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knowledge

검색결과 735건 처리시간 0.023초

전북 일부 지역 과체중 및 비만 중년 여성 대상 보건소 영양교육 효과 -개인별 하루필요에너지 및 식품군 단위수 교육을 중심으로-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on Overweight and Obese Middle-aged Women in Jeonbuk Area-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Exchange Units)

  • 김세연;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7-322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 on anthropometric, biochemic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 intakes for overweight and obese in a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The subjects were 60 overweight/obese women based on BMI (educated 30 vs. non-educated 30, 50~64 years). Educated group was provided individual and/or group lessons (40 min/lesson/week, 5 week), 'Introduction: obese & health', '6 nutrients and 6 food groups', 'My obesity & daily needed energy', 'Meal planning for personalized daily energy and food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s', and 'Smart food choices'. After educa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biochemic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educated group and non-educated group. Results: After nutrition education, in the educated group, there were improvements on anthropometric/biochemic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 intakes in the educated group compared to the non-educated group. We observed a decrease in the mean weight, total cholesterol (TC) and the incidence of overweight/obesity and hypercholesterolemia and an increase in the mean lean body mass. The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Function of carbohydrate, protein, vitamin, mineral' and 'Food Sources of fat, vitamin, mineral' were increased. The scores of dietary attitudes, 'Taking a joyful meal, a leisurely meal, a balanced meal, a meal with sufficient vegetables, a meal with diversity, a meal with spicy foods, a meal with overeating' were increased. The intakes of energy, carbohydrate, fat, protein, vitamin A, thiamin, Zn and cholesterol were decreased. The scores of INQ, protein, vitamin A, vitamin C, thiamin, riboflavin, vitamin B6, folate, Ca, P, Fe, Zn were increased. Conclusions: The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exchange unit using Food Exchange System for overweight and obese may improve food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symptoms of overweight and obese, even in a community health center.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영양지식과 식사보조수행도 (A Study on the Meal Assistance and Nutrition Knowledge of Caregivers for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 김우정;김다솔;주나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7권4호
    • /
    • pp.232-247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nutrition knowledge of caregivers for the elderly and the diet-related medical treatment and dietary assistance given by them. Thus, 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study focusing on the current nutritional knowledge of caregivers and the dietary assistance given by them. The survey included a questionnair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of digestive system diseases, diabetes, cardiovascular risk, brain disease, bone disease, and meal assistance performance status) for caregivers working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235 caregivers between February and March 2020.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the significance test of each question was verified by the Friedman test and the Chi-square independence test.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needed meal assistance from caregivers was 4.4 more than the average. The most common types of meal assistance were partial assistance (59.20%) and the task of when to stop eating for the elderly (58.71%). Besides, the higher nutritional knowledge level of the caregivers, the more the time spent on services related to meal assistance (P<0.001), and the higher the meal assistance level. The disease state of the elderly was considered the most relevant (P<0.001). Caregivers with high levels of knowledge and offering significant meal assistance were found to have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P<0.001). Up to 80% of the respondents needed nutrition education, and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y needed education on appropriate management methods for the specific disease state of the elderly (P<0.01). Accordingly, providing nutrition education for caregivers for the elderly should be a mean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offer meal assistance.

중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 조사 및 기술.가정 교과의 식생활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ur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atisfaction of Dietary life Instruc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 김윤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7-128
    • /
    • 2010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의 6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남녀 493명을 대상으로 식생활 수업에 관한 내용, 영양지식, 식습관 및 식태도, 식생활의 실제적인 도움정도에 관한 내용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되었다. 기술 가정교과의 식생활영역 수업 만족도는 보통이 43.5%로 가장 많았고 수업에 만족하지 않는 이유로는 지루한 강의식 수업이어서가 10.1%로 가장 높았다. 가장 많이 원하는 수업형태는 실험 실습수업이었고(75.4%), 조리실습이 가장 관심이 많았으며(53.0%), 가정과의 식생활 교육이 실제 생활에 도움을 주는 정도는 3.30/5점(66/100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영양지식 총점은 7.29/12점(60.75/100점)이었으며, 여학생점수와 3학년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식습관 및 식태도의 점수는 3.55/5점(71/100점)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점수가 높았고, 1학년의 식습관점수가 가장 높고, 3학년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열량과 비만에 관한 영양지식 점수와 식습관 및 식태도 영역에서 싱겁게 먹기, 규칙적인 식사, 정상체중 유지, 인스턴트 및 패스트푸드 자주 먹지 않기, 환경을 생각한 식생활 항목의 점수가 낮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식생활 교육은 중학생의 성장과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유도하고, 기술 가정교과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해 강의식 중심의 수업진행보다는 실험과 실습을 중심으로 하여 건전한 식습관 및 인성을 형성시켜 줄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정과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가정과의 다른 영역 및 타 교과와의 융합교육을 통해 실생활에 적용, 응용할 수 있는 능력과 창의적인 사고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적극적인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일부 농촌 지역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을 가진 성인들의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 (Glycemic Index Recognition and Practice of Low-Glycemic-Index Diet by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in Some Rural Areas)

  • 신새론;한아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2호
    • /
    • pp.104-115
    • /
    • 2014
  • 저당지수 식사는 비만, 당뇨병의 발병 감소 및 심혈관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당뇨병에서 혈당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중요성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일반 성인의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연구 자료가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정상인과 질환을 가진 환자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2011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일개병원 건강증진 센터를 방문한 농촌 지역 사람들을 대상으로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 정도, 교육 참석 의향, 일반적인 지식정도, 저당지수식 실천정도에 관한 내용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당뇨병군이 다른 군에 비해 비교적 잘 알고 있었고, 교육여부도 당뇨병군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당지수와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물었을 때도 당뇨병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옳은 응답률의 비율이 높았으나 당지수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을 물었을 때는 당뇨병군과 다른 군간의 차이가 없거나 낮은 응답률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당뇨병군을 포함한 모든 군에서 높은 응답률을 보이지 않았다. 평소에 당지수를 고려해서 식사를 하는지와 저당지수식 실천정도를 물었을 때는 당뇨병군이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당뇨병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에서는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가 낮고, 당지수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부족하며 당지수를 고려한 식생활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당뇨병군에서도 저당지수식의 효과 및 당지수 관련 자세한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농촌 지역 당뇨병 환자 뿐 만 아니라 만성질환자나 정상 성인에서도 당지수에 대한 교육이 좀 더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경주지역 고등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식생활 태도 및 식품기호도 (The Dietary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ju)

  • 유지은;유두련;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71-37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based on the personality type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ju.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personality types of the students, the type of SP(Sensing-perceiving) occupied the highest ratio, 46% and NF(Intuition-Feeling) 8.6% and NT(Intuition-Thinking) 8.2% and SJ(Sensing-Judging) 7.1%.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SP(Sensing-perceiving) and NF was the highes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in the effect of knowledge learned in school on the choice of food; the types of NT and NF did not influence on it. The degree of regularity in the amount of every mea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p<.05); students with NT and SJ types had the regular meals. The factors which could influence on the dietary behavior were parents(60.7%), friends(16.9%) and mass media and books(13.8%), etc. School education had a little influence on the dietary behavior, only 8.0%. Therefore, more practical education was needed. In the food preference, the type of NF preferred the foods with sweet taste while the others with hot taste.

  • PDF

대형갈조류 다시마, 곰피 및 감태의 엽체부위 및 연령별 식이섬유 함량 (Dietary Fiber Content of Different Thallus Regions and Age in Three Brown Algae: Laminaria japonica, Ecklonia stolonifera and E. cava)

  • 황은경;박찬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60-365
    • /
    • 2009
  • The dietary fiber and crude fiber contents of different thallus regions (blade, stipe, and holdfast) in three brown algae (Laminaria japonica, Ecklonia stolonifera, and E. cava) were detennined at different ages, and then compared with one another. On a dry matter basis, the soluble dietary fiber (SDF) content was highest ($10.8{\pm}0.5%$) in the holdfast of 2-year old L. japonica, and the insoluble dietary fiber (IDF), total dietary fiber (TDF), and crude fiber (CF) contents were highest in the holdfast of 2-year old E. cava at $44.5{\pm}0.7%$, $50.2{\pm}0.5%$, $6.8{\pm}0.7%$, respectively. The IDF, TDF, and CF contents of these three species were measured in the following order: holdfast > stipe > blade, and the SDF contents of L. japonica exhibited the reverse of this trend. The TDF/CF ratio of 1-year old L. japonica, E. stolonifera, and E. cava was greater than was observed in the corresponding 2-year old samples. This i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 first report demonstrating that the holdfasts of L. japonica, E. stolonifera, and E. cava are rich in dietary fiber contents, especially IDF, TDF, and CF.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Dietary Educa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es Classes - Focusing on the 7th Curriculum -)

  • 김윤선;강세진;이귀주;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74
    • /
    • 2011
  • 본 연구는 현재 기술 가정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식생활교육에 대하여 중학생틀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유효응답자 444명 중 78.1%가 주로 기술 가정교과로부터 식생활 관련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있었으며, 62.6%가'실생활에 도움이 된다', 67.3%가 '학교식생활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시행중인 식생활교육지원법에 대해서 88.7%의 응답자가 모르고 있었다. 식생활교육영역을 총28개의 항목으로 세분화하여 질문한 결과, 전반적으로 관심도가 높은 항목일수록 실천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관심도 및 실천도를 나타냈다. '식사예절' 및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영역과 관련된 교육항목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식품 조리' 영역에 대한 관섬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교식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는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성별, '식사예절' 단원의 실천도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전북지역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영양교육 효과 -식습관, 식행동, 식생활 태도, 영양지식과 영양소 섭취 상태를 중심으로-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Chonbuk Area -Focus on Food Habit, Eating Behaviors, Dietary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ents Intake-)

  • 유옥경;이양근;손희숙;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286-1294
    • /
    • 2010
  • 본 연구는 전라북도 교육청의 추천을 받은 전주시 S 초등학교, 익산시 D 초등학교, 김제시 G 초등학교 2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과체중 및 비만아동 103명(남아 69명, 여아 34명)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총 12회(1학기 6회, 2학기 6회)를 실시한 후 식습관, 식행동, 식생활태도, 영양지식과 영양소섭취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습관은 '식사시간에 먹는 양은 어떠한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여학생의 경우 교육 전과 후에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으며(p<0.05), '식사 시 배가 불렀을 때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남학생(p<0.01)과 여학생 (p<0.05) 모두 교육 전후에 '배가 부르면 먹지 않는다고 답한 학생의 수가 가장 많았고, '간식을 섭취하는 이유'에 대해 여학생의 경우 배가 고파서라고 답한 학생의 수가 가장 많았다(p<0.05). 간식 섭취의 주된 이유는 남녀 모두 교육 전후에 '배가 고파서'로 답하였으며, 여아의 경우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식행동은 몇 개의 항목에 대해 남 여아 모두 바람직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고, 식태도에서는 '초콜릿, 사탕등 단 음식을 자주 섭취한다'는 문항에서 여아의 경우 교육전 2.46점에서 교육 후 2.75점으로 점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영양지식은 교육 후 남 여아 모두 모든 항목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영양가가 높은 음식이란 열량이 많은 음식을 말한다'라는 질문에서 여학생의 대답에서만 유의성이 있었다(p<0.001). 영양소섭취상태에 있어서 영양교육 후 1일 열량 섭취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남 여아 모두 평균 추정량에 비해 낮은 수준의 에너지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1년간의 영양교육(총 12회)이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유의성이 낮았고, 식행동과 식태도 및 영양소섭취상태 변화는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들의 식습관 및 생활습관은 단기간의 교육으로 변화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향후 장기간 지속적인 관리와 체계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북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나트륨에 대한 지식, 나트륨섭취 식행동, 저염식 태도 및 식생활지도와의 관계 연구 (Correlation analysis of sodium-related knowledge, dietary behavior, attitudes towards a low-salt diet and meal attitude guidanc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nbuk area)

  • 문현옥;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2호
    • /
    • pp.180-191
    • /
    • 2017
  • 본 연구는 전북지역 345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나트륨 영양지식, 나트륨 식행동, 저염식 태도수준을 파악하고 교사들의 식생활지도 수행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나트륨에 대한 지식에 대한 총점은 16점 중 12.92점이며 '소금을 적게 섭취하면 고혈압, 심혈관 질환, 위암, 골다공증 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가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신선한 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으면 다량의 칼륨이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 준다'가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나트륨관련 식행동에 대한 총점은 70점 중 46.85점이며 '젓갈이나 장아찌가 식탁에 없으면 섭섭하다'가 가장 높았고, '라면, 국수 등을 먹을 때 김치를 꼭 먹는다'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저염식 태도에 대한 총점은 50점 중 33.63점이며 '염분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다면 저염 식품을 선택하겠다'가 가장 높았고, '가공식품이나 스낵 속의 나트륨 함량을 확인한다'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식생활지도 수행에 대한 총점은 80점 중 59.95점이며 '학생들과 함께 급식을 한다'가 가장 잘 이루어지나 '식품영양표시를 이용하여 저나트륨 식품을 선택하도록 지도한다'와 '급식 시 학생들이 잘 접하지 않은 음식이 나오면 그 음식의 유래나 영양가 등을 학생들에게 설명해 준다'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나트륨에 대한 지식은 고혈압약 복용, 스트레스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나트륨 관련 식행동은 성별, 근무경력, BMI, 흡연, 음주, 건강에 대한 관심, 스트레스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저염식 태도는 성별, 결혼 유무, 근무경력, 음주, 운동, 건강에 대한 관심, 스트레스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생활지도 수행은 결혼유무, 연령, 근무경력, 음주, 건강검진, 건강에 대한 관심, 스트레스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나트륨에 대한 지식, 나트륨 섭취 식행동, 저염식 태도 및 식생활 지도 수행간의 관계는 나트륨에 대한 지식은 나트륨 섭취 식행동 (r = 0.252, p < 0.01)간에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나트륨 섭취 식행동은 저염식 태도 (r = 0.319, p < 0.01)간에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저염식 태도와 식생활 지도 수행 (r = 0.435, p < 0.01)간에는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전북지역 초등교사의 나트륨에 대한 지식수준과 식생활지도 수행정도는 보통수준이나 나트륨 섭취 식행동과 저염식태도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교육경력에 따라서 나트륨관련 지식수준의 차이는 없었으나 장기근무 교사일수록 또한 본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나트륨 섭취 식행동, 저염식 태도 및 식생활지도 수행점수가 높았다. 그러나 고혈압약을 복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트륨관련 지식이 낮은 것을 볼 때 교사대상의 나트륨관련 질병 등에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매우 높겠다. 본 연구결과 교사들의 나트륨관련 지식과 나트륨관련 식행동 간에 낮으나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근무기간이 짧은 교사의 경우는 직무연수 등을 통하여 나트륨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교사들 스스로 올바른 식생활관리가 가능하도록 할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학생들의 식생활지도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겠다. 따라서 초등교사의 식생활지도 수행에 좀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나트륨에 대한 지식 및 저염식 태도 등 식생활에서 실천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매체 개발 등을 위한 영양교사와의 협조체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육청 및 학교행정부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겠다.

학교급식에서 편식 아동의 식생활 양상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an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 김영희;서정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0권3호
    • /
    • pp.345-35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Children who eat only what they lik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is surve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food intake frequencies and food preference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a total of 160 children : 92 male students(unbalanced-diet group, 46; control group, 46), and 68 female students(unbalanced-diet group, 34; control group, 3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tion knowledge between the unbalanced-die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ietary behavior of control group turned out to be more desirable than that of the unbalanced-diet group. In addition, 68.7% of the unbalanced-diet group and 13.8% of the control group hated to eat vegetables. The result of food intake frequency indicates that the control group turned out to be higher in their intake of fish, cereals, vegetables, seaweeds, fats & oils and Kimchi compared with unbalanced-diet group. Intake frequency of minerals and vitamins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balanced-diet group. On the other hand, the unbalanced-diet group turned out to be higher in sugar intake. Children showed the greatest preference of fruits. The unbalanced group turned out to prefer sugar and beverage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sirable dietary habits of children should be formed with the help of nutrition education designed for behavior mod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