /
    • 2009
  •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스펙트럼 자원의 효율적 활용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된 분야이다. 무선인지 기술은 비어 있는 주파수 대역을 찾고, 활용하는 기술로 스펙트럼의 효율적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무선인지 기술에서 기존 사용자의 신호를 검출하는 센싱 기술은 가장 핵심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Bussgang 정리를 이용한 스펙트럼 센싱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수신 신호에 Bussgang 정리를 적용하여 신호와 가우시안 잡음 사이의 통계적 특성 차이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이 방법은 잡음 파워 추정이 없으므로 잡음 불확실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아주 낮은 SNR (signal-to-noise power ratio)에서도 신호를 검출 할 수 있다. IEEE 802.22 WRAN (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을 기반으로 12개의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74 DTV(Digital Television) 신호를 이용한 모의실험으로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고, 제안한 방법의 이론적인 문턱값을 분석한다.

초등학교(初等學校) 교사(校舍) 평면유형(平面類型) 및 면적(面積)의 현황(現況)에 관한 연구(硏究) - 평면도(平面圖)의 분석(分析)을 통해 - (A Study on the Status of Plan Type and Area at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 by Analyzing Architectural Plans -)

  • 류호섭
    • 교육시설
    • /
    • 제8권5호
    • /
    • pp.5-16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results from analysis of architectural plan drawings of 355 elementary schools recently designed for 4 years. Theses plans are analyzed by factors such as local distribution, number of classes, type of plan, total construction area, area per a class, area per a student, and area status of each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architectural designing and planning of elementary schools through finding trend and status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s that have no detailed data of area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from analyzing number of classes in the surveyed schools, schools having 36 classes are dominant and schools having 72 classes are also shown. Average number of classes is 34.1. This result reflect s that elementary schools have been planned as large-scale schools. 2. In terms of type of plan, we found out that instead of disappearing traditional single corridor type building, the open school building that have multi-purpose spaces are mainly designed. In addition to that, there are few schools with large class rooms. 3. In the status of area of each school, they have much larger areas than areas provided by building guidelines. Secondly, there are some schools with two times area difference even though they have same class number. Therefore, it needs to adjust the school building guidelines to practical needs in the consideration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 for compulsory education. Though the plans of recently designed school for 4 year s are more differentiated than past, there are few schools planned by appropriate plan design and area distribution scheme. As a consequence, some improvements like improvement of building guidelines are desperate.

  • PDF

IEEE 802.11k-Measurement Pilot을 활용한 저전력 네트워크 스캐닝 알고리즘 (Power Efficient Network Scanning Algorithm Based on IEEE 802.11k-Measurement Pilot)

  • 이형규;김황남;김현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6호
    • /
    • pp.482-489
    • /
    • 2014
  • 본 논문은 IEEE 802.11 환경에서 새로운 AP를 탐색하기 위한 네트워크 스캐닝의 기존 방식을 802.11k의 Measurement Pilot을 활용하여 개선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알고리즘과 종래의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일반적인 IEEE 802.11을 사용하는 기기들은 탐색 시간이 짧다는 장점을 갖는 능동 탐색(Active Scan)방식을 활용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수동 탐색(Passive Scan) 방식에 비해 많은 전력사용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탐색 알고리즘은 IEEE 802.11k에서 활용되는 비컨(Beacon)보다 짧은 주기를 갖는 Measurement Pilot을 활용하여 수동 탐색과 능동 탐색의 장점을 취합하여 전력사용을 줄인다.

페이딩 채널에서 MMSE-OSUC 수신기를 적용한 MIMO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IMO System adopting MMSE-OSUC Receiver in Fading Channel)

  • 박기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723-72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레일리(Rayleigh)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MMSE-OSUC 수신기 알고리즘을 적용한 MIMO 시스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가하였다. 변조 기법은 BPSK, QPSK, 16QAM, 64QAM으로 각각 나누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프레임의 길이는 100 심볼로 설정하였다. 먼저 송신단에서 채널상태정보를 모르는 경우의 MIMO 시스템의 채널 용량을 이론적으로 산출하였다. 성능 해석 결과, 채널 용량은 채널의 함수이므로 MIMO 시스템의 채널 용량은 채널의 특성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MIMO 채널에서의 성능 향상을 위해 MIMO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술의 각 알고리즘을 분석하였다. 성능 해석 결과, MMSE-OSUC 수신기 알고리즘을 적용한 경우가 기존 ZF-OSUC 수신기 알고리즘을 적용한 경우보다 전반적으로 성능은 우수하지만, 성좌도가 큰 변조 기법을 사용할수록 그 성능 차이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