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fiber extract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6초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이 밀가루의 호화 및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ce Bran Dietary Fiber Extract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Wheat Flour)

  • 김영수;하태열;이상효;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64-469
    • /
    • 1997
  •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이 밀가루의 호화 및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방법으로 열처리한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하여 호화 및 노화현상을 RVA와 DSC로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그결과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 첨가는 대조구에 비해 호화온도, 최고점도 및 최종점도를 증가시켰다.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들을 DSC로 측정했을 때 To, Tp 및 ${\triangle}H$값들은 탈지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노화시 나타난 endothermic peak는 호화시보다 약 $15{\sim}20^{\circ}C$ 낮은 온도에서 폭이 넓은 형태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뚜렷한 endothermic peak를 보였다.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들은 노화지연 효과를 보였으며, 5%와 10% 첨가시료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밀감과피의 식이섬유 및 Bioflavonoid 정제 중 Phenthoate 잔류분의 제거 (Removal of Phenthoate Residues During the Preparation of Dietary Fiber and Bioflavonoid from Mandarin Peels)

  • 이서래;권영주;이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46
    • /
    • 1997
  • Mandarin orange fruits were artificially contaminated with an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phenthoate by dipping and the residue level of phenthoate was investigated during the purification steps of dietary fiber or bioflavonoid. The removal rate of phenthoate at 8 and 0.5 ppm levels was 98% in the total dietary fiber, 99% in the insoluble dietary fiber and 99.8% in the soluble dietary fiber preparations. Kuring the preparation of biflavonoid from peels at a 5 ppm pesticide level, the removal rate was 90% in the intermediate extract and 99.9% in the final extract. In conclusion, phenthoate residues in the peels of mandarin orange were mostly removed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es of dietary fiber of bioflavonoid and its residue level would not raise any problem in safety aspects of the purified products.

  • PDF

추출법에 따른 큰실말(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부산물 식이섬유의 항산화 효과 및 HT-29 대장암 세포에 대한 항암 작용 (Effects of Dietary Fiber from Mozuku (Cladosiphon novae-caledoniae kylin) Residu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ccording to Extraction Condition)

  • 정행순;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5권4호
    • /
    • pp.363-36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큰실말 부산물의 추출 조건(HCl, $H_2SO_4$, NaOH, $Na_2CO_3$, $Na_2EDTA$)에 따른 식이섬유 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큰실말 부산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양을 측정하고 HT-29 대장암 세포에서의 증식 억제를 통한 항암효과를 확인하였다. 1.5% $Na_2EDTA$와 0.05 N HCl이 큰실말 부산물로부터 가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추출 시간과 온도도 가용성 식이섬유의 추출수율에 영향을 주었다. 큰실말 부산물 식이섬유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 NaOH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총 폴리페놀 $34.4{\pm}0.055$ mg gallic acid/g dry basis, 총 플라보노이드 $34.7{\pm}0.023$ mg naringin/g extract dry basis).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도 1% NaOH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대장암 세포주의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 D.W.와 0.05 N HCl 및 0.5% $Na_2CO_3$ 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 세포 증식 억제를 보였다. 이들 결과는 큰실말 부산물로부터 분리한 가용성 식이섬유가 항산화 및 대장암에서의 항암효과에 중요한 기능이 있음을 시사한다.

밀감과피로부터 식이섬유와 Bioflavonoid 정제 중 Fenitrothion 잔류분의 제거 (Elimination of Fenitrothion Residues during Dietary Fiber and Bioflavonoid Preparations from Mandarin Orange Peels)

  • 김윤경;이미경;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3-229
    • /
    • 1997
  • 밀감에 유기인계 농약인 fenitrothion 성분을 인위적으로 부착시킨 후, 밀감과피에서 식이섬유 및 bioflavonoid의 정제과정중 농약성분의 제거율을 실험하였다. 신선한 밀감과피로부터 정제된 총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 및 수용성 식이섬유의 수득율은 풍건물 기준으로 각각 17.4%, 13.1%, 1.7%로 나타났다. 밀감과피에 0.5 및 13 ppm의 fenitrothion 성분을 부착시킨 후, 과피의 마쇄, 효소처리, 에탄올 침전 및 여과, 아세톤 세척, 풍건 등을 거쳐 식이섬유를 정제하였을때, fenitrothion 성분의 제거율을 보면 각각 총식이섬유에서 98.4%, 91.9%, 불용성 식이섬유에서 99.7%, 97.1%, 그리고 수용성 식이섬유에서 100%, 99.6%로 나타났다. 밀감과피로 부터 마쇄, 열수추출, 에탄올 침전, hexane 및 butanol 추출 과정에 의한 bioflavonoid 정제 중 fenitrothion 잔류분의 제거율은 중간추출물에서 92.7%, 최종추출물에서는 100%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밀감과피에 잔류하는 fenitrothion 성분은 식이섬유와 bioflavonoid의 정제 중에 그의 대부분이 제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미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추출물의 특성 및 제빵에의 응용 (Properties of Dietary Fiber Extract from Rice Bran and Application in Bread-making)

  • 김영수;하태열;이상효;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02-508
    • /
    • 1997
  • 탈지한 미강을 열처리(압출성형, 볶음처리)한 후 termamyl로 처리하여 얻은 미강 식이섬유추출물은 $27.3{\sim}30.5%$의 단백질, $49.7{\sim}54.1%$의 불용성 식이섬유(IDF), $1.9{\sim}2.7%$의 수용성 식이섬유(SDF)를 함유하였다. 압출성형에 의하여 IDF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SDF 함량은 증가된 반면, 볶음처리에 의해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미강 식이섬유추출물은 무기질중 인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열처리한 시료들 사이에서는 각 시료간에 무기질 함량의 차이가 컸다. 볶음처리한 시료가 가장 낮은 L값, 가장 높은 a와 b값을 나타냈으나 압출성형한 시료는 가장 높은 L값을 나타냈다. 보수성은 압출성형에 의해 크게 증가되었으나 볶음처리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않았다. 주사현미경에 의한 세포벽의 관찰결과 압출성형한 시료는 약간의 세포벽 손상이, 볶음처리한 시료는 완전한 세포벽 붕괴가 관찰되었다. 미강 식이섬유의 첨가농도를 증가함에 따라 밀가루의 수분흡수율, 반죽형성시간 및 안정도는 증가하였으나 MTI값은 서서히 감소하였다. 압출성형한 시료는 가장 높은 수분흡수율을 나타냈으며, 열처리한 시료들은 낮은 반죽형성시간 및 안정도를 보였으나 MTI값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식이섬유추출물은 식빵의 제조에 영향을 주어 식빵의 무게 증가, 부피 감소, 식빵 내부 및 외부색의 강도증가 및 조직감의 감소를 가져왔으며, 6% 첨가시료들을 비교했을 때 압출성형한 시료는 다른 시료들에 비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식이섬유 추출물의 첨가가 식빵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식빵의 외관,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향과 맛의 경우 6%의 첨가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열처리를 달리한 시료들 사이에서는 시료들 간에는 평균값의 차이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관능검사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미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추출물을 첨가한 고식이섬유 식빵제조시 6%까지는 제품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첨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국내산 주요 해조류의 식이섬유소의 함량 및 추출조건 (Dietary Fiber Contents of Marine Algae and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ber)

  • 도정룡;김은미;구재근;조길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1-296
    • /
    • 1997
  • 국내 연안에서 생산되는 해조류 즉, 갈조류에 속하는 미역, 다시마 그리고 톳, 녹조류에 속하는 파래, 그리고 홍조류에 속하는 우뭇가사리, 꼬시래기에 함유된 식이섬유소의 함량과 이들 해조류로부터 가용성 식이섬유소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고자 산과 알칼리 그리고 효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미역의 식이섬유 추출에는 $1.5\%$의 탄산나트륨 용액, 또는 $2.0\%$$Na_2EDTA$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마는 $1.0\%$$Na_2EDTA$, 톳은 $2.0\%$의 탄산나트륨, 우뭇가사리와 꼬시래기는 $2.0\%$$Na_2EDTA$를 사용하였을 때 가용성 식이섬유의 수율이 높았다. 파래는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그리고 $Na_2EDTA$ 중에서 특별히 효과적인 것은 없었으며 $2\%$농도에서 $17.49\~18.46\%$로 나타났다. 또한 추출시간과 온도를 검토한 결과, $100^{\circ}C$ 에서 해조중의 식이섬유 추출은 추출시간이 길수록 추출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추출온도에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우뭇가사리와 꼬시래기는 $110\~$에서 1시간 추출시 각각 $38.48\%$$42.11\%$의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 PDF

사과의 식이섬유질이 장내세균의 in vitro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e Dietary Fiber on the in vitro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 이현아;이상선;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7-114
    • /
    • 1997
  • 쥐의 사육실험결과 장내 균총 개선에 유효한 것으로 나타난 사과에 대하여 in vitro 배양실험을 통하여 이들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사과로부터 분리한 crude pulp (CP), total dietary fiber (TDF), soluble dietary fiber (SDF), insoluble dietary fiber (IDF)와 시약용 사과 펙틴을 구입하여 PYF 액체배지에 첨가한 후 주요 장내 미생물의 표준균주들을 단독배양하여 O.D.와 pH를 측정함으로써 그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배지에 흰쥐의 분변 혼탁액을 종균으로 접종하여 혼합배양한 후 주요 장내 미생물의 균총변화를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장내 세균들이 사과의 IDF 첨가구에서보다 SDF 첨가구에서 더 잘 생육하였으며 특히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B. animalis, B. infantis, B. longum, B. thermophilum 등 Bifidus균들은 SDF 첨가구에서 비교적 높은 이용성을 나타냈으나 시약용 펙틴을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대부분의 균들이 거의 생육하지 않았다. 그러나 흰쥐의 분변 미생물들을 혼합배양하였을 때 사과의 섬유질 특히 수용성 식이섬유질(SDF)과 펙틴질 첨가구에서 포도당 첨가구에 비하여 Bifidobacterium의 수가 다량 검출되었다.

  • PDF

들깨의 식이 섬유소 함량분석과 들깨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Quantitative Analysis of Dietary Fibers from Perilla frutescens Seeds and Antimutagenic Effect of Its Extracts)

  • 박동숙;이경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00-90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들깨의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 섬유소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들깨의 methanol 추출물, hexane 추출물, MSF 및 식이 섬유소를 추출하여 항돌연변이 효과를 관찰하였다. 들깨의 총 식이 섬유소의 함량은 신선물인 경우 17.2%였고 건조물인 경우 18.2%였으며 이 가운데 94%가 불용성식이 섬유소였다. 들깨의 용매 추출물 중에서 methanol 추출물과 MSF는 AFB$_{1}$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를 상당히 억제시켰으며 methanol 추출물과 MSF를 2.5mg/assay 첨가군에서 각각 91%와 87%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같은 농도에서 SDF의 첨가군은 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hexane 추출물은 2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를 돌연변이원으로 사용한 경우에 항돌연변이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SDF를 1.25mg/assay 첨가한 군은 17%, MSF 2.5mg/assay 첨가군은 27%의 저해율을 보였을 뿐 methanol과 hexane 추출물 첨가군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들깨의 용매 추출물은 간접 돌연변이원에 의한 돌연변이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불용성 식이 섬유소의 경우 Trp-P-2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를 다소(13~18%)억제 하는것을 알 수 있다.

  • PDF

매생이 추출물이 흰주의 간장조직과 분변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Green Seaweed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on the Liver Tissue and Fecal Cholesterol Content in Rats)

  • 정은진;김인혜;황혜정;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30-336
    • /
    • 2008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green seaweed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CFE) on the serum, liver tissue, and fecal cholesterol levels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four weeks old) were given on of three diets for four weeks: basal, high cholesterol, and CFE, The total serum and liver tissue cholesterol levels in the CF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holesterol group. The CFE group showed increased amounts of feces, total fecal bile acid and dietary fiber as compared to basal and cholesterol group.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revealed fat droplets in the livers of the rats in the cholesterol group; however, a decreased number of droplets was observed in the rats fed the CFE diet. Our results suggest that CFE supplementation may improve lipid metabolism, by controling serum and liver tissue cholesterol levels, and by increasing the total amounts of bile acid, dietary fiber and cholesterol excretion in feces.

EFFECTS OF DIETARY CELLULOSE LEVEL ON NUTRIENT UTILIZATION IN CHICKENS

  • Siri, S.;Tobioka, H.;Tasaki, 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741-746
    • /
    • 1992
  • The effects of 5%, 10%, 15% and 20% dietary cellulose levels on the nutrient utilization in chickens were investigated.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alternatively given to 8 colostomized White Leghorn cockerels to make a $4{\times}4$ Latin-square design. The diets of 70 g.day were force-fed once a day, and water was given freely. The digestibilities of DM and energy increased linearly with the increase in dietary cellulose level. The digestibilities of ether extract and nitrogen-free extract were not so much influenced by the dietary cellulose level. The digestibility of acid detergent fiber was very low and not influenced by the dietary cellulose level. The digestibility of neutral detergent fiber was not different among the diets containing 5%-15% cellulose, but that of the 20% cellulose diet was diminished. This might be due to the reduction of hemicellulose digestibility. True digestibility and biological value of protein were also not influenced by the dietary cellulose level from 5% to 20%. In conclusion, no ill-effect was found even when the chicken was fed a diet containing 20% of cellulose.